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줄만 옮겨둠

(페이지수는 구판을 따릅니다)


<래크랜트 성> (1800) 은 마리아 (에지워스)의 초기 작품 중 가장 인기있었던 저작 중 하나였을 뿐 아니라 <노생거 사원>에서 우리가 발견했던 것과 놀랄 만큼 유사하게, 가부장제에 대한 전복적인 비판을 담고 있다. ... <래크랜트 성>은 또한 갇혀 있는 아내에 대한 흥미 있는 에피소드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더 나아가 노생거의 내려다보이는 복도에서 우리가 발견했던 비밀과 이 작품을 연결시켜 주고 있다. (287-288)

아버지의 서재에서 작업했고, 원래 아버지를 기쁘게 해 주기 위해서 글을 썼던 마리아 에지워스는 이 초기 소설에서 겉으로 보기에는 충성스럽고 약해 보이는 자의 보복적인 원한을 극화함으로써 아버지의 통제를 벗어나고 있다. (290)

마리아 에지워스는 분명 그녀의 저자(아버지)가 없다면 자신은 존재할 수도, 창작할 수도 없을 것이라며 걱정했지만, 우리가 "여성이 작가가 된다는 것에 대한 불안" 이라고 불렀던 그 문제를 그녀 자신이 아버지의 펜인 것처럼 글을 씀으로써 해결했다. ... 마리아는 또한 아버지의 편집 기술, 비평, 창의성만이 자신이 쉽사리 빠져드는 마음의 동요와 불안을 덜어줄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하였다. (291)


오스틴의 초기 작품에서조차, 그녀가 패러디라는 '표지' 나 '압지' 뒤에 분명 숙녀답지 않은 견해를 숨기고 있다는 실마리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삐걱거리는 소리를 예상하고 사용된 압지는 오스틴의 후기 소설에 존재하는 훨씬 더 유기적인 숨김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 우리는 오스틴이 <노생거 사원> 이후 암묵적이고 반항적인 비전과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예의 바른 형식을 결합시켜 보려고 애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94)


오스틴의 예의 바름은 모든 후기 소설에서 그녀가 가르치기 시작한 공공연한 교훈에서 가장 또렷하게 나타난다. ... 오스틴은 항상 남성의 경제적-사회적-정치적 힘에 경의를 표한다. 부적절한 아버지를 거부하는 모든 여주인공들은 더 훌륭하고 더 예민한 남자들을 찾아 나서지만 그 남자들 또한 여전히 권위를 대표하고 있다. ... 남자가 된다는 것은 자신을 증명하거나 시험하거나, 혹은 직업을 갖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 여성이 된다는 것은 자신의 성취를 단념하고, 남자나 그가 제공하는 공간에 순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295)


여성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복종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을 극화시키고 있는 오스틴의 이야기는 특히 남성 독자들에게 아첨하고 있다. 오스틴은 아무 여자나 길들이는 것이 아니라, 특히 반항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한 소녀가 분별 있는 남성에 의해서 사랑스럽게 정복당하는 이야기를 주로 그리고 있기 때문이다. ... 그러나 동시에 우리는 오스틴 자신이 이 표면적인 이야기 아래에서 "모든 것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게 될 것이다. (296) 



작가로 살기 시작할 때부터 이중적으로 말하는 방식에 매료되었던 소설가는 여성의 침묵, 회피, 그리고 거짓말을 여성들이 필수적으로 갖추고 있어야 할 이중성의 불가피한 징후로 보고 있다. ... 여성들은 침묵과 고요와 종속의 유리관에서 살 때만 남자에게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또한 동시에, 오스틴은 여주인공들이 자신들의 '광기' 라고 불렀던 주체성을 그들 이야기의 마지막까지 절대 포기하지 않았다. (306-307)


모든 여성이 세상에 자기주장을 하고 싶은 욕망과 가정이라는 안전한 곳으로 들어가고 싶은, 서로 대립되는 욕망 (말과 침묵, 독립과 의존) 사이에서 분열되고 있을지라도, 오스틴은 이러한 심리적인 갈등은 해결될 수 있다고 암시하고 있다. 여성에게는 개인적인 정체성과 사회적 역할의 관계가 매우 문제적이지만 새로운 자아는 이중의 비전을 견지함으로써 생존의 방식을 터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스틴의 추종자들이 항상 인정했듯이, 오스틴은 조화에는 대가가 따른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조화에 대해서 쓰고 있다.  (308)


오스틴의 여주인공들은 침묵을 조종의 수단으로, 수동성을 권력을 얻기 위한 전략으로, 순종을 그들에게 가능한 유일의 통제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여, 그들이 원하고 필요로 하는 것을 얻어낼 수 있을 때, 순종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으로는, 이 순종의 과정과 그것에 뒤따르는 이중성은 이를 통해 진정한 영웅으로 상승하는 여자들에게는 심리적으로나 윤리적으로 이로우며, 심지어 은혜이기도 하다. 반면 보부아르가 여성들 자신의 '타자'라고 말했던 것에 빠져 있거나 갇혀 있는 여주인공들에게 그것은 고통스러운 타락인 것이다. (309)


