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 13 The New Kingdom of Egypt 


이 시기가 이집트의 황금기라고 한다. 부유하고 강하고.


Thutmose 1세는 장군으로서 힉소스를 몰아내는 데 기여했고, 왕이 되어서는 누비아와 가나안 남쪽을 정복했다. 


The Hyksos had come down and taken over Egypt. 

Now he had gone up and taken over the land of the Hyksos. 


come down - gone up 의 대구가 재미있다. 


Hatshepsut - 왕이 되기 위해 남자인 척 했다는 (왕좌에 앉을 때는 가짜 수염도 달았다고) 게 조금 서글프면서도 얼마나 잘 했으면 나머지가 납득했겠나 싶기도 하고. 역사 속에서 뛰어난 여성 한 명씩은 꽤 있었다는 것이 한편으로 위안이 되기도 하지만 아쉽다. 


She built more monuments than any other Egyptian queen


king이 아니라 queen인데... 다른 queen과 비교해서는 많은게 당연하지 않을까?



Amenhotep and King Tut


polytheism 다신숭배 / monotheism (유)일신숭배


이집트에서는 왕 파라오도 신으로 받들어졌으니, 파라오가 상징하는 태양신 하나만 유일신으로 믿게 하고자 하는 것은 왕권 강화와 관계가 있을 지도 모르겠다. Amenhotep -> Ahkenaten 으로 이름까지 바꿨고 아들의 이름도 Tutankhaten으로 지었지만 신관을 비롯한 사람들의 불만이 많았는지 Ahkenaten 이 죽자 바로 이전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아들인 다음 왕 (King Tut, Tutankhamen)이 일곱 살에 왕위에 올랐으니, 힘있는 어른들이 자기들 입맛대로 바꿀 수 있었을 것 같다. 


(aten은 사람의 형상을 하고 있지 않은, 태양에서 빛이 나오는 모습으로만 형상화된 유일신, amen은 이집트의 주신 amun의 유사 표기이다)


투탕카멘인지 King Tut인지의 무덤의 발굴에 관한 '저주' 이야기는 유명하다. 사람이 많이 죽었다면 보물을 서로 차지하려고 죽였거나, 미이라가 매개가 된 바이러스 감염 뭐 이런 것이 원인 아닐까? 



Chap. 14 The  Israelites Leave Egypt 



Abraham-Isaac-Jacob 으로 이어져 Jacob의 아들들이 이스라엘을 세웠다고 한다. 유일신을 믿었고.. 기근이 들어 Egypt로 갔다가 노예가 되었다. (God은 왜 이스라엘에 기근이 들었을 때 해결해주지 않고 이집트로 가게 만들었을까?) 


이집트는 힉소스의 침입을 한 번 경험했기에, 이스라엘 사람들의 수가 많아지자 이들이 이집트를 공격할까봐 걱정했다. 그래서 태어난 남자 아기들을 죽이라고 하는데... (이때부터도 가부장제가 확립되어 있었구나 - 뭐 왕도 다 남자지)


모세는 그래서 태어난 지 3개월 만에 갈대 바구니에 담겨 나일강을 따라 떠내려 간다. (저번에 Sargon도 유프라테스 강에서 바구니에 담겨 떠내려 갔었다) 모세는 이집트 공주의 양자로 궁정에서 자랐지만, 커서 자신이 이스라엘인임을 깨닫고 신의 계시를 받아 이스라엘인들을 이집트 밖으로 탈출시킨다. 이것이 출애굽기 (Exodus)의 내용이다. 



출애굽기에는 열 개의 재앙 plague 이 나오는데 이 재앙은 


Each one of these plagues showed that the God of the Israelites was more powerful than all the gods of the Egyptians. 


임을 보여주는 증거(?)였다. 여기서 다시 polytheism과 monotheism의 충돌이 일어나는 듯. 누구 신이 더 센가 힘자랑이라고 생각하면 유치해보이지만 인간에게 그 결과는 전혀 유치하지 않았으므로, 파라오는 모세에게 이스라엘인들을 데리고 가라고 하였다. 


홍해를 가르는 기적으로 이스라엘인들은 무사히 탈출한다. (어릴 때 봤던 영화 <십계>의 장면이 생각난다..) 

모세의 기적은 계속됩니다! To be continued...


이렇게 해서 강력했던 New Kingdom of Egypt는 한 챕터만에 약해지게 된다. 




Chap. 15 The Phoenicians 



저번에 이집트인들이 가나안의 남부를 장악했다고 했는데, 페니키아인들은 가나안의 북부에 살고 있었다.








