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여자'라는 영화를 떠올리다 보니

영화의 장면이 아스라이 떠오르는 것 같다.

그러고 보면 많은 작품에서 사랑을 논했는데

난 그 모든 것에 고개를 끄덕끄덕 했다.

전혀 상반된 의견인 경우도 있었고, 비슷한 연결고리가 있는 것들도 있었는데

난 모조리 고개를 끄덕거릴 수밖에 없었다.

당신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궁금하다.

 

사랑의 빛은 남이 나를

사랑해 주기를 바랄 때가 아니라

내가 나를 사랑할 때 나오는 빛입니다.

민들레가 장미를 부러워 하지 않는 것은

자신을 온전히 사랑하기 때문입니다.

야생초가 만발한 들판이 아름다운 이유도

자신을 온전히 사랑할 줄 아는 온갖

꽃과 풀들이 서로 어울려

사랑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황대권' <민들레는 장미를 부러워하지 않는다> 중에서

 

첫사랑은 처음 해 본 사랑이 아니라 필생의 결정적인 사랑으로 정의되어야 한다.

인간의 다면적인 층위를 이해하지 못하는 순수의 상태와 무언가 폭발할 것 같은 생의 에너지가 결핍되어

첫사랑의 병적 상태가 생겨난다.

거기에 만일 결핍감 많은 성향과 더불어 불가피하게 상대를 만날 수 없는 상황이 뒤따른다면 그 사랑은 결사적인 것이 된다.

그런데 아쉽게도 첫사랑은 타면 재가 되는 연료와 같아서 한 번 겪어내면 영원히 그런 어리석은 열정은 다시 찾아오지 않는다.

그 한 번의 체험으로 심리학자가 돼버리기 때문이다.

첫사랑은 일생에 단 한 번밖에는 경험할 수 없다.

'깁갑수' <텔레만을 듣는 새벽에> 중에서
사랑이라는 말 역시 우리에게 꽤나 겁을 주는 말이다.

언제나 고압적이고, 성가시고, 뻔뻔하고, 부끄럽고 불쾌한 말.

일상 생활에서 농담 외에 쓰이는 것을 본 적이 거의 없다.

애정과 우정, 정열, 꿈, 그런 말들조차 감당하지 못하는데

사랑씩이나 되면 어떻게 다루면 좋을지 아무도 아는 사람이 없다.

 

십대 때에는 아득히 먼 곳에 빛나고 있는 언젠가는 도달할 수 있는 말이라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줄곧 찾다가 모르고 지나쳐버린 도로표식 같은 느낌이다.

결국 그게 없어도 목적지에는 도달할 수 있다.



 

 

 

'온다 리쿠' <흑과 다의 환상>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