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정의 히말라야 환상방황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 언젠가부터 여행기나 자기 이야기를 하는 에세이를 읽지 않기 시작했다. 대부분의 자기 자랑에 그치는 몹쓸 에세이와 첫 만남을 가졌던지라 에세이라는 자체에 별 감흥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래서 사람이든 책이든 첫 만남이 중요한 모양이다. 그리고 여행기는 그들의 여행담이 배아프고 그들이 다녀온 여행이 나에게 아무런 소용이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읽는 걸 기피했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직접 보지 않고 전해 듣는 것이 뭐 그리 좋을까 싶기도 했다고나 할까? 그런데 요즘 들어 에세이도 읽고 여행기도 읽기 시작했다. 엄마와 아들이 세계일주를 떠나는 '엄마, 일단 가고 봅시다!' 시리즈라든가 '굴라쉬 브런치' 등등. 그러던 와중에 등장한 것이 '정유정'의 '황상방황'이다. 그녀가 쓰는 여행기라니...

 

   그녀의 책은 정말 정밀하고 치밀하다 못해 세밀하기까지 하다. '7년의 밤'을 통해 유명세를 얻은 그녀지만 난 그녀의 전작들이 훨씬 좋았다. 소년들이 어른이 되는 이야기를 그린 '내 인생의 스프링캠프'도 좋았고, 이것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남다른 구성으로 심장을 뛰게 만든 '내 심장을 쏴라'도 너무 좋았다. 그리고 최근작 '28'은 더 말해 무엇하랴. 그녀의 필력은 무엇이든 밀어부치는 그녀의 성격과 맞닿은 모양인지, 긴장도 흥미도 집중력도 놓치질 않는다. 그래서 그녀가 다녀온 히말라야 이야기이지만 내가 다녀온 듯 빠져 읽었다. 겁쟁이와 쌈닭 속에서 왔다갔다 한다던 그녀의 고백도 그녀만의 고백이 아니라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고백처럼 들린 것은 나만일까? 

 

  세월호 사건으로 시절이 하 수상한 와중에, 가만히 있어도 눈물이 나고 죄책감에 시달리는 와중에 그녀의 책을 접해서 좋았다. 아무 걱정없이 키득거릴 수는 없었지만 그녀 덕분에 울음을 그칠 수 있었다. 히말라야는 마약과 같은 존재라고 익히 들은 바 있다. 히말라야를 다녀온 친구들은 그 힘든 길을 또 가지 못해 안달들이다. 일 년 벌어 한 달 다녀고, 일 년 벌어 한 달 다녀오는 그곳이 정유정 때문에 더욱 궁금해진다. 그녀의 글을 읽으면서 또 한 번 확인해 본다. 인생은 고해라는 사실을. 다들 자기들만의 고통을 이고 지고 살아가고 있구나라는 것을. 가끔은 그 고통이 버거워 누구에게 나눠서 지고 가자고 소리치고 싶을 때가 있지만 남들이 도울 수 있는 데는 한계가 있는 법. 우리가 헤쳐나가야 할 몫이 있을 거라 믿고 싶다.

 

부디, 제발, 모두에게, 모두가 짊어질 수 있는 고통만 다가오기를 바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