(그림 출처: 가나안 및 주변 족속들 :: 아촌의 이야기 (tistory.com))



예루살렘은 가나안의 중간쯤에 있고 그 옆 '소금바다' 라고 쓰여진 것이 사해 (Dead Sea). 

다윗과 골리앗 중 골리앗이 불레셋 사람이었는데 불레셋의 영토가 현재 가자 지구와 비슷한 것 같다. 영역은 별로 변하지 않은 듯. 


이 그림 위에 붙어있는 제목이 재미있다. '약속의 땅에서 쫓겨나게 되어 있었던 민족들' ㅋㅋㅋ



페니키아 동쪽에 '갈릴리 바다' 라고 쓰여있는 것은 예수가 물을 걸었다고 하는 갈릴리 호수다. 

페니키아에 해당하는 지역은 지금 레바논의 영토에 해당하는 듯. 



페니키아 인들이 살던 가나안 위쪽은 산이 많아 살기 좋지 않았고, 그래서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 무역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들은 무역 외에 유리를 만드는 것으로도 유명했는데, 나무가 타고 남은 재에 물을 섞어서 (그러니까 이게 잿물 lye) 모래와 함께 가열하여 액체로 만들고 그것을 주형에 부어 유리를 만들었다. 염료나 색실, 귀금속을 유리에 넣기도 하였으며 불어서 blowing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었다. blown glass 만드는 것을 베네치아 옆의 무라노 섬에서 본 적이 있는데... 옆에서 보는 것도더웠고 무척 힘들어 보이더라. 유리로 만든 종을 기념품으로 사 왔는데 20년 지난 지금도 아직 잘 있다. 



그나저나, 유리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은 온도를 섭씨 1600도 정도로 높일 수 있었다는 뜻인데.. 

유리의 주재료인 석영 quartz 가 1기압에서 녹으려면 섭씨 1700도 정도로 온도를 높여줘야 한다. 이 정도면 철기 (철의 녹는점이 섭씨 1500도 정도) 도 만들 수 있었을 것 같다... 뭐 녹인다고만 만들 수 있는 건 아니지만. 어쨌든 앞부분에서는 아직 청동기를 사용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곧 철기 이야기가 나올지도 모르겠다. 이미 사용하고 있을 수도 있고. 



페니키아 인들은 지중해를 누비면서 정착지를 만들었다. 그 중 가나안 근처에 Tyre (정착지라기에는 원래 자기네 동네인 것 같은데, 어쨌든) 그리고 아프리카 현재 튀니지 근처에 Carthage라는 도시가 컸는데, 이것이 아마 로마와 싸웠던 '카르타고'의 표기인 듯 하다. (다락방님이 은퇴 후 가고싶어하시는 몰타가 근처에 있다) 



Tyre의 공주 Dido가 목숨의 위협을 받자 탈출하여 세운 도시가 카르타고라고. 이 디도가 아이네이아스와 함께 나오는 그 디도가 맞나?  

어쨌든 소가죽을 얇게 저미는 방법으로 (가죽 띠로 땅 가장자리를 두른 듯) 넓은 땅을 차지했다고 한다. 소가죽.. 양을 키우던 이집트 가나안 등에 비해 카르타고는 소를 키울 수 있는 덜 건조한 지역인 것 같다. 



페니키아 하면 알파벳 아닌가? 저번에 얘기가 나왔었나...?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읽는나무 2023-10-07 07:1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몰타ㅋㅋㅋ
전 아직도 이집트를 못벗어났네요.
빨리 진도 빼야 하는데....한 번 손을 놓으니ㅜㅜ
어여 다시 붙들겠습니다.
페니키아!!! 알파벳 이야기 나오는지 제가 찾아보고 알려드리겠습니다.ㅋㅋㅋ

건수하 2023-10-07 19:20   좋아요 0 | URL
이집트 앞으로도 또 나오지 않을까요? 벗어나려 하지 마시고 맘 편히 읽어보세요 ^^

단발머리 2023-10-07 21: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우아... 진짜 성경 이야기가 많이 나와서 무척 가깝게 느껴집니다.
<약속의 땅에서 쫓겨나게 되어 있었던 민족들> 웃기면서 슬프고 그러면서도 ㅋㅋㅋㅋㅋㅋ

건수하 2023-10-07 19:20   좋아요 1 | URL
책에도 그 땅이 empty 하진 않았다, 다른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고 나오긴 합니다 ^^

저도 여호수아기 까지만 읽었고, 다른 부분은 영화 <오멘> 보고 요한 묵시록 찾아보는 정도..?
그래도 서양 문화를 이해함에 있어서 도움이 될 때가 많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