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삼태기의 흙  성현 『虛白堂集』, 「惰農說


  지난 경인년 (1470)에 큰 가뭄이 들었다. 정월부터 비가 오지 않더니, 가을 칠월까지 가뭄이 계속되었다. 이 때문에 땅이 메말라서 봄에는 쟁기질을 하지 못했고 여름이 되어서도 김맬 것이 없었다. 온 들판의 풀들은 누렇게 말랐고 논밭의 곡식들도 하나같이 모두 시들었다.

  이 때 부지런한 농부는

  “곡식들이 김을 매주어도 죽을 것이고 김을 매주지 않아도 역시 죽을 것이다. 그러나 그냥 팔짱끼고 앉아서 죽어가는 것을 쳐다만 보고 있기보다는 그래도 있는 힘을 다해 살리려고 애를 써 보는 것이 나을 것이다. 그러다가 만에 하나라도 비가 오면 전혀 보람 없는 일이 되지는 않으리라.”

하고, 쩍쩍 갈라지는 논바닥에서 김매기를 멈추지 않고 다 마르고 시들어빠진 곡식 싹들을 쉬지 않고 돌보았다. 일 년 내내 잠시도 게으름을 부리지 않고 열심히 일을 하여, 곡식이 완전히 말라 죽기 전까지는 농사일을 멈추지 않을 作定이었다.

  한편 게으른 농부는

  “곡식들이 김을 매주어도 죽을 것이고, 김을 매주지 않아도 죽을 것이다. 그러니 부질없이 분주히 뛰어다니며 고생을 하기보다는 차라리 내버려두고 편히 지내는 것이 나을 것이다. 만약 비가 전혀 오지 않으면 모두가 헛고생이 될테니까.”

하였다. 그래서 일하는 농부나 들밥을 나가는 아낙들을 끊임없이 비웃어대며, 그 해가 다 가도록 농사일을 팽개치고 들어앉아 하늘만 쳐다보고 있었다.

  가을걷이를 할 무렵에 내가 파주 들녘에 나가 논밭을 보니, 한쪽은 잡초만 무성하고 드문드문 있는 곡식들도 모두가 쭉정이뿐이었고, 다른 한쪽은 農事가 제대로 되어 잘 익은 이삭들이 논밭 가득 고개를 숙이고 있었다. 그렇게 된 이유를 마을 노인에게 물었더니, 農事를 망친 곳은 쓸데 없는 짓이라고 하며 農事일을 하지 않은 농부의 것이었고, 곡식이 잘 영근 곳은 한 가닥 希望을 버리지 않고 농사일에 애쓴 농부의 것이었다.

  한때의 편안함을 찾다가 일년 내내 굶주리게 되었고, 한때의 고통을 참아내어 한 해를 배불리 지낼 수 있게 되었다. 아! 아무 일도 이루지 못하는 것은 農事만 그러한 것은 아니다.

  오늘날 詩書를 공부하여 벼슬길에 나아가려 하는 사람들도 어찌 이것과 다르겠는가. 선비들이 젊었을 적에는 學問에 뜻을 두고 밤이나 낮이나 열심히 책을 쉬지 않고 글을 짓는다. 그렇게 닦은 재주를 가지고 과거 시험에 응시하여 솜씨를 겨루는데, 시험에 한 번 떨어지면 실망을 하고 두 번 떨어지면 번민하고 세 번 떨어지면 茫然自失해하면서 이렇게 말한다.

  “功名을 이루는 것은 分數가 있는 것이어서 學問을 한다고 이룰 수 있는 게 아니며, 富貴를 누리는 것도 天命이 있는 것이어서 學問을 해서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는, 자신이 하던 學問을 팽개쳐버리고 지금까지 해놓았던 공부도 모두 포기한다. 어떤 사람은 절반쯤 學問이 이루어졌는데도 내던져버리고 어떤 사람은 성공의 문턱까지 갔다가 주저앉아버린다. 마치 아홉 길 높은 산을 쌓는데, 한 삼태기의 흙이 모자라 산을 완성하지 못하는 것과 같다. 그렇다면, 게으름을 피우며 農事일을 제쳐놓은 농부와 같은 무리가 아니겠는가.

  學問을 하는 苦生은 일년 내내 농사를 짓는 苦生에 비하면 고생도 아니다. (조금 생략) 편안히 공부만 하는 사람들은 땀 흘려 일하는 농부들의 苦生을 모른다. 그러므로 이 이야기를 지어 그들을 깨우치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