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탈식민주의의 한계 - 자본주의와 토착문화와의 대립, 즉 자본주의 없는 자본주의의 열망

피에르 빌라르(Pierre Vilar)가 상기시키듯 자본주의는 '식민주의 및 세계시장으로부터 탄생했'으며 그에 따라 역사를 '보편화했다'. 자본주의는 처음으로 전 세계적 규모의 체계적인 사회적 상호의존관계를 수립했고 결국 이런 관계가 비자본주의 사회들마저 포괄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보편성을 띤다. 이런 측면에서 자본주의는 '여러 지역들이 공존하는 단일한 세계공간'에 의해 창출된 (세계시간이라는) 표준화된 척도를 확립시켰으며, 그 안에서 행위와 사건들을 양화시켜 단일한 연대기에 복속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다양한 사회적 관행들은 여전히 이런 추상적 척도 외부에 남아 있었다는 점에서, 자본주의는 역사를 완전히 '통합하지'는 못했다....토착문화(파르타 샤터지Partha Chaterjee의 오염되지 않은 자율적 문화능력에 의한 '반식민 민족주의'라는 기획)에 대한 호소야말로 바로 자본주의적 근대성의 기호이며, 자본주의에 대한 저항이라기보다 자본주의 자체의 근대적이고 이데올로기적인 프로그램이었다.(해리 하르투니언, <<역사의 요동>>, 휴머니스트, 2006, 121~122쪽)

=> 자본주의는 단일한 세계공간에 의해 표준화된 척도를 확립시켜 역사를 보편화하였지만 여전히 추상적 척도 외부에는 통합하지 못한 역사도 존재한다. 그렇다고 자본주의의 표준화된 척도 외부에 존재하는 것은 (예를 들어 토착문화 등)은 자본주의에 대한 저항은 아니다. 오히려 이는 자본주의적 근대성의 기호이며 자본주의 자체의 근대적이고 이데올로기적인 프로그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럽의 지방화'

디페쉬 차크라바르티는 민족국가, 자본주의, 시민사회, 합리성 등을 그 주요 구성요소로 하는 근대라는 개념이 유럽이라는 지방의 한 방언에 불과한데도 마치 전 세계의 표준어처럼 형세해왔다고 주장하면서 보편적인 것으로 가정된 유럽적 근대를 다시 '지방화'할 것을 주장한 바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인간을 이루고 있는 굽은 목재"(칸트)

이를 곧게 펴려고 하기 보다 "우리 주제의 모든 구부러짐과 불규칙성을 즐기며 그것들을 역사적 기록을 위하여 가능한 한 완전하고 정확하게 포착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카터 에커트, <헤결의 망령을 몰아내며: 탈민족주의적 한국사 서술을 향하여>,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 삼인, 2006, 51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양가성 ambivalence>

"20세기에 들어와서 그토록 남용되고서도 아직도 우리에게 설득력을 갖고 있으며, 심지어는 인상적으로까지 보이는 용어이긴 하지만, 이제는 양가성이라는 이 말로부터는 아무런 빛도 나오지 않으며, 사실 이 말은 어떠한 참된 설명의 근거도 되지 못한다는 것을 인정해야 될 때인 것 같다. 이 말은 단지 아직 해결되지 않은 어떤 문제를 지칭할 뿐이기 때문이다."

(르네 지라르, <<폭력과 성스러움>>, 민음사, 1999, 1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만일 건설할 줄을 모르면 파괴할 줄도 모를지며 파괴할 줄을 모르면 건설할 줄도 모를지니라. 건설과 파괴가 다만 형식상에서 보아 구별될 뿐이요 정신상에서는 파괴가 곧 건설이니라." (신채호, <조선혁명선언>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