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Jos'e Saramago, [눈먼 자들의 도시]
신호등에 빨간 불이 들어왔다.
브레이크를 밟고 잠시 정지했다.
그런데 갑자기 온통 세상이 하얗게 변했다.
눈이 보이지 않았다.
소설 [눈먼 자들의 도시]는 이런 상황으로 시작한다.
잘 보이던 두 눈이 갑자기 보이지 않게 된다.
그것도 온통 세상이 하얗게 말이다.
실제로 눈을 감으면 세상이 하얀 것이 아니라 온통 어둠이다.
환한 불빛이 켜져 있는 곳이라면 그 어둠 속에 간간히 스파크가 일듯이 번쩍거리기도 한다.
하지만 온통 어둠이다.
그러나 [눈먼 자들의 도시] 속 사람들은 백색 실명이다.
세상이 온통 하慧?
문제는, 눈이 먼 이유를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도로 한복판에서 한 남자가 처음으로 갑자기 눈이 먼 이후, 전염병처럼 온 도시의 사람들이 눈이 멀었다.
단 한 사람, 의사의 아내만을 제외하고 말이다.
[눈먼 자들의 도시]는 만약 이 세상 모두가 눈이 멀어, 단 한 사람만 볼 수 있게 된다면..... 이라는 가정 하에 쓰여진 소설이다.
소설[파리대왕]을 기억할 것이다.
무인도에 내려진 아이들은 이성과 질서를 지키고자 하는 한 무리와 폭력과 감정으로 치닫는 한 무리로 나뉘어져 치열한 전쟁을 벌인다.
소설 [눈먼 자들의 도시] 역시 그러하다.
처음 눈이 먼 사람들은 정신병원에 감금된다.
정상적인 도움을 주는 사람이 있다면 별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눈먼 자들만이 있는 정신병원은 무질서 속에서 생존을 위한 몸부림만이 남아 있다.
눈먼 자들에게 남아 있는 것은 세 가지, 식욕, 성욕, 그리고 폭력이다.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들 사이에서 배급된 식량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의 문제는 결국 생존의 문제이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이를 이용해서 사람들을 지배하려는 이들의 폭력이 난무하게 되고, 그 가운데 성욕을 채우기 위해 목숨을 위협하는 이들이 등장한다.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가 바로 식욕과 성욕이다.
이것은 끊임없이 요구되는 것이며 채워져도 부족한 것이다.
눈이 먼 상황에서도 그들에게 요구되는 것은 바로 식욕과 성욕인 것이다.
치열한 생존의 장에서 살아남은 이들은 결국 백색실명의 공포에서 벗어나 결국 하나둘 시력을 회복하게 된다.
소설의 중심이 되는 두 사람, 의사와 의사의 아내가 마지막에 나누는 대화에는 날카로운 칼날이 숨어 있다.
"왜 우리가 눈이 멀게 된 거죠. 모르겠어, 언젠가는 알게 되겠지. 내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고 싶어요. 응, 알고 싶어. 나는 우리가 눈이 멀었다가 다시 보게 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나는 우리가 처음부터 눈이 멀었고, 지금도 눈이 멀었다고 생각해요. 눈은 멀었지만 본다는 건가. 볼 수는 있지만 보지 않는 눈먼 사람들이라는 거죠."
우리는 세상을 너무나도 선명하게 보고 있다.
왜냐하면 눈이 멀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세상의 본질은 보고 있지 못하다.
왜 어디에서는 음식이 넘쳐나 썩어 버리고, 어디에서는 굶어죽는 사람이 있는지?
누구는 부자이고 누구는 가난한 지....
왜 서로 싸우고 할퀴는 것인지...
세상의 부조리와 어려움, 그리고 현실로부터 우리는 우리의 눈을 가린 채 눈먼 자인 체 하고 있다.
볼 수 있지만 보지 않는 눈먼 사람들
그것이 바로 사라마구가 이 책을 통해서 날카롭게 지적하고자 했던 것이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