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으로 보는 한국사/두 바퀴로 대한민국 한 바퀴/먹지 않고는 못 참아>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
-
두바퀴로 대한민국 한바퀴 - 좌충우돌 전국 자전거 여행기
방승조 지음 / 청년정신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어쩌다보니 오늘 여행기 리뷰를 두개나 올리네.~ 이 책도 역시나 독특한 설정을 가지고 있다. 한 청춘남녀가 한달(3주 + 알파일)간 자전거를 타고 전국 일주를 하는 설정. 게다가 저자가 만화가라는 점. 사실 전국 일주라는 것과, 자전거 여행 둘 다에 썩 관심이 많은 건 아니기 때문에 손에 잡기가 좀 주저 되었다. 근데 책을 펼치고 읽다보니 재미있더라. 결혼 하기 전의 커플이 찜질방을 순회 하면서 알콩달콩 삐지고, 토닥이고, 싸우고, 화해하고 하는 모습들을 보면서 (나이가 많지는 않지만) 요즘 아이들은 이렇게 여행을 다니기도 하는구나!하는 신선함이 느껴졌다.
몇년 전부터 자전거가 돌풍이다. 어디 산책이라도 할라치면 싸이클복으로 무장한 자전거 타는 무리들과 힘들지 않게 조우하게 된다. 왜 그렇게 자전거 여행이라는 것이 한국에서 인기를 얻게 되었는지 모르겠지만 에너지를 아껴야 하고, 환경을 생각해야 하는 시점에서 자전거 여행은 바람직한 여행 방법인 것만은 분명하다.
자전거 타기와 여행하기에 전혀 관심이 없던 나는 여러번 깜짝깜짝 놀랬다. 자전거 타고 낭만적으로 룰루랄라 여행하면 되는 게 아니라 국토 대장정 처럼 발이 부르트고, 이틀이 멀다하고 자전거 점포를 찾아서 수리를 해야 하고, 이동 수단이 무료이다 뿐이지 유지보수비도 많이 들고, 몸도 성하