논시중미지략언 (論詩中微旨略言)-이규보(李奎報)


    

 시(詩) 가운데 있는 은미한 뜻을 논한 약언-李奎報

 


夫詩以意爲主(부시이의위주) : 대저 시는 뜻[意]으로 주를 삼는 것이니,

 

設意尤難(설의우난) : 뜻을 베푸는 것이 가장 어렵고,

 

綴辭次之(철사차지) : 말을 만드는 것이 그 다음 어렵다.

 

意亦以氣爲主(의역이기위주) : 뜻은 또 기(氣)로 주를 삼는 것이니,

 

由氣之優劣(유기지우렬) : 기(氣)의 우열에 따라

 

乃有深淺耳(내유심천이) : 천심(淺深)이 있게 된다.

 

然氣本乎天(연기본호천) : 그러나 기(氣)는 하늘에 근본한 것이니,

 

不可學得(부가학득) : 배워서 얻을 수는 없다.

 

故氣之劣者(고기지열자) : 그러므로 기(氣)가 졸렬한 사람은

 

以雕文爲工(이조문위공) : 문장을 수식하는 데에 공을 들이게 되어,

 

未嘗以意爲先也(미상이의위선야) : 일찍이 뜻으로 우선을 삼지 않는다.

 

蓋雕鏤其文(개조루기문) : 대개 문장을 다듬고

 

丹靑其句(단청기구) : 문구를 수식하니


信麗矣(신려의) : 그 글은 참으로 화려할 것이다.

 

然中無含蓄深厚之意(연중무함축심후지의) : 그러나 속에 함축된

                                                                                 심후한 뜻이 없으면,

 

則初若可翫(칙초약가완) : 처음에는 꽤 볼 만하지만,

 

至再嚼則味已窮矣(지재작칙미이궁의) : 재차 음미할 때에는 벌써

                                                                          그 맛이 없어지고 만다.

 

雖然(수연) : 그러나

 

凡自先押韻(범자선압운) : 시를 지을 때에 먼저 낸 운자가

 

似若妨意(사약방의) : 뜻을 해칠 것 같으면

 

則改之可也(칙개지가야) : 운자를 고쳐내는 것이 좋다.

 

唯於和人之詩也(유어화인지시야) : 오직 다른 사람의 시를 화답할 경우에

 

若有險韻(약유험운) : 그 운자가 험하거든

 

則先思韻之所安(칙선사운지소안) : 먼저 운자의 안치할 바를 생각한 다음에

 

然後措意也(연후조의야) : 뜻을 안배해야 한다.

 

至此寧且後其意耳(지차령차후기의이) : 이때에는 차라리 그 뜻을 다음

                                                                         으로 할지언정

 

韻不可不安置也(운부가부안치야) : 운자는 안치하지 않을 수 없다.

 

句有難於對者(구유난어대자) : 글귀 중에 대를 맞추기가 어려운 것이 있으면

 

沈吟良久(침음량구) : 한참 동안 침음(沈吟)하고 나서

 

想不能易得(상부능역득) : 쉽게 얻어질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되면

 

則卽割棄不惜宜矣(칙즉할기불석의의) : 곧 그 글귀는 버리는 것이

                                                                         마땅하다.

 

何者(하자) : 왜냐하면

 

計其間儻足得全篇(계기간당족득전편) : 그 글귀의 대를 맞추는 시간에

                                                        혹 전편(全篇)을 지을 수도 있기 때문이니,

 

而豈可以一句之故(이개가이일구지고) : 어찌 한 글귀 때문에

 

至一篇之遲滯哉(지일편지지체재) : 1편이 지체되게 해서야 되겠는가?

 

有及時備急則窘矣(유급시비급칙군의) :그때에 막 당하여 촉박하게

                                                                         지으면 군색하기 마련이다.

 

方其搆思也(방기구사야) : 그러므로 시를 구상할 때에

 

深入不出則陷(심입불출칙함) : 깊이 생각해 들어가서 헤어나지 못하면

                                                        빠지게 되고,

 

陷則着(함칙착) : 빠지면 고착되고,

 

着則迷(착칙미) : 고착하면 미혹되고,

 

迷則有所執而不通也(미칙유소집이불통야) : 미혹하면 집착되어

                                                                                통하지 못하게 된다.

 

惟其出入往來(유기출입왕래) : 오직 출입왕래하며

 

左之右之瞻前顧後(좌지우지첨전고후) : 좌우전후로 두루 생각하여

 

變化自在(변화자재) : 변화가 자재하게 한 뒤에야

 

而後無所礙(이후무소애) : 막힌 바가 없이

 

而達于圓熟也(이달우원숙야) : 원만하게 된다.

 

或有以後句救前句之弊(혹유이후구구전구지폐) : 혹은 뒷 글귀로

                                                               앞글귀의 폐단을 구제 하기도 하고

 

以一字助一句之安(이일자조일구지안) : 한 글자로 한 글귀의 완전함을

                                                                          돕기도 하는 것이 있으니,

 

此不可不思也(차부가부사야) : 이것은 불가불 생각해야 할 것이다.

 

純用淸苦爲體(순용청고위체) : 순전히 청고(淸苦)로 시체(詩體)를 삼으면

 

山人之格也(산인지격야) : 산인(山人)의 격(格)이요

,

全以姸麗裝篇(전이연려장편) : 순전히 화려한 말로 시편을 장식하면

 

宮掖之格也(궁액지격야) : 궁액(宮掖)의 격이다.

