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사소하더라도 성공을 맛보면 그 일 자체가 즐거워지고 없던 의욕도 다시 생겨난다. 긍정적인 자극은 또 신경의 감도를 높이고 두근두근하는 설렘과 희열을 느끼게 할 것이다. 이 지점에서 삶의 선순환이 시작된다. - P50

꺾이지 않는 마음의 근본적인 지지대는 체력이다. 일이든 놀이든, 체력이 부족해 중간에 그만둘 때면 억울하지 않은가? 스스로 정한 목표를 달성해 최고의 경치를 보기 위해체력은 평소에 길러둬야 한다. - P146

‘독서를 꾸준히 하면 ‘사고 근육‘을 유지할 수 있다. 


꼭 두꺼운 소설이나 전문 서적이 아니라도 된다. 사실에 근거한만화도 좋다. 스토리를 따라 차분히 읽기만 해도 사고 근육을 단련할 수 있다. 사고 근육은 사물을 깊이 파고들어 본질을 꿰뚫어 보는 데 필요하다. 사물을 깊이 파고들때 속도감이 더해지면 더할 나위 없다. 어른이 돼서도 사고 근육을 충분히 단련할 수 있으니 무엇이든 꾸준히 읽을 것을추천한다. 물론 사고 근육을 단련하는 데 독서가 반드시 최선이라는 말은 아니다. 멋진 사람을 만나 재미있는 이야기를 듣거나, 특이한 장소에서 흥미로운 체험을 자꾸 하다 보면 사고 근육이 자연스레 활성화된다.

이런 측면에서 보자면 독서가 물론 좋긴 하지만, 시간대비 효율이 좋은 사고 근육 단련법이라 보기는 어렵다. 정보 수집의 속도 면에서 보면 잘 정리돤 뉴스 미디어를 읽는 것이 가장 빠르다.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면 고민하지 말고 체험을 최우선으로 고르는 것이 좋다. 독서가 최고라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읽고 싶으면 읽으면 된다.‘ 정도로 생각한다.

중요한 것은 사고 근육을 유지하는 것이니까.

꼭 시간을 들여 정독할 필요도 없다. 요점만 파악해 읽는 독서법이면 충분하다. 책을 맘이 읽다 보면 빨리 읽는 요령이 생긴다 산 책을 닥치는 대로 가볍게 흝어보는 독서법을 추첨한다. - P1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나‘라고 말할 때의 ‘나‘가 무엇인지, 남아 있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건 그 무엇보다도 우리 내면의 변화입니다. 이상한 일이지만, 오직 우리가 인식하는 자신과 달라질 기회를 스스로에게 허락할 때, 우리가 정말로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감히 믿을 때에야 비로소 우리 정체성 내면의 한 부분이 드러납니다.
그리고 당신은, 어쨌거나 변화를 무척 바라고 있지요. - P97

사실과 숫
"내가 하려는 말은 가장.
자에 관한 것이라는 얘기야. 굳이 그걸 경험할 필요는 없지. 기억은 머릿속에 저장한 자료의 한 조각이니까. 경험은 완전히 다른 문제야. 경험은 사람을 변화시키니까. 우리가 파는 것도 그런 거란다.
정보가 아니라 변화."

그녀는 방공호를 한바퀴 돌더니 다시 그들을 보았다.

"어쨌거나 너도 사람들이 뭘로 만들어져 있는지 알고 있지? 사람들은 경험으로, 자신들이 겪어 온 모든 것으로 이루어져 있어. 그래, 물론 시작점은 있지.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우리의 성격이형성되는 중심점으로서의 최초의 핵은 분명히 존재해. 하지만 우리의 경험과 선택이 우리를 만들어 나가고 변화시키지. 사람이 영웅이 되는 건 학교에서 영웅주의에 대해 배운 다음 나가서 용감한행동을 하기 때문이 아니야. 용감한 행동을 하기 때문이지. 행동이야말로 사람을 만든다. 행동이 내면의 여러 부분을 움직이게 하고사람을 짜 맞춰 그 자신으로 만드는 거야. ........" - P134

그 어떤 사람도 참아 줄 수 없을 때의 가장 절망적인 부분은 그 절망을 의논할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 P2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닷가에서는 모든 것이 수평선으로 납작해졌다. 세상은 땅과 하늘 사이에 눌린 긴 직선 몇 개로 줄어버렸다.  - P17

