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엔 무리일까 생각했지만 욕심을 냈다. 7시 반에 출발한다고 이주형샘이 공지했지만 '나도 꼭! 가고 싶으니 8시까지만 기다려달라'고 댓글을 달았다. 실은 살이 통통하게 오르던 그제밤부터 그 달을 탐내고 있었다.

학교서 이런 저런 일로 꼼지락거리다 집에 도착한 시간은 거의 4시. 아이들 간부 수련회가 있어 금정산 수련원에 가야한다는 준비된 뻥을 때린 후 이것 저것 챙겨넣은 배낭을 짊어지고 집을 나섰다. 아! 아름다운 석양... 양갱까지 챙겨넣고 택시를 타고 지하철 온천장 역 근처 두번째 육교에서 내려 마침 대기 중이던 산성버스 203번에 냅따 올랐다. 어느새 달이 둥그렇게 떠오르고 있었다. 기사 아저씨의 운전솜씨는... 젤 앞자리로 자리를 바꾸면서부터 '스릴 두배, 만족 세배'였다.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는 기분. 옆차선의 자가용들은 줄을 지어 내려오고 있었는데...

동문에 같이 내린 아저씨들을 따라 컴컴한 산길을 가자니 조금 무서워졌다. 의주샘은 전화를 안받고... 두번째 전화에서 통화 성공. 조금만 더 가면.. 동문.. "강난희" 의주샘 목소리였다. 내가 먼저 "의주야"하려고 했는데.. 타이밍을 놓쳤다. 컴컴한 '루'안에 의주샘 혼자 있었다. 커피랑 떡이랑 먹으며 나머지 사람들-주형샘과 경희샘을 기다렸다. 잠시후에 홍송희샘도 함께 도착. 그리고 준호샘도 오는 중이란다.

그렇게 6명이서 출발하게 되었다. 달은 휘영청~ 구름을 잽싸게 지나가고 있었다. 피부를 스치는 바람이 아주 유쾌했다. 그리고 더 유쾌한 건 샘들과 주고 받은 재미난 이야기들이었는데.. 기억이 안난다. 금정산의 능선.. 북문... 내려다 본 야경. 동래일대는 물론 저 멀리 광안대교까지 보였고 화명동과 김해까지.. 능선을 따라 걸어서 그런지 바람이 계속 밀려왔다. 정말 밀려왔다. 태풍의 영향으로 아주 축축한 바람이었다. 풀들은 땅에  납작 엎드리고 나무들은 쓍쓍 시달리고 있었다. 그 느낌.. 어렸을 때 시골에서 맡아보았던 숲의 냄새가 났다. 늘 잊고 있다가도 한 번씩 꼭 같은 냄새를 맡게 되는데 머리속에 각인이 되었나 하는 생각을 했다. 각인되는 감각... 이런  밤은 공감각적으로 각인되어 잊혀지지 않을 듯 하다. 시각과 후각, 촉각, 청각, 또 미각까지.. 라면을 끓여먹었다. 역시 주형샘.. ^^  생라면으로 하나를 뽀실라 먹고 남은 세개를 끓여서 6명이서 국물하나 남기지 않고 깨끗이 먹어치웠다. 솟대가 아름다운 금정산장에서... 후식으로 송희샘이 깍아온 배, 내가 준비해가 떡.. 커피.. 먹는 것도 남기는 거다. 미각의 추억으로.

범어사로 되짚어 내려오는 길은 쉽지 않았다. 귀찮고 번거로왔다. 돌들땜에. 걸려 넘어지면 어디 한 군데는 족히 깨지겠다. 발목이 삐든가... 능선이 아니라 골짜기라서 달빛의 은혜도 없었기에 준호샘이 후레쉬 맨이 되어주었다. 늘 자랑해 마지 않는 '그 성능 좋은 군용 후레쉬'에 의지해서 한발 한발.. 간혹가다 진창...미끄덩...  희끄무레 하게 보이는 안내판들이 사람으로 보이기도 해서 '혼자 왔으면 기절까지는 아니라도 간이 쪼그라들었겠다'는 생각을 하게 했다. 주형샘이 갑자기 우리들에게 쓰레기를 던지기도 했지만 소기의 목적은 별로 달성하지 못했다. 사실 가만히 서 있는 희끄무레한 안내판이 더 무서웠다.