오스틴이 가장 주의 깊게 이 이중성의 대가를 탐색하고 있는 <맨스필드 파크>에서, 성숙한 작가는 여성에게 공통적인 이 심리적 분열이 재통합될 수 없을 때 어떻게 그것이 전면적인 파편화로 폭발할 수 있는가를 극화 시키고 있다. 오스틴의 어떤 소설도 이 소설만큼 자아와 타자 사이의 갈등으로 개인이 정신분열을 일으켜 파편화 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 민감하게 묘사한 작품은 없다. (311)


천사 같은 침묵 속에 갇힌 채, 패니는 극단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결코 자신을 주장하지도 활력을 띠지도 않는다. 그리고 극단적인 상황에서도 패니는 단지 수동적인 저항을 통해서만 성공할 뿐이다. ... 오스틴은 패니가 침묵, 자제, 고집, 그리고 심지어는 잔꾀를 통해서만 자신을 주장할 수 있다는 사실을 매우 주의 깊게 보여주고 있다. ... 얌전한 순수성을 지녔으며 거의 위선에 가깝게 말을 아끼는 패니는 오스틴의 다른 여주인공들보다 훨씬 덜 매력적이다. (312)


메리의 유일한 죄가 언어적인 면에 있는 것으로 보일지라도, 우리는 반복해서 메리의 마음이 "타락하고 현혹되었으며, 그것도 그렇다는 것을 전혀 눈치채지도 못한 채, 마음 자체는 밝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어둡다" 는 말을 듣는다. 메리는 패니와 에드먼드가 악으로 규정하는 것을 '어리석음' 으로 변명하고 있기 때문에, 메리의 언어는 그녀의 무례함, 그녀의 '무뚝뚝한 섬세함' 을 드러내 준다. ... 에드먼드를 가장 기분 상하게 하고, 결국 그가 메리를 거부한 이유가 '메리가 말하는 방식' 에 있었다는 사실은 의미 심장하다. ... 이단적이고 세속적이며 냉소적이어서 교회라는 제도를 경멸하고 있는 메리는 저주받은 이브다. (313-314)


많은 비평가들은 오스틴 소설의 '행복한 결말' 에 나타나는 이중성을 주목해 왔다. 이 결말에서 오스틴은 연인들을 매우 서둘러서, 또는 있음직하지 않은 우연의 일치로, 또는 모든 메시지를 약화시켜 버릴 정도의 빈정거림으로 축복의 가장자리로 데려오는 것이다. 호의적인 화자의 도움이 없다면 소녀는 결코 치욕감이나 부모의 집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암시가 여전히 남아있는 것이다. 

오스틴의 이중성이 좀 더 애매하게 나타나는 경우는 극도로 강력한 여자들을 재현할 경우다. ... 레이디 수전처럼... 남성의 권위 속에서 살아남았다는 바로 그 이유 때문에 남자들에 의해서 더 이상 규정받지 않는 과부들인 이 여성들은 권력을 정당화할 수는 없을지라도 권력을 행사할 수는 있다. 그리하여 그들은 뻔뻔스럽고 위험해 보인다. 그러나 그들의 에너지가 파괴적이고 불유쾌한 것으로 나타난다면, 그 이유는 오스틴이 자신의 가장 독단적인 측면을 타자로 가장하는 메커니즘 때문이다. (318-319)


노리스 이모는 모질고, 다른 사람을 조종하며, 자기 식대로 밀어붙이는 여성으로 다른 사람을 그들 식대로 살게 놔둘 수 없는 인물이다. .... 오스틴 소설에 나오는 다른 모든 '선량한' 어머니들 (죽거나, 죽어가거나, 바보이기 때문에 수동적인) 처럼 버트램 부인은 순종의 필요성과 재정적으로 안전한 결혼의 중요성, 그리고 이 가치들에 어울리는 무지를 가르치고 있다. 시끄럽게 부산을 떨고 다녀도, 노리스 이모는 버트램 부인의 딸들에게 훨씬 더 애정 깊은 어머니다. .... '선량한' 어머니의 모습과는 달리, 나쁜 노리스 이모의 모습은 여성의 힘, 노력, 그리고 정열이 생존과 즐거움을 위해 필요하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320-321)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2-11-09 11:4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 수하 님 정말 쭉쭉 진도 나가시네요!!! >.<

건수하 2022-11-09 16:20   좋아요 0 | URL
사실 아직 진도가 밀려있습니다... ^^;;
다락방님 갖고다니면서 읽을 수 없어 힘드실 것 같아요. 힘내세요!

책읽는나무 2022-11-09 20:0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벌써 반 정도 나가셨군요??
우와....😃🙊
오늘은 서문이라도 다 읽고 자야겠네요^^

건수하 2022-11-09 20:29   좋아요 1 | URL
16장까지니까 아직 반은 안 되었어요 :)
7장까지 읽었는데 밀턴의 실낙원 때문에 고민입니다.

나무님 서문 재밌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