"과거 속에서 사시네요." 클레어가 말했다.
나는 신랄하게 대꾸하려다가 말을 끊었다. 사실 아이 말이 옳았다.
삶, 진정한 삶이란 투쟁, 지칠 줄 모르는 행동과 긍정, 세상의 벽에 뭉툭한 머리를 들이대는 의지, 그런 것이어야 한다. 그러나 돌아보면 내에너지의 많은 부분은 늘 피난처, 위안, 또 그래, 솔직히 인정하거니와 아늑함, 그런 것들을 찾는 단순한 일에 흘러들어가버렸다. 이것은충격까지는 아니라 해도 놀랄 만한 깨달음이었다. 전에는 나 자신을단검을 입에 물고 다가오는 모든 사람과 맞서는 해적 같은 사람으로보았다. 하지만 지금은 그것이 망상이었음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숨겨지고, 보호받는 것. 그것이 내가 진정으로 원하던 것이었다. 자궁처럼 따뜻한 곳으로 파고들어 거기에 웅크리는 것, 하늘의 무심한 눈길과 거친 바람의 파괴들로부터 숨는 것. 그래서 과거란 나에게 단지 그러한 은둔일 뿐이다. 나는 손을 비벼 차가운 현재와 더 차가운 미래를털어내며 열심히 그곳으로 간다. 하지만 정말이지 그것이 과거가 어떤 존재를 가지고 있을까? 결국 과거란 현재였던 것. 한때 그랬던 것.
지나간 현재일 뿐이다. 그 이상이 아니다. 그래도 - P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세상이 원하는 기준에 맞추어 일하라 >>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 가서, 아름다웠더라고 말하리라"라는 시 ‘귀천‘을 쓴 천상병 시인의 소원은 "내 집 하나만 있었으면"이었다. 심지어 그는 "누가 나에게 집을 사 주지 않겠는가?
하늘을 우러러 목 터지게 외친다"고도 했다. 그러나 1993년 그가 삶을 마감한 곳은 "주인 말고도 세 가구가 있는 집"이었고 열네 사람이 몸을 부대끼며 살던 곳이었다. 그래서 그는 "가난은 내 직업"이라고까지 했다. 그는왜 가난했던가. 시를 좋아하였기에 시만 썼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는 돈을다루는 상과대학을 다녔던 사람이다. 돈은 그의 아내가 찻집을 하여 벌었다고 하며 그 찻집은 2001년 현재 아직도 영업 중이다.


그가 가난하였던 이유는 무엇인가? 시집이 잘 팔리지도 않는 이 땅에서시를 썼기 때문 아닌가. 시인으로서 시만 쓴다면 대부분 가난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똑같은 시인이지만 많은 책들의 편자 혹은 역자로 등장하기도 하는 류시화는 내가 짐작하기에 전혀 가난한 시인이 아니다. 그는 보통 사람들이 무슨 글을 읽고 싶어 하는지를 찾아내 상품화시키는 유능한 편집자이며세상에서 대가를 얻어 내는 마케팅 기법도 아는 사람이다.


당신이 시인이라면 천 시인처럼 살 것인지 류 시인처럼 살 것인지는 당신 스스로 결정할 사항이며 그 어느 쪽의 삶이 우월하다는 말은 그 누구도하지 못한다. 하지만 어느 직업을 가졌든, 세상으로부터 더 많은 경제적대가를 얻어 내려면 그 대가를 결정하는 세상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알고있어야 한다. 세상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도 모르는 채 자기 최면에 빠져살게 되면 돌아오는 것은 실패와 좌절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패한 자들의 대부분은 세상이 원하는 것은 무시하면서 실패의 책임과 원인을 세상에 돌린다. 세상이 불공평하다느니 세상이 썩었다느니 세상이 학벌이나 인맥 둥으로만 이루어져 있다느니 등등.

실패한 자들의 핑계는 길고 긴 페러토리를 이룬다. 명심해라.
성공한 자둘은 어떤 일이 잘못되면 그 책임과 원인을 자기 자신에게서 찾는다. 절대 세상 속에서 핑계를 찾지 않는다는 말이다. - P1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어떤 선택이 우리를 인생의 결정적인 순간들로 이끄는지 결코 알지 못합니다.」 - P214

<인간이라는 종은 자신들의 집단행동이 낳은 결과르루마주해야 한다.> - P173

「성공적인 거짓말에 연료를 붓는 건 거짓말쟁이가 아닐세. 듣는 사람들이 기꺼이 믿으려 하는 마음이 연료를 공급하지. 먼저 그 믿고 싶어 하는 마음을 부수기 전에는 거짓말을 폭로할 수가 없어. 그러니까 사람들에게 그냥 진실을 말하기보다는, 진실로 이끄는 것이 훨신 효과적이라네.」 - P351

.「빤히 보이는 곳에 감추면 찾기가 가장 어렵다는 사실」 - P361

「소문이라는 게 낡은 지붕에 새는 비 같은 거지. 지붕 어디가 새는지 찾기보다 새지붕을 씌우기가 더 쉬운 법.] - P4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