범어사 경내로 진입했다. 두 번째 범어사 구경인데 이렇게 밤드리 노닐다니 정말 행운이다. 지난 번 봤던 대숲이 쏴쏴 울고 있었고 땡그랑 땡그랑 풍경소리 요란했다. 그리고 수위아저씨들...생각해보면 당연하지한 절집에도 수위가 있다는 걸 처음 알았다. 기념 촬영하고 막 계단으로 내려서려는데 또 한분의 수위아저씨 등장... "딸아이들이 (딸아이? 이 얼마만에 들어보는 흐뭇한 호칭인가! ^^; )이렇게 밤늦게 다니면 안된다. 빨리 가라. 웃기는 왜 웃노? (어찌 안 웃을 수 있는가. 딸아이라는데.. 계속 웃음~~) " 아저씨는 계속 우리 "딸아이' 세 명만을 야단치셨다.

계속 걸어도 좋았을 것이지만 택시를 잡았다. 두대에 나눠타자며 주형샘과 준호샘을 버리고 출발하려는데 기사분께서 마저 타라고 하셨다. 택시잡기 어려울 거라며.. 감동한 우리는 얼렁 두 사람을 불렀다. 뒷자리에 5명.. 그나마 나는 엉덩이는 시트에 걸칠 수라도 있었는데 황경희 샘이 자꾸 미끄러져 내려가더니... 푹 꺼져 버렸다.

상남회관에서 내려 경희샘의 저린 다리를 펴고 이번에는 널널하게 의주샘의 차를 옮겨탔다. 자주 없는 이런 밤엔 당근 한 잔 더 해야지. 준호샘의 '술마신 새벽 포장마차 디비기' 경험담을 들으며 부대앞에 도착, 차를 대고 술집을 찾아 헤맸다. 고맙게도 3시 반까지 영업하는 집을 물색, 아주 비싼 술-백세주 설중매-과 비싼 안주 -오뎅탕, 파전-을 시켰다.

지율스님의 경직된 투쟁방식(너무 경직된 표현인가?)에 관한 이야기는 자연스럽게 학교 현장으로 옮겨와 우리의 모습과 그들의 모습을 비쳐보는 계기도 되었고.. 화제로만 본다면 100분 토론을 방불케 하는 술자리였다. (갑자기 리영희 선생님은 지율스님을 어떻게 생각하실까 궁금하다. )

3시! 남은 건 우리뿐. 술집을 나와 의주샘 차에 올랐다. 벌써 많이 기운 달을 보며 '너무나 흡족한' 밤의 끝자락을 달리고 있었다. 씻고 내방에 들어오니 4시.. '같이 못 갔으면 우짤뻔했노. 이런 밤은 자주 오지 않는데... '  너무나 만족스런 하루였다. 다음에도 이런 기회는 절대로 놓지지 않으리라 생각하면 기절...

12시에 일어나 점심을 먹었다. 모처럼 푹~ 잤다. 오늘은 그냥 하루 종일 게으름 부리며 쉬었다. 이리 저리 뒹굴며 책도 보고 그래도 세탁기도 한 번 돌려주고, 청소기도 한 번... 낮잠도 자고 또 책 보고..

[한국 현대사의 길잡이 리영희]를 다 읽었다. '스스로에게 엄격하고 솔직한, 실천하는 지식인' 무슨 말이 더 필요할까. '주의자'이기를 거부하는 '휴머니스트'. '휴머니스트'! 인간이 인간으로 남길 원한다면 인류의 궁극적 목적은 늘 '휴머니즘'일 것이다. 그것이 현실적으로는 30%정도의 악을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존재라하더라도. '자신에게 솔직할 것, 그러나 노력할 것!' 내가 배운 것이다.

내일부터 다시 일과가 시작된다. 사실 요즘은 학교 가는 것이 두렵다. 아이들 앞에서의 내 모습이 마음에 들지 않기 때문이다. 욕심이겠지만 '소통'의 부재를 느낀다. 나를 말하고, 저희들을 들어주고 싶은데 아이들이 그걸 원하지 않는 것 같아 갑갑하다. 아이들은 무관심하고 늘 바쁜 듯이 보인다.  시간이 지나길 기다리며 기대도 실망도 하지 말라는 충고를 들었지만 나는 하루하루 마음에 상처가 난다. 이런 시간들을 견디기에 나는 너무 비좁은가? 욕심이 과한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