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테 신곡 강의 - 서양 고전 읽기의 典範
이마미치 도모노부 지음, 이영미 옮김 / 안티쿠스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고전'은 영어로 'classic(클래식)'이라고 한다. 그러나 나에게 '고전은 재미없으나 읽어야 하는 지루한 책' 정도로만 생각되었을 뿐이다. 그래서인지 그 유명한 '괴테'의 <파우스트>를 읽었을 때에도 1권까지는 그럭저럭 메피스토펠레스라는 캐릭터에 매력을 느꼈을 뿐 2권을 넘어가자 배경 지식이 부족한 덕분에 도통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을 그냥 읽어가는 것에 만족했을 뿐이다. 말 그대로 그냥 읽었을 뿐이지 내용은 전혀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고문(古典文學)'이 나에겐 '고문(拷問)'이 되어버린 셈이다.   

이러한 나의 무지함을 깨우쳐 주고 고전의 매력을 알려 준 책은 다름아닌 '강유원'의 <인문고전강의>이다. 이 책을 읽는 순간 고전이 얼마나 흥미롭고 재미있는 책인지 알게 되었다. 살짝 맛만 본 것인데도 그 강렬함을 잊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꼭 읽어야 할 책이 바로 클래식이란 생각을 갖게 된 것이다. 그런 나의 눈에 띈 두 번째 고전강의가 바로 '이마미치 도모노부'의 <단테 신곡 강의>이다. 이 책은 '고전'이란 무엇인지, '클래식'의 어원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지부터 친절하게 설명해 주며 이야기를 진행해 나간다. 저명한 저자들이 저지르는 실수 중 하나가 바로 자신이 알고 있는 사실을 다른 이들도 모두 알고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이야기를 전개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상식이라고 생각하는 것들은 나에게 지식일 경우가 많다. 그래서인지 고전을 비롯한 심도 깊은 강의는 시작부터 거리감을 느끼게 하기 마련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마미치'의 강의는 시작부터 나를 후욱 빨려들어가게 만들어 주었다.  

클래식은 라틴어 클라시쿠스에서 유래된 말로서 원래는 '함대'라는 의미를 가진 '클라시스'에서 파생된 형용사라고 그는 조곤조곤 설명하기 시작한다. 클래식이 고전이란 의미로 굳어진 이면에 담긴 설명만으로도 그의 수업은 쉽고 친절하다는 인상을 준다. 쉽고 친절한 강의는 학습자의 학구열을 높이기 마련이다. 그렇게 시작한 그의 강의는 바로 단테의 수업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우리가 조금이라도 수월하게 단테에게 접근할 수 있도록 울퉁불퉁한 길을 비로 쓸고 다져준다. 행여나 단테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이 길이라는 과정 때문에 사그라지들 않도록 도와주는 듯하다. 단테를 천국으로 이끌어주는 베르길리우스와 베아트리체처럼 저자는 우리에게 단테라는 여정의 길잡이가 되기를 자청한다. 

