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율스님.. 오늘, 58일째 단식을 푸셨다. 입원하셨단다.

사진으로 본 천성산은 참 아름답다. 그 산을, 그 산에 깃든 생명을 지키기 위하여 세 번이나 목숨을 건 단식을 하셨다. 어떤 사람들은 그것이 스님의 욕심이라하지만, 그런 욕심 때문에 세 번씩이나 목숨을 내놓을 사람이 있을까? 그건 또 단순한 '욕심'은 아닌 것이다. 개인을 버린, 모든 이들을 위한 '욕심'이겠지. 개인의 '욕심'을 버리고 진심으로 들여다 보아야 보인다. 자신의 일-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일에 그렇게 매몰될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하고 또 부러웠다. 그런 힘은 어디에서 나오는 걸까? 단순히 이렇게 말하는 것조차 죄스럽다.

개학 첫날 오늘, 실은 몸이 좀 무거웠다. 갈까 말까 계속 망설였다. 누군가 같이 간다면 모를까 혼자 대중교통으로 그곳에 가기에는 너무 아득했다. 그러면서 후원금 몇푼 내고 집회 몇 번 간 것으로 양심의 빚을 덜어보려했던 불순함을 씻고도 싶었다. 황경희 샘한테 연락이 왔다. 가야지... 같이!

이 집회는 아주 다양한 사람들이 모인다. 장준호샘 말처럼 극좌에서 극우까지의 사람들이 한 자리에 있는지 어떤지 나는 모르겠지만 연령이나 성별은 확실히 그렇다. 오늘은 금정초등학교 6학년 여학생이 앞에 나와 글을 읽었고 개구장이 1학년들이 노래를 했고 수녀님들도 노래를 해주셨다. 소박하지만 다양한 힘이 모이는 참 마음 따뜻한 집회다. 노래하고 웃고 느끼는 동안 몸이 좀 가벼워지는 듯도 했다. 역시 사람은 움직여야한다.

집회장 한 쪽에 마련된 스크린에 천성산의 모습과 지율스님의 인터뷰가 흐른다. 눈물 흘리시는... 코끝이 찡해왔다. 목숨을 걸고 무언가 하는 사람.. 부럽다. 내가 무엇에 목숨을 걸고 있는 지, 혹은 걸어볼 것인지 생각해볼 일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해콩 2004-09-05 23: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율스님 동생의 아린 편지 [지부 게시판에서 펌]

저에게는 언니가 둘이 있습니다. 사실 말이 언니지, 나이 차이가 많은 언니들은 저에게는 엄마나 다름이 없었습니다. 한 언니는 저를 먹이고 입혀서 키웠고, 다른 한 언니는 제게 산과 강으로 여행을 시켜주며 자연을 보여주고, 어린나이에 이해하기 힘든 문학과 음악을 이야기해 주었습니다.

그런 엄마 같은 언니가 지금 50일이 넘는 단식으로 죽어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말릴 수가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언니가 얼마나 천성산을 사랑하는지, 그것을 지키기 위해 얼마나 피나게 노력하며 싸웠는지를 잘 알기 때문입니다. 바짝바짝 말라가는 언니를 보면 애가 타지만 겉으로는 웃을 수밖에 없습니다. 제가 속상해하면 저를 집으로 보내려고 할 것이란걸 잘 알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설마 죽게까지야 놔두겠냐고 생각하면서 버티기를 50여일, 속살에는 여름장마에 습기가 차 생긴 피부병과 영양부족으로 검버섯 같은 까만 점들이 수없이 박혀 있습니다. 사람의 힘으로는 가능할까 싶을 정도로 걷고 말하는 것을 보면 신기하기까지 합니다.

어떤 사람은 뒤에서 뭘 먹고있는 건 아닌가 의심하는 분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분께는 이렇게 말해주고 싶습니다. 당신이 30일 정도만 단식을 하고 바로 다른 음식을 삼켜보라고. 아마 죽지 않으면 위독한 지경에 이르게 될 것입니다.

저는 3번의 단식을 지켜보았습니다. 그래서 단식을 하는 것보다 단식이 끝난 뒤 더 위험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단식이 끝나도 바로 음식을 먹을 수가 없습니다. 우선 여러 잡곡을 푹 끓여서 꼭 짜내고 국물만 먹었습니다. 제철에 나는 채소와 다시마 끓인 국물 정도로 일주일정도는 속을 다스려야 죽이라도 먹을 수 있었습니다. 긴 단식 중에는 물 종류 이외에는 먹을 수 없다는 것을 단식을 해본 분이라면 잘 알 것입니다.

언니가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억지로 등을 떠밀어 집에 오기는 했지만 가만히 앉아 있을 수가 없었습니다. 속상해서 집에 돌아오자마자 맡겨놓은 아이들을 데려올 생각도 않고 펑펑 울었습니다. 다른 때 같으면 울만큼 울면 속이 시원해지는데, 왜 울면 울수록 답답해지는 것일까요? 누구를 원망할까요? 단식을 하는 언니를 원망할까요, 아니면 가만히 쳐다만 보고 있는 청와대를 원망할까요, 그것도 아니면 하늘을 원망할까요?

제게 언니는 내가 죽으면 아무도 손대지 못하게 하고 니가 꼭 가족장으로 해달라고 신신당부를 했습니다. 저는 알았다고 안심을 시켰지만, 기가 막혀 웃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어이없는 환경영향평가로 산과 계곡을 마구잡이로 훼손시키는 사람은 죄가 없고, 그것을 지키려는 사람은 죽음 앞에 서야하는 게 우리의 자연보호 현실이었습니다. 지키는 것 역시도 우리의 몫입니다. 모든 분들이 공이 적고 많음을 따지지 말고 한마음으로 도와주시기를 간절히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