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나는 흐린 酒店에 앉아 있을 거다 - 1998 제1회 백석문학상 수상작 문학과지성 시인선 220
황지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론 세상 모든 것은 변하게 마련이고, 90년대의 황지우가 80년대의 황지우와 다른 것은 당연한 노릇이다. 초창기 그의 휘황한 기교가 사람들의 입을 벌어지게 했던 것도 벌써 20여년 전의 일이니 아무도 그에 더이상 놀라지 않는 것이 정상이고, 저열하고 치열했던 이 사회도 적잖이 바뀌었으니 그의 시에서 외침과 재채기가 잦아들었대도 이상한 일은 아니다.

그러나 그것이 내부로의 침잠과 걸핏하면 요술 방망이처럼 등장하는 선불교와 세상만사 초탈한 듯한 자칭 '문학의 귀족주의'를 정당화시켜주는 것은 아니다. 세상이 바뀌었다는 것은 결코 속세가 극락이 되었다는 뜻이 아니며 고차원적이라는 것은 결코 수사학적 허장성세와 등가가 아니다. 그렇게 좋아하는 선불교만 놓고 얘기해도, 선종도 어디까지나 대승불교의 일파다. 이 시집 어느 구석에서 대승보살적 태도를 엿볼 수 있는가?

나는 그의 이러한 변화를 단순한 변화로 보지 않고 후퇴 내지 (심하게 말하면) 은퇴로 본다. 그나마 썩어도 준치라고, 90년대에 새로 등장한 대부분의 형편없는 시인들보다는 여전히 낫긴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임꺽정 1 - 봉단편 홍명희의 임꺽정 1
홍명희 지음 / 사계절 / 199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만일 당신이 문학이나 문학비평을 할 생각이라면 이 작품은 필독 한국문학 10선 안에 들어간다. 만일 당신이 대하소설, 역사소설 류를 좋아한대도 이 작품은 필독 10선, 어쩌면 5선 안에 들어간다. 순우리말에 대해 관심이 많다면, 일제시대 소설에 대해, 혹은 월북작가에 대해 그렇다 해도 마찬가지로 5선 안에는 들어가고도 남을 듯하다.

이렇듯 숱한 문학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작품이면서도 [임꺽정]은 또한 재미가 있다. 대하역사소설 특유의 재미도 물론 넉넉하거니와 토속어들의 진수성찬으로도 그러하다.(한 페이지마다 뜻을 모르는 단어가 한둘씩은 나올 정도다. 다행히 권말부록으로 자세한 설명들이 되어있지만.) 일제시대 조선의 3대천재 중 하나로 꼽혔던 벽초 홍명희 필생의 역작이라는 거창한 카피문구에 주눅들 필요도, 거꾸로 의심할 필요도 없다. 검증이 끝난 명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논어집주 - 현토완역, 개정증보판 동양고전국역총서 1
성백효 역주 / 전통문화연구회 / 2006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논어를 번역하고 해설한 책은 수도 없이 많고 그중에서는 스타급 학자의 것도 있지만, 번역에 있어서나 해설에 있어서나 일단 '스탠더드'로 꼽히는 것은 이 저본인 것으로 알고 있다. 우선 표준으로 인정받는 원전을 읽은 다음에 그와 다른 독특한 해석들을 접하는 것이 옳은 순서가 아닐까 한다.

책의 구성을 보면 우선 한글 토가 첨부된 한문 원문이 큼지막하게 나온 다음에 한글 번역이 뒤따른다.(전통주의자들의 방법 그대로다.) 아래에는 해설이 딸려있는데 이 해설이란 것이 다름아닌 주자의 것이다. 따라서 해설도 한글 토가 첨부된 한문 원문과 한글 번역으로 되어있다.(번역자의 해설이 따로 있지 않다.) 즉, 단순한 [논어] 번역본이 아니라 [주희 해설판 논어]의 번역본인 셈이다. 여기에 반론을 제기할 수는 있지만, 어쨌거나 정전(canon)은 이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묵자 - 신역, 명문동양고전 27
김학주 / 명문당 / 1989년 11월
평점 :
품절


유가, 도가, 법가와 함께 제자백가 중의 가장 중요한 사상이자 그중에서 가장 진보적이고 해방적인 유파였던 묵가. 진보와 동양에 함께 관심을 가지고 있는 모든 사람들이 필독해야 할 '수천년간의 불온사상'이 바로 묵자일 것이다. 사회주의 체제 수립과 더불어 중국대륙에서는 비로소 재조명을 받기 시작했지만 한국의 경우엔 반공이념이 지배하던 8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거의 연구되지 않았었다.(현대 한국의 중국철학 연구가 철저하게 대만 학자들의 영향권 하에 있었다는 점, 대만 학자들의 반공주의 또한 만만치 않다는 점을 잊어선 안된다.)

몇 안되는 묵자 번역 중 그래도 괜찮다는 평을 받는 것이 명문당에서 나온 이 저본이다. 한참 전에 전집물 속에 포함되어 나왔던 것을 새로 다듬어 단행본으로 낸 것이 89년인데, 그 후로 추가적인 개정이 있은 것 같지는 않다. 한 가지 결정적인 흠은 세로쓰기로 되어있다는 것이다. 유림들이 작정을 하고 새로 펴낸 유가 경전들도 요즘은 모두 가로쓰기인 판국에 웬 세로쓰기인지 모를 영문이다. 어서 빨리 가로쓰기로 재편집하고 번역도 더욱 다듬은 신판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대 이집트 창해ABC북 1
기유메트 앙드뢰 외 지음, 옥승혜 옮김 / 창해 / 2000년 7월
평점 :
절판


이집트에 대한 상세한 지식을 원하시는 분들에게 이 책은 적합하지 않다. 무엇보다도 이 책은 사전식 구성이다. 가나다 항목별로 설명이 되어있다. 그 항목도 세분된 것이 아니라 수십개 가량의 항목에 각 2페이지 정도의 설명이 붙어있는 식이다. 한마디로 어중간하기 때문에 사전이라기에도 그렇고 개론서라기에도 그렇다. '주요 개념 해설집' 정도?

이 책이 위력을 발휘하는 것은 여행을 가서이다. 이집트 여행을 가시는 분들이라면 이 책을 꼭 지참하실 것을 권한다. 여행을 떠나면서 무거운 책을 가져갈 수도 없고 그걸 다 읽을 시간도 없다. 이 책은 부피가 얇기 때문에 우선 합격. 박물관이다, 유적지다를 돌아다니다 보면 사전식 구성으로 되어있는 이 책의 진가가 비로소 드러난다. 유적 앞에서 바로 꺼내어 찾아 읽어보면 그 길고 복잡한 신화와 역사들이 다소나마 이해되는 것이다.(이집트의 박물관이나 유적지에서 유럽과 같이 상세한 안내문을 기대하지 마실 것.) 용도를 이해하고 잘 활용만 하면 괜찮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