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을 살리는 윤리적 소비, 철수맨이 나타났다>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생명을 살리는 윤리적 소비 - 내가 물건을 잘 사야 지구가 건강해요,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세종도서) 상수리 호기심 도서관 14
정원곽 외 지음, 이상미 그림 / 상수리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린. 에코. 환경. 공정무역. 등등. 너무나도 많이 듣던 용어들이다. 뚝뚝 떨어져 있는 이러한 개념들을 하나의 통합된 관점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책이 있다. 바로 「생명을 살리는 윤리적 소비」라는 책이다. 멜라민 파동, 광우병 반대 시위, GMO 옥수수 수입 반대(FTA 체결 반대) 등 뉴스에 나타나는 현안들 이면에 있는 문제와 개인이 실천할 수 있는 대안을 알고 싶은 이들과 자녀에게 교육하고 싶은 부모라면 이 책을 추천한다. 사실 표면에 떠오르는 현안에 대해서 문제가 있다는 것만 알았지 근본적으로 무엇이 문제인지는 몰랐던 성인이 나에게 조차도 이 책은 훌륭한 지침서가 되었다. 

사실 뉴스를 보고 있자면 개인이 할 수 있는 것은 거의 없는 듯이 보인다. 멜라민 파동이야 중국산 및 멜라민 함유 제품을 수입 금지하도록 정부에서 조치를 취하면 될 것 같고, 광우병 소고기를 수입을 반대하지만 정부에서 원산지 표기를 하도록 하지 않으면 무슨 고기를 먹는지도 모를테고, GMO 옥수수인지 어떤 옥수수인지 모르고 그냥 샐러드를 먹을테니 말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개인이 취할 수 있는 목소리가 '있다'고 말하고 있다. 바로 '윤리적 소비'를 통해서. 

그렇다면 윤리적 소비란 무엇인가? 한마디로 모두가 행복해 질 수 있는 소비이다. 모두의 범주에는 나, 가족, 우리 나라 사회를 넘어서서, 이 인류의 모든 사람들, 환경과 동물까지 포함된다. '에이. 뭐 나 하나 뭘 먹든 무슨 영향을 준다고'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결코 아니다. 직접적으로는 나의 윤리적 소비가 나의 건강을, 우리 가족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가정들이 모여서 하나의 사회 흐름에까지 영향을 주고, 국가와 세계 정책에 종국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왜 소비자들이 의식적으로 '윤리적 소비'를 해야 하는가? 그것은 산업체들이 경제적인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여 '윤리적 생산'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윤리적 생산이란 양심에 어긋나는 결단은 사업에 불이익을 가져오더라도 하지 않는 생산인데 이를 '손해'로 인식하는 것이다. 정당한 노동력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고,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최소화 하는 또 오염, 독성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 동물에게 도를 넘는 실험을 실시하지 않는 것, 지속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생산을 하는 것. 이러한 윤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비용이 들고, 이를 지키지 않는 산업체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때문에 양심을 지키는 것이 바보 같은 행동으로 비춰질 수도 있다.  

그러한 양심을 지키는 것이 결코 바보스런 행동이 아님을 이제 윤리적인 소비자들이 보여줘야 한다. 왜냐하면 이 세상은 나만 잘살아서, 나만 많이 벌어서 몇 십년이고, 몇 백년이고 지속될 수 없기 때문이다. 당장에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속여서 판 싸구려 식품들은 언제고 신체 내에서 변형되어 그 파괴력을 드러낼 것이다. 당장에 걸리지 않는다고 하여 정부를 속여서 파괴한 자연은 어마어마한 자연재해로 위력을 드러낼 것이다. 그저 참고만 있는 사람도, 민족도, 환경도 없다. 함께 다 같이 오래오래 살려면 조금은 불편해도, 내 밥 그릇에서 한 숫갈 남겨서 남에게 줘야만 한다. 그리고 조금이라도 여유가 있다면, 그 여유를 느낀 이들이 먼저 한 숫갈씩 타인에게 양보하는 미덕을 발휘해야 한다.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윤리적 소비의 태동과 지향하는 바, 유럽과 한국의 윤리적 소비의 실천 양상을 1부에서, 다양한 먹을거리의 위협 사건을 토대로 식품 안전이 지켜지지 않았을 때 섭취시 발생하는 문제들을 2부에서, 자연이 보존되어야 하는 이유와 근거리 지역의 농산물을 먹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3부에서, 마지막으로 착취의 결과로 우리 앞에 놓여진 다양한 상품(축구공, 초콜릿, 커피)들을 소개하며 다 같이 잘 살 수 있는 방안인 공정 무역과 실천 방안들을 4부에서 소개하고 있다. (3부의 흐름은 약간 매끄럽지 못하여 아쉬웠다.)  

오늘 마트에서 장바구니에 담은 물건들. 나의 사소한 선택 하나하나가 결국에는 매일의 일상에서 내가 참여할 수 있는 환경 운동인 셈이다. 앞으로 나는 일상 속 실천하는 환경 운동가가 되고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