 

惟能雜用淸警雄豪姸麗平淡然後備矣(유능잡용청경웅호

                       연려평담연후비의) : 오직 청경(淸警) 웅호(雄豪)ㆍ연려(姸麗)

                                      평담(平淡)을 섞어 쓴 다음에야 제대로 갖추어져서,

 

而人不能以一體名之也(이인부능이일체명지야) : 사람들은 일체

                                                                         (一體)로 이름하지 못한다.

 

詩有九不宜體(시유구부의체) : 시에는 9가지의 불의체(不宜體;마땅하

                                                        지 않은 체)가 있으니,

 

是予所深思而自得之者也(시여소심사이자득지자야) : 이는 내가

                                                                      깊이 생각해서 자득한 것이다.

 

一篇內多用古人之名(일편내다용고인지명) : 1편 내에 옛사람의

                                                                                이름을 많이 쓰는 것은

 

是載鬼盈車體也(시재귀영차체야) : 바로 재귀영거체(載鬼盈車體)요,

 

攘取古人之意(양취고인지의) : 옛사람의 뜻을 절취하는 것으로

 

善盜猶不可(선도유불가) : 좋은 것을 절취하는 것도 오히려 불가한데,

 

盜亦不善(도역부선) : 좋지 못한 것을 절취한다면

 

是拙盜易擒體也(시졸도역금체야) : 이는 바로 졸도이금체(拙盜易擒體)다.

 

押強韻無根據處(압강운무근거처) : 그리고 강운(强韻)을 근거없이 내어

                                                                쓰는 것은

 

是挽弩不勝體也(시만노불승체야) : 바로 만노불승체(挽弩不勝體)요,

 

不揆其才(부규기재) : 그의 재주를 요량하지 않고

 

押韻過羌(압운과강) : 운자를 정도에 지나치게 내는 것은

 

是飮酒過量體也(시음주과량체야) : 바로 음주과량체(飮酒過量體)요,

 

好用險字(호용험자) : 험한 글자를 쓰기 좋아하여

 

使人易惑(사인역혹) : 사람으로 하여금 의혹되기 쉽도록 하는 것은

 

是設坑導盲體也(시설갱도맹체야) : 바로 설갱도맹체(設坑導盲體)요,

 

語未順而勉引用之(어미순이면인용지) : 말이 순조롭지 못한데

 

是強人從己體也(시강인종기체야) : 굳이 인용하는 것은 바로 강인종기체요

 

多用常語(다용상어) : 상스러운 말을 많이 쓰는 것은 

 

是村父會談體也(시촌부회담체야) : 촌부회담체요

 

好犯語忌(호범어기) : 기휘(忌諱)하는 말을 쓰기 좋아 하는 것은 

 

是凌犯尊貴體也(시능범존귀체야) : 바로 능범존귀체요

 

詞荒不删(사황부산) : 거친 말을 산삭하지 않는 것은 

 

是莨莠滿田體也(시랑유만전체야) : 바로 낭유만전체다.

 

能免此不宜體格(능면차부의체격) : 이 불의체를 면하고

                                                              

而後可與言詩矣(이후가여언시의) : 난 뒤에야 시를 말할 수 있다. 

 

人有言詩病者(인유언시병자) : 시의 병통을 말해 주는 사람이 있으면

 

在所可喜(재소가희) : 기쁜 일이다.

 

所言可則從之(소언가칙종지) : 그러나 그의 말이 옳으면 받아들이고

 

否則在吾意耳(부칙재오의이) : 옳지 않으면 나의 뜻대로 할 뿐이다

.

何必惡聞(하필악문) : 어찌 듣기 싫어하기를

 

如人君拒諫終不知其過耶(여인군거간종불지기과야) : 마치

                                    임금이 간언을 거절하는  것과 같이 하여 끝내 그

                                    허물을 모르고 넘길 필요가 있겠는가?

 

凡詩成(범시성) : 무릇 시가 이루어지면


反覆視之(반복시지) : 반복 관찰하되,

 

略不以己之所著觀之(략불이기지소저관지) : 자기가 지은 것으로

                                                                                  보지 말고

 

如見他人及平生深嫉者之詩(여견타인급평생심질자지시) : 다른

                                 사람이나 또는 평생 심히 미워하는 자의 시를 보듯 하여,

 

好覓其疵失(호멱기자실) : 그 하자(瑕疵)를 열심히 찾아도

 

猶不知之(유부지지) : 오히려 알지 못하는데

 

然後行之也(연후행지야) : 하자을 없앤 뒤에야 그 시를 세상에 내놓는다.

 

凡所論(범소론) : 무릇 논한 바는

 

不獨詩也(부독시야) : 시뿐만 아니라,

 

文亦幾矣(문역기의) : 문(文)도 그러하다.

 

況古詩者(황고시자) : 더구나 고시(古詩) 중에

 

如以美文句斷押韻者佳矣(여이미문구단압운자가의) : 아름다운

                                              문구에 운자를 단 매우 아름다운 것 같은 것은

 

意旣優閑(의기우한) : 뜻은 이미 우한(優閑)하고

 

語亦自在(어역자재) : 말도 자유로워서

 

得不至局束也(득부지국속야) : 구속받는 점이 없다.

 

然則詩與文(연칙시여문) : 그렇다면 시와 문은

 

亦一揆歟(역일규여) : 역시 늘 변함이 없는 한결 같은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