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이영화를 알았을땐 그저 일본 학원액션물인줄 알았죠

(영화에 대한 정보-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40032)

더군다나 전 일본영화를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전혀 호감이 가지 않았습니다 처음에는

근데 이영화, 알면 알수록 꽤 좋은 영화인거 같습니다

쌤식으로 표현하면 가슴이 따뜻해지는 영화인거 같더군요

이런 생각을 하게된건 이 영화의 ost 임진강을 접하게된후라고 할수있습니다

어떤 블로그에서 보니 임진강은 남북분단의 슬픔과 통일을 염원하는 노래라고 하더군요

박세영 작사 고종한 작곡의 북한노래로

일본에서는 더 포크 크루세더스 라는 밴드가 번역해 불렀고

60년대에는 금지곡 이었다고 하더군요

가사는 이렇습니다(한국가사)

임진강 맑은 물은

도도히 흐르고

물새들 자유롭게

무리지어 넘나드네

내조국 남쪽 땅

추억은 머나먼데

임진강 맑은 물은

도도히 흐르네

북쪽의 대지에서 남쪽의 하늘로

날아다니는 새들이여 자유의 사자여

누가 조국을 둘로 나누었느뇨

누가 조국을 나누어 버렸느뇨

임진강 맑은 물은 흘러흘러 내리고

물새들은 자유로이 넘나들며 날건만

내 고향 남쪽 땅 가고파도 못가니

임진강 흐름아 원한 싣고 흐르느냐



지금 나오는 동영상은 영화의 실제장면으로

주인공이 임진강을 부르는 장면이라고 하더군요

마지막에는 한국어로 부르는게 나옵니다

지금 어디서 상영하는진 모르겠지만

쌤도 한번 보시길 ^^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글샘 2006-02-18 22: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일동포로 산다는 것 … 60년대 가슴뭉클 스케치

[중앙일보 2006-02-17 06:45]

홈페이지:(blog.naver.com/pacchigi)

20자평:눈물 없이 보기 힘든 재일동포의 울분과 한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 그곳에는 우리와 핏줄을 나눈 수십만 명의 재일동포가 살고 있다. 상당수는 일제 강제 징용의 피해자거나 그 후손이다. 이들은 전쟁이 끝난 뒤에도 일본 사회의 차별과 핍박을 받으며 꿋꿋하게 살아남았다. 지금도 심심찮게 동포 여학생이 길거리에서 수모를 당했다는 소식이 들려올 정도니 과거에 이들이 겪었을 고생은 말도 못할 것이다. 게다가 남과 북으로 갈라진 조국의 현실은 이들의 한을 더욱 깊게 했다.

1968년 일본 교토(京都)를 배경으로 한 '박치기'(감독 이즈쓰 가즈유키.14일 개봉)는 재일동포들의 고단하고 힘겨운 삶을 그린 영화다. 주인공은 조총련계 고교를 다니는 청소년들. 이들은 일본인에 대한 분노와 울분을 '박치기'로 상징되는 폭력과 싸움으로 풀며 하루하루 무의미하게 살아가고 있다. 폭력은 폭력을 부른다고 했던가. 동포 학생들의 폭력은 일본 학생들의 더 강한 반격으로 이어지면서 목숨이 왔다갔다 할 정도로 심각해진다. 얼핏 '말죽거리 잔혹사'(감독 유하)를 연상케 하지만 이 영화에서 나타나는 청소년들의 고민은 훨씬 깊고 복잡하다. '말죽거리…'에선 그래도 같은 민족끼리 주먹질을 하는 정도였지만 '박치기'에선 목숨을 걸고 일본 학생들과 맞서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영화가 단순히 학원 폭력에 초점을 맞춘 것은 아니다. 대신 일본인과 재일동포의 진심 어린 화해를 모색한다. 어차피 같은 공간에서 함께 살아가야 하는 이상 극단적인 대립은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화해의 주인공은 재일동포에 대한 편견 없이 순수한 마음을 지닌 일본 남학생 고스케(시오야 슌)와 동포 여학생 경자(사와지리 에리카)다. 고스케는 선생님의 심부름으로 조선학교에 갔다가 우연히 플루트 부는 경자를 보고 첫눈에 반한다. 그는 경자에게 다가가기 위해 당시 일본 사회에선 금지곡이었던 '임진강'이란 노래를 열심히 익힌다. 경자는 처음엔 고스케에게 냉담하지만 이내 그의 진심을 알아차린다. 그렇지만 두 사람 사이엔 평범한 남녀에겐 없는 '깊은 강'이 놓여 있다. 경자는 고스케에게 "조선 사람이 될 수 있느냐"고 묻지만 고스케는 바로 대답할 수 없다.

두 사람으로 대표되는 민족 문제에서 노래 '임진강'(박세영 작사, 고종한 작곡)은 매우 상징적인 역할을 한다. 이 곡은 일본에서 '더 포크 크루세더스'라는 밴드가 번역해 발표했지만 이내 금지곡이 됐다. "임진강 맑은 물은 흘러흘러 내리고/물새들 자유로이 넘나들며 날건만/내 고향 남쪽 땅 가고파도 못가니…"란 노랫말과 구슬픈 노랫가락은 분단의 아픔과 통일의 염원을 형상화하고 있다. 고스케는 직접 임진강을 건너지는 못하지만 교토의 가모가와 강가를 헤엄쳐 건너고 라디오 방송에서 노래 '임진강'을 부르면서 재일동포의 아픔에 조금이라도 다가가려고 노력한다. 그리고 그의 진심은 동포의 심금을 울린다.

이런 영화가 재일동포나 한국 사람이 아닌 일본 감독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사실은 놀랍다. 주연 배우도 대부분 일본 배우다. 그래서 한국인뿐 아니라 일본인도 공감할 수 있는 정서가 바닥에 깔려 있다. 덕분에 이 영화는 지난해 나온 일본 영화 중 작품성에서 최고라는 찬사를 받았다. 일본 아사히신문과 영화전문지 키네마순보는 '2005년 최고의 영화'로 이 영화를 꼽았고, 이달 초 열린 요코하마 영화제는 작품상.감독상.촬영상 등 5개 부문의 상을 줬다.

그동안 한국 사회에서 금기시한 조총련계 동포를 다룬 것도 눈에 띈다. 조총련계 출신으로 부산국제영화제에서 한국영화 공로상을 받은 이봉우 시네콰논 대표가 총괄 프로듀서를 맡았다. 영화 속에는 그의 개인적인 경험도 상당히 녹아 있다고 한다. 냉전 시대라면 개봉은커녕 영화를 수입한 사람들은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조사를 받았겠지만 6.15 남북 공동선언으로 화해의 시대가 열리면서 그 정도는 큰 문제가 아니게 됐다.

영화에는 최근 '메종 드 히미코'로 국내에 소개된 '꽃미남' 배우 오다기리 조도 출연한다. 장발에 히피족 같은 성향을 보이는 사카자키 역을 맡은 그는 자주 등장하지는 않지만 고스케에게 노래 '임진강'을 가르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좀 더 많은 극장에서 상영되지 못하고 서울 명동의 CQN(www.cqn.co.kr)에서만 볼 수 있다는 사실에는 아쉬움이 남는다. 다만 두 명 이상의 여성이 수요일에 극장을 찾으면 50% 할인 혜택을 준다는 것은 기억해둘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