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꼰대 아빠와 등골브레이커의 브랜드 썰전 ㅣ 자음과모음 청소년인문 3
김경선 지음 / 자음과모음 / 2015년 11월
평점 :
아직도 기억이 생생하다. 중학교 때 드라마 <마지막 승부>의 인기로 그해 겨울 시내에는 온통 발목까지 내려오는 파란 농구 코트를 입고 다녔던 청소년들로 북적였다. 그렇게 입고 다니는 게 멋있어 보여 나도 입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았지만 넉넉하지 못했던 형편이라 부모님께는 아예 말을 꺼낼 생각도 못했다. 당시에 언니들이 활발하게 경제활동을 하고 있어서 부탁을 해볼 만도 한데, 정신 차리라는 소리가 들려올 게 뻔하고 내겐 너무 과분한 것 같아서 그저 다른 사람들의 외투만 실컷 구경했다. 그래서일까? 나는 여전히 비싼 겨울 외투를 사지 못한다. 몇 년 전 가장 비싸게 샀던 게 20만원 대였으니 그 이상이 넘어가면 과분하다는 죄책감 비슷한 기분에 사로잡혀버린다.
어쩌면 나도 이 소설 속의 현수 아빠처럼, 친구들이 입고 다니는 고가의 브랜드 패딩을 사달라고 했을 때 단박에 ‘브랜드는 뱀파이어다.’ 라는 말을 서슴지 않는 꼰대가 되어 버렸는지도 모르겠다. 의도치 않게 현수와의 세 번의 논쟁을 하고 난 뒤, 나이키 운동화가 갖고 싶었지만 부모님이 짝퉁을 사주는 바람에 겪었던 일들이 떠올리며 현수의 마음을 헤아리게 될 때, 이상하게도 난 현수 아빠에게 더 동질감을 느꼈다. 아무래도 메이커(우리 때는 브랜드보다 메이커란 말을 더 많이 썼다)를 입고, 신지 못했던 기억이 많아서인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모르긴 몰라도 현수가 사달라는 브랜드 패딩은 내가 생각하는 것 이상의 고가일 것이다. 그런 고가의 패딩을, 청소년기에 그런 경험이 있다고 해서 덜컥 사줄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리고 현수만큼 준비하고 조사해서 ‘브랜드는 뱀파이어가 아니다’란 논쟁을 하는 기특함이 있다면 현수 아빠처럼 마지막에 고정 관념과 선입견을 깨고 현수의 부탁을 들어주었을 지도 모르겠다(저자는 영리하게 함께 백화점 가는 장면에서 마무리 했다).
브랜드는 부족을 만들지. 그 브랜드를 가져야 같은 부족의 될 수 있게 말이야. (…) 그렇게 브랜드가 세상에 선긋기를 하는 거야. 신분제는 사라졌지만 브랜드가 또 다른 신분제 구실을 하는 거지. 브랜드를 쫓다보면 너는 그런 부족이 되지 못할까 봐 불안할 거야. 브랜드가 만든 허상에 빠지지 말아야 해. 27쪽
솔직히 꼰대처럼 들리는 이 말을 인정하지 않을 노릇이 없다. 무조건 브랜드를 추구하지는 않지만 뭔가 더 나을 거라는 생각, 브랜드를 좀 더 우위에 놓는 편견은 여전하다. 때론 아무 생각 없이 ‘우와!’ 할 때도 있고, 속으로 세상에 선긋기를 했던 적도 있던 터라 나한테 하는 말 같아 찔릴 때도 있었다. 그렇다고 나에게 명품백이 있다거나, 무리를 해서 물건을 구입한 적은 거의 없는데도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게 놀라웠다. 하지만 좀 더 세세하게 파고 들어가면 현수가 말하는 좋은 브랜드의 가치를 알고 있음에도(탐스, 아름다운 가게, 빅이슈 등), 큰 금액은 아니더라도 브랜드와 한정판에 현혹되었던 적이 많았음을 깨달았다. 스타벅스만 해도 집에서 300미터 거리에 있다는 이유로 자주 들르고 한정판 사은품에 현혹된 적이 많았다. 나는 보통 기분에 따라 카페에 가는 터라 가장 먼저 절제하고 마케팅에 현혹되지 말아야 할 부분이다.
현수와 아빠는 세 번의 논쟁을 벌였다. 1대 1 상황에서 세 번째는 명확하게 결론이 나지 않았고, 앞서 말했듯이 아빠와 함께 백화점에 패딩을 구입하러 가는 순간에 소설은 끝이 난다. 브랜드 패딩을 사기 위해 이렇게 논리적으로 접근한다는 구성이 부자연스런 부분도(아빠와 현수, 누나까지 너무 똑똑했다^^) 있었지만 나 역시 브랜드와 마케팅의 숨은 뜻을 알고는 깨닫는 바가 많았다. 이럴 때일수록 현명한 소비의 필요성을 뼈저리게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