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21일 모의고사를 치겠단다. 모의고사를 치고 싶어하는 아이들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우리반도 모의고사 안치냐고 계속 몇몇 아이들이 내게 물어왔다. 내가 말하고 싶은 건 사설 모의고사는 분명 '현실적'으로 불법이고 그렇다면 누구의 권리가 먼저 배려되어야 하는가에 관한 것이다. 원해서 7,000원 내고 그 시험 치겠다는 아이들의 권리인가 아니면 그 하루가 정말 힘들고 무의미해서 못치겠다는 아이들의 권리인가.
치려는 아이들의 요구를 묵살하지는 않겠다. 그냥 치면 된다. 내가 원하는 건 안치려는 아이들의 권리를 보장해 주자는 것이다. 우리반은 14명의 아이들이 못치겠다고 한다. 교육청 모의고사 친 지 얼마 되지도 않았고 시험이 너무 어려워서 그 시간에 계속 앉아있을 수 밖에 없단다. 계속 자거나.. 그런데 그 아이들에게 돈까지 내고 그 짓을 하라고 강요하거나 방관할 수는 없다.
그날 하루 일과가 어떻게 운영될지는 모르겠다고 얘기해두고 일단 부모님과 의논해서 나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하라고 했다. 부모님이 분명히 안 치는 것으로 알고 계셔야한다고 생각하기에... 사실 그날은 수업을 해야한다. 이 아이들의 학습권이, 그리고 나의 수업권이 명백하게 침해받는 것이다.
그런데 부모님과 통화를 하면서 내 생각이 자꾸 흔들리는 것을 느꼈다. 부모님의 자꾸 나의 의견을 물으시니까.. 사실 가장 존중받아야 하는 건 아이들의 입장과 판단이다. 그런데 우리는 아이들의 사고력을 단지 '어리다'는 우리들만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너무 쉽게 무시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물리적인 나이의 많고 적음이 그 판단력과 사고력에 그대로 반비례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교무실... 주위의 시선이 스스로 계속 의식되기도 하고...
그래도 끝까지 우리 아이들의 '안 칠 권리'를 지켜주고 싶다.
나의 수업권과 아이들의 학습권 침해에 대해 누가 피해자인지, 누가 누구에게 양해를 구해야하는지 명백하게 하고 싶다.
별것 아닌 것 같지만 이것도 인권침해라고 계속 스스로에게 말하고 있다. 그래야 끝까지 견딜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늘 말하는 모의 고사의 학습효과.. (솔직히 나는 그 효과에 대해 부정적이고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많다고 생각하지만.. )그거 아이들이 스스로 판단하는 게 가장 정확한 거 아닐까?
이런 내 생각이 잘못일까? '현실'을 무시하고 너무 고집을 피우는 것일까? 마음이 계속 무겁고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