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숲> (2004. 봄호) 상담의 의미와 상담활동 발췌문


학생을 공감하고 수용하면

이해하고 신뢰한다.

학생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는 믿음은 만남의 시작이며

학생에 대한 이해는

교사 자신에 대한 이해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


학생을 이해하려면 이해와 지혜가 바탕에 깔려야 하며

교사의 자기 이해와 인간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자유와 자치가 있고

신명나게 참여하는 공동체의 밑거름을 바탕으로 관계 맺을 때

교사의 인격이 생활 속에서 배움으로 간다고 본다.


학생이 존중되면 교사도 존중된다.

아이들의 가장 큰 불만은

‘변명할 기회를 주지 않는다.

고치거나 디시 할 수 있는 시간을 주지 않는다.

말로 하기 전에 먼저 모욕을 주거나 때린다.‘ 등이다.


<힘이 되는 만남>


학생이 존중되면 교사도 존중된다.


상담을 통해 아이들이 변한다는 고정관념과 조급증을 버리자.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만남의 방식과 자세가 상담의 꽃이며 열매이다.

생활은 같이 하지 못하는 일회적인 상담이 어찌 효과가 있겠는가?


일상생활에서 함께 행동할 수 있는 방법을 찾자.(자신만의 독특한 상담법)

- 엽서와 편지를 잘 활용하자. 오늘은 문구점에 들러서 학생들이 좋아하는 또는 의미있는 엽서나 편지를 사서 책상 서랍에 꼭 넣어 두자. 그리고 아이들이 표현하는 말, 몸짓, 선물, 표정 들을 틈나는 대로 기록해두고 담임과 아이의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대화(엽서, 편지, 쪽지)를 나눌 수 있다.

- 관찰노트

- 작지만 큰 우리! 엽서: 아픔과 감동은 때를 놓치면 만남에서 멀어진다.

먼저 나의 느낌과 마음을 전하자.

길게 쓰지 말자.

짧게 그리고 전달하려는 핵심을 생각하며 써보자.

간접적으로 스스로를 돌아보고 생각할 수 있는 내용으로 쓰자.

그리고 자신을 공개하자.

아이들이 보내는 작은 변화의 신호를 놓치지 않아야 한다.


부적응 학생의 생활지도는 호흡을 길게 해야 마음을 열어온다.


문제행동을 수용하되 학생이 변화될 수 있는 원칙과 방법을 제시하라.


집단 속에서 보는 아이들도 개인으로 보면 지도의 방법이 달라진다.(개별지도)

- 집단 속에서 보면 고쳐지지 않는 학생의 행동도 개별로 보면 문제핼동을 고쳐보려는 의사가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 사회의 뒤틀림의 폭은 아이의 작은 잘못보다 더욱 크다는 것을 이해하면 너그러워진다.

- 조급함에서 벗어나기

- 문제가 해결되지 못해도 믿고 지켜봐주는 교사가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하는 것은 힘이다.

- 개별지도에서 교사의 자기공개(자기 감정 표현)와 나는 이렇게 생각해. 네가 왜 그랬을까 생각해 봤지 등으로 솔직함과 공감이 있으면 대화가 시작되고 또 다른 아이를 발견한다.


나눌려면 나눌 거리가 있어야 합니다.

늘 새롭게 나누어줄 삶의 감동과 이야기거리가 있어야 합니다.

새로 학습한 지식과 정보가 있어야 하고 새로운 깨달음이 있어야 하고

보살펴줄 시간과 물질과 건강이 있어야 나누려는 마음도 자라납니다.

- 박노해 <사람만이 희망이다> 중에서


조고각하(照顧脚下)!

어디를 가고 있는지를 알려면 어디서 왔는지 알아야 하듯이

우리가 딛고 선 일상생활을 돌아보라는 뜻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