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꽃밭을 가꾸며

긴 겨울 오르렸던 사지 활짝 펴고
운동장 가득 뛰어노는 아이들
그 힘찬 함성에 놀라
부푼 꽃망울 덩달아 활짝활짝 터지는 학교 꽃밭
매화, 철쭉, 목련, 산수유, 산당화, 앵두꽃, 배꽃
.....
그 눈부신 꽃나무 그늘 아래 숨어서
나즈막히 자라나는 이름 모를 잡초들
차디찬 땅 밑에 숨죽여 엎드린 채
긴 겨울 견뎌낸
저 맵고 끈질긴 새파란 생명들
가만 들여다보면
이제 작은 풀꽃망울 눈물처럼 아련히 피어나
한없이 안쓰럽고 어여쁘구나
풀꽃은 꽃 아닌가
몇몇의 큰 나무 꽃들을 위한다는 핑계로
늘 작은 풀꽃 무참히 뽑아 내던져버린
여지껏 내가 해온 학교 교육이란
바로 이런 것 아니었을까

몸 속에 흐르는 뜨겁고 사나운 피
정녕 못 다스려
술주정뱅이 아버지의 가죽 허리띠 채찍질에
왼(온?)몸이 구렁이 감기듯 멍든 채 방에 갇혀도
문 부수고 또 가출해버린
쇠비름처럼 맵고 당찼던 우리 반 향숙이
제 부모도 선생도 모두 포기해버리고
잡풀 뽑아 내던지듯 마침내 퇴학시켜버린 때처럼
그 어린 잡초들 뿌리째 뽑아내며 꽃밭에서
나는 자꾸만 가슴이 아파진다.

양정자, [아이들의 풀잎노래], 창비시선 114,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해콩 2004-09-06 00: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학교 꽃밭... 내 손에 잘려나갔던 그 꽃들... 은 지금 어디서 무얼하며 살고 있을까? 그땐 학교만이 대안은 아니며 남으라는 건 내 욕심같아서 그렇게 보냈는데 지금 생각하니 그런 생각으로 떨쳐냈던 것조차 나를 위한 위안이 아니었을까 생각이 든다. 보내고나서도 보내지 않는 것, 그것이 부족했던 까닭이겠지? 그 아이들은 다들 지금 어디서 무얼하고 있을까? 다시 그런 상황에 부딪힌다면 나는 어떤 선택을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