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에 번쩍 서에 번쩍 우리나라 지리 이야기] 서평단 알림
동에 번쩍 서에 번쩍 우리나라 지리 이야기 사계절 1318 교양문고 4
조지욱 지음 / 사계절 / 200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시간이 임박해서야 서평을 쓰는 것은 무슨 이유인지 나도 모를 일이다. 물론 게으름이 가장 큰 이유일 테지만, 그것만이 전부는 아닌 듯 하다. 마감일이 째깍째깍 다가오는 소리가 들려야지만 자판이 두드려지는 것은 일종의 습관이던가? 날이 갈수록 깜빡깜빡하는 횟수도 늘고, 나무늘보처럼 느적거리게 된다. 나이 때문이라 핑계를 대어보지만 민망할 뿐이다. 그나마 서평쓰는 것을 잊지 않은 것을 스스로 대견해 할 밖에...

이번에 읽은 책은 '지리 이야기'이다. 책을 읽고 나니, 참 오래간 만에 지리 수업을 조근조근 듣고 온 듯한 기분이 든다. 학교 다닐 때 칠판을 응시하며 정자세로 듣는 수업이 아니라 마룻바닥에 배를 깔고 누워서 듣는 이야기 같은 느낌. 암기를 해야 하는 딱딱한 수업이 아니라 말랑말랑한 수업이었다고나 할까? 그래서인지 책 분량은 얼마 되지 않지만 쉬엄쉬엄 들춰보며 꼭꼭 씹어 읽을 수 있었다..

그러나 내용 자체는 절대 그냥 읽고 버릴 수 없는 알찬 것들이었다. 난 이 책을 보고 팔도강산의 이름에 담긴 깊은 의미를 알 수 있었다.

p34  함경도는 함흥과 경성, 평안도는 평양과 안주, 황해도는 황주와 해주, 강원도는 강릉과 원주, 충청도는 충주와 청주, 경상도는 경주와 상주, 전라도는 전주와 나주, 이렇게 그 지역을 대표할 만한 고을의 첫 글자를 따서 8도의 이름을 만들었다.

그리고 우리나라가 냉온대 기후라는 사실도 알 수 있었고, 만년설이 무엇인지, 해수욕장의 모래는 어디에서 비롯되는지도 알 수 있었다. 늘어가는 인구문제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었고, 북한이 가지는 의미, 남북통일에 대한 우리들의 자세도 다시 한 번 살펴보는 계기가 됐다고 해도 과장이 아닐 듯 하다. 이제 누군가에게 물어보기조차 민망한, 내가 모른다는 사실조차 몰랐던 다양한 이야기들을 이 책에서 배울 수 있었다. 나의 아이가 자라서 기후에 대해, 지형에 대해 환경에 대해 묻는다면 전문가 같은 답변은 어렵더라도 조금은 자신있게 설명해 줄 수 있을 듯 하다.

저자가 쉽게 써 준 이유를 알 듯도 하다.  나에게 이 책은 아이들과 함께 읽기 좋은 지리과 부록 같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