저자는 단테가 모범으로 삼은 베르길리우스, 베르길리우스가 모범으로 삼은  호메로스까지 거슬러 올라가 이야기를 시작한다. 우리가 당황하고 헤매지 않도록 시작부터 차근차근 짚어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단테를 공부하고자 한 나는 예기치 않게 호머의 일리아드와 오디세이아,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의 내용까지 덤으로 알게 되었다. 그 덕분에 단테로 다가가는 오르막이 턱없이 높게 여겨지거나 힘들게 생각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올라가는 수월한 여정이 될 수 있었다. 그렇게 시작한 단테의 신곡은 '지옥편, 연옥편, 천국편'으로 나누어져 있다. 희망을 버려야만 들어설 수 있는 지옥편을 설명하면서 지옥은 지하에 있는 것이 아니라 희망을 버리는 그 순간이 바로 생지옥이란 사실을 알려주기도 한다. 지옥문에 쓰인 비문을 읽어주며 단순이 옛날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날 우리가 되새겨야 할 의미로 상기시켜 주는 것이다. 그는 우리에게 지옥문이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희망을 잃게 만드는 말 한 마디, 상대를 배려하지 않는 행동 하나가 바로 지옥문이란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혹여 '나'가 다른 이의 지옥문이 되지 않도록 말과 행동을 조심하라는 그의 말은 우리에게 일침을 놓기에 이른다. 그런데 기분이 나쁘지 않는 것은 왜일까? 아마도 나를 다그치거나 비난하기보다 바른 길을 가게끔 이끌어주고자 하는 그의 선의가 충고에 대한 나의 반감을 없애주는 것이 아닌가 싶다. 단계적으로 나뉜 지옥의 구조 또한 흥미진진하다. 불륜의 죄보다 폭식의 죄가 더 크다는 부분에선 왜 슬며시 웃음마저 나오는 것인지. 식탐이 가득한 나를 돌아보며 미소지어본다.-고전을 읽으며 미소를 지을 수 있다니 이렇게 행복할 수가 없다. 괜히 내가 더 지적인 존재가 된 듯한 기분이 든달까? 왜 대부분의 학자들이 '단테'의 '지옥편'을 예찬하는지 어렴풋이 짐작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연옥편'과 '천국편' 또한 한 문장으로 정리할 수 없는 알찬 내용으로 가득하다. 지옥으로 떨어뜨리는 것은 가혹하고, 천국으로 보내기에는 부족한 이들이 머무르는 '연옥편'에서 만나는 이들의 모습은 나에게 주어진 시간을 어떻게 보내야 하는지 성찰하게 만든다. 참혹한 지옥편의 모습은 절대자의 가혹함을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죄에 따른 벌을 보여줌으로서 바른 길로 인도하고자 하는 사랑이라는 그의 가르침도 새롭게 다가왔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단테의 신곡에서 '지옥편'이 가장 뛰어나다고 이야기 하지만 '이마미치'는 "단테의 신곡은 '천국편'을 위한 것"이라 확신하고 있다. 그런 그의 확신에 힘입은 덕분이겠지만 '천국편'의 내용은 신비롭고 역동적이었다. 단순히 풍요로운 생활을 영위하고 만족할 수 있는 방탕함이 만연한 곳이 아니라 새로운 빛과 사랑으로 충만한 천국의 모습은 지루하게 느껴지는 곳이 아니었다. 또한, 천국에 도달했다고 안심하기보다 지옥과 연옥에 있는 영혼들을 위해 기도를 올리는 모습을 보며 우리 사회에서 평안한 생활을 누리고 있는 사람들이 가져야 할 자세 또한 생각할 수 있었다. 나만의 안위를 생각하기보다 인류의 행복을 생각할 수 있는 사람들이 가득한 곳, 그곳이 바로 천국일 테니 말이다.  

'단테'의 <신곡>은 베아트리체에 대한 단테의 사랑가라고 어처구니 없이 알고 있던 나에게 이 책은 단비와 같았다. 인문고전이 이렇게 재미있구나라는 사실을 안 것만으로도 벅찬데 단테의 신곡이 무엇인지 어렴풋이나마 알게 되다니... 뿌듯한 마음을 감출 수가 없다. 그래서 책장을 덮은 지금도 가슴이 두근두근거릴 정도이다. 이러한 길잡이만 있다면 고전에 한 애정은 날이 갈수록 커질 것만 같다. 이러한 강의를 직접 들은 이들은 얼마나 행복할 것인가! 간간이 이 글의 저자가 이탈리아어로 낭송해주는 신곡의 구절을 듣지 못한 것이 이렇게 애석할 수가 없다. 울림이 아름다운 이탈리어로 직접 낭송하는 원문은 또 얼마나 아름다우랴. 조만간 나도 이런 강의를 들을 수 있기를 바랄 뿐이다. 비싼 가격이라고 생각하여 큰맘 먹고 구입한 책인데 읽고 난 지금 저 가격이 너무나 가볍다고 느껴진다. 다들 '이마미치'가 쓴 <단테 '신곡' 강의>에 빠져보는 행운을 가질 수 있길 바란다. 

덧붙이는 말로 성급하긴 하나 올해 읽은 책 중에 단연 1위로는 '단테 신곡 강의'를, 2위는 '강유원'의 <인문고전강의>를, 3위는 '진중권'의 <미학오디세이>를 4위로는 <리스본행 야간열차1,2>를 꼽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