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가 바람을

                                - 최정례

 

나무가 바람을 당긴다
이 끈을 놓아
이 끈을 놓아
끌려가는 자세로 오히려
나무가 바람을 끌어당길 때
사실 나무는 즐겁다
그 팽팽함이

바람에 놓여난 듯
가벼운 흔들림
때론 고요한 정지
상처의 틈에 새 잎 함께 재우며
나무는 바람을 놓치지 않고
슬며시 당겨 재우고 있다

세상 저편의 바람에게까지
팽팽한 끈 놓지 않고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해콩 2004-10-17 2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포엠토피아 시 메일>

―시 쓰는 일은 세계의 주인되는 일

주체의 전환이라는 말이 있지요. 아니 발상의 전환 또는 뒤집어 보기나 거꾸로 보기라고 할 수도 있겠지요. 기왕의 관습이나 시각으로 사물을 보는 게 아니라 뒤집어서 전혀 새로운 각도에서 창조적, 주체적으로 바라보는 것을 말합니다.

이 시에서도 그렇지요. 바람이 나무에 불어서 나무를 흔든다는 것이 보통 관습적인 인식이고 상식적인 표현법이지요. 그러나 시인은 〈나무가 바람을 당긴다/이 끈을 놓아/이 끈을 놓아/끌려가는 자세로 오히려/나무가 바람을 끌어당길 때/사실 나무는 즐겁다/그 팽팽함이〉라는 구절에서 볼 수 있듯이 바람이 아니라 나무가 주체가 되어 바람을 좌지우지하는 것으로 오식하는 것입니다. 마치 김수영이 시 「풀」에서 〈풀이 눕는다/바람보다도 더 빨리 눕는다/바람보다도 더 빨리 울고/바람보다 먼저 일어난다〉라고 노래하여 바람(지배세력)의 관점이 아닌 풀(민중)의 세계관으로 주체전환을 의도했던 것처럼 말입니다.

이렇게 보면 주체의 전환은 바로 부정정신의 발현이고 반역의 정신을 표상한다고 하겠지요. 뒤집어 보기, 거꾸로 보기란 바로 새롭게 보기이고 자유롭게 보기이자 창조적으로 보기이고 동시에 주인돼서 세상 살아가기를 의미한다고 하겠습니다. 아, 그러고 보면 결국 시를 쓴다는 것은 시인이 새롭게 보고 자유롭게 봄으로써 세계의 주인이 되고자 하는 주체적인 노력, 창조적인 의지에 다름 아니라고 하겠군요.

- 김재홍: 문학평론가, 경희대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