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지음 / 창비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갑작스럽게 펑펑 눈이 온 날이었다. 예상치도 못하게 간밤에 내린 눈이라서 아침에 그것을 바라본 나는, 오늘은 걸어야겠구나 생각했다. 내가 살던 고향은 눈이 드물었는데 어찌하여 이곳은 눈이 징그럽게도 내린다. 징하게도 내린다. 예전엔 눈이 마냥 좋았는데, 이젠 눈이 싫어졌나 보다. 아니 사실은 눈을 여전히 좋아하는데 눈 때문에 벌어질 일 때문에 눈이 싫다고 말해버리는 내가 싫다. 여튼, 눈 덕분에 오래간 만에 차를 두고 버스를 타고 지하철을 탄다. 덕분에 밀쳐뒀던 이 책을 든다. 자동차 핸들을 놓은 덕분에 내가 얻게 될 이 많은 여유.

 

  그런데 세상에 좋은 일만은 없다고 했던가. 참다가, 참다가 책을 보며 내내 솟아오르는 눈물을 누르기가 힘들어졌다. 심장이 갈라져 벌어진 틈을 붙잡듯이 오른손을 왼쪽 가슴 언저리에 올려놓고 있었다는 작가의 말이 낯설지 않았다. 출근길에 벌건 눈을 해 가지고 줄줄 눈물을 흘리는 사람을 지나가는 사람들이 흘깃거리기 시작한다. 이게 무슨 당혹스러운 일인지...

 

  학교에서 배운 광주항쟁은 그냥 5.18민주화운동이라는 차가운 글자였다. 많은 사람이 죽었으나 아는 사람이 없었고, 책 속의 글자는 늘 그렇듯이, 특히 교과서에서 본 글자는 늘 그렇듯이 나와 무관한 글이었다. 대학시절, 70년대를 배경으로 하는 소설 속에 무수히 그려졌던 슬픈 학생 운동의 처참함도 그냥 슬프구나라고 생각하며, 가슴보다 머리로 이해했었다. 그런데 '소년이 온다'라는 글을 읽고 있으니 이제껏 배웠던 5.18민주화 운동이 그냥 슬로건처럼 보이는 게 아니라 나의 일로, 우리의  일로 느껴지기 시작했다.

 

  이산가족의 상봉이, 삼풍백화점의 붕괴가, 세월호 사건이 모두 우리에게 일어난 일인데 나는 그걸 그냥 배우고 있구나 생각하니 슬퍼지려 한다. 우리가 배우는 그 거창하고 어마어마한 역사적 사건이 모두 한 사람의, 한 가족의, 한 이웃의 일이었는데 나는 그것을 왜 몰랐을까. 고통을 줄이기 위해 누군가는 사건을 조각조각 이해한다는데 나는 사건을 조각조각 내기보다 너무 통으로 이해했던 듯 싶다. 그냥 그들이 나인 것을. 광주의 이야기도 이제 전설처럼 남으려 한다. 야속하기만 한 시간은 세월호도 이미 과거로 만들어 버렸다. 노란 리본의 물결이 넘실대던 그때가 언제였는지 까마득해지려 한다. 그래서 이 책을 읽는 내내 눈물이 더 많이 나왔나 보다.

 

  우리가 할 일은 잊지 말아야 하고, 되풀이하지 말아야 하고, 또 다른 슬픔을 만들지 말아야 한다는 사실. 잊지 않아야 한다는 것은 세상을 참혹하게 만드는 그들과 싸우는 일인 동시에 무심하고도 강력한 시간과 싸우는 일임을 이제 알겠다. 방금 내가 한 말도 잊어버리는 나이지만 그럼에도 잊지 말아야 할 일이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되새기려 한다. 그래서 글쟁이들의 역할이 중요한 모양이다. 역사를 증언한다는 것, 시대를 노래한다는 것의 책무...

 

  도서정가제로 난리다. 어제 반값으로 팔던 책이 어느새 가격이 훌쩍 뛰어버렸다. 그래서 장바구니에 담기도 겁이 난다. 그래도 읽어야 할 책이 있다. 함께 읽고 함께 생각해 볼 문제이니까. 그래서 훌쩍 거리면서도 '동호'가  더이상 부끄러워하지 않게 이 책을 한 글자 한 글자 읽어본다. 잊지 말아야지. 그것부터 시작해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