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주
요시모토 바나나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19년 5월
평점 :
나는 스테이크 가게 딸이라는 것이나 학력이 소소하다는 것을 단 한 번도 수치스러워한 적이 없지만, 다르다는 것이 조금은 마음에 걸렸다. 이런 게 사랑이지, 하고 생각했다. 다르니까 좋아하게 되는데, 달라서 닿지 않는다. 94~95쪽
가끔, 연애가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남편한테 얘기하면 찰떡같이 알아먹질 못하고, 퉁명스럽게 ‘연애 해!’라는 답변이 돌아온다. 이렇게 무뚝뚝한 사람이랑 어쩌다 6개월 만에 결혼을 했으며, 애를 둘이나 낳았을까 싶다가도 이내 포기한다. 그냥 포기하고 책이나 드라마 혹은 영화를 통해서 대리만족을 하는 게 더 빠르다.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면서 주인공을 통해 연애의 감정을 떠올려봤지만 추억으로 지나갈 뿐 생생하게 떠오르진 않는다. 당연하게도 결혼을 한 후에는 남편에게 설렘을 느끼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오히려 설렘을 느낀다는 게 어색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주인공 미쓰코와 연애를 하게 되는 남자 미야사카에 대한 동경은 있었다. 책만 읽어대고 말이 없다는 이유로 부인이 바람을 피워 이혼을 하긴 했지만 ‘독신에 건물을 갖고 있고, 서점도 물려받을 것이고, 사진을 잘 찍고, 지적이고, 앞으로는 늘 서점에 있고’ 라고 말하는 장면에서 나도 모르게 풋, 웃었지만(조건이 좋다며^^) 이내 인기가 많을 거라며 풀 죽어 하는 모습에서 늘 연애에 자신 없어 하는 내 모습이 보였다. 저자의 소설 인물들 특징인지 어쩐지 모르겠지만 미쓰코는 조건을 보지도 않고, 관계에 대해 다른 사람들의 눈치를 보지 않는다. 우리나라였다면 온갖 소문을 달고 다닐 일에 대해서도 서슴없다. 멀지만 친척 신이치와 연애를 하고 신이치의 아이를 유산한 뒤 아이 때문이 아니라 헤어지지만 주주에서 함께 일하고, 나중에 신이치의 부인이 임신했을 때 함께 산부인과를 가는 일(신이치, 부인과 스스럼없는 친구가 되었기에)들을 아무렇지 않게 말하고 행동한다.
일본문학을 읽었던 초기에는 다른 정서, 다른 문화, 다른 생각과 행동들이 낯설었다. 그리고 편견 없이 받아들이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지만 여전히 걸리는 부분들도 있다. 저자의 최근작들을 좋아하게 되면서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다보니 어떤 상황이 등장해도 ‘그러려니’가 되었다. 작품에 항상 죽음이 등장하는 것도 익숙하고, 미쓰코의 엄마가 돌아가시면서부터 ‘주주’가 시작되었다는 것, 미야사카 역시 엄마의 갑작스런 죽음에 고향으로 돌아와 서점을 물려받게 된다는 점들이 낯설지가 않다. 또한 이 소설의 시작이 미쓰코의 엄마를 추억할 수 있는 <지옥의 살라미 짱>이란 만화책이 등장한다는 것에 막연하게 미야사카와 이어질 거라고 혼자서 추측해 보기도 했다.
그래서인지 스테이크 레스토랑 ‘주주’에 대한 자부심, 예의를 갖추지만 타인의 시선대로 살지 않는 모습, 끊임없이 마음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그것에 따라가려는 모습에 동경을 느꼈다. 처음에는 연애에 대한 대리만족이었다면, 점점 자신의 삶의 방향을 스스로 정한다는 것이 부러웠다. 주변의 환경에 순응하며 긍정적인 마음을 갖고 사는 것. 처음엔 소소한 이야기라고만 치부했는데 이상하게도 그런 마음으로 삶을 살아가는 것에 대한 동경이 생겼다. 아무래도 내 삶의 주인은 내가 아니라는 생각, 환경을 탓하고, 나의 선택을 탓하는 나와는 상반되는 모습이어서 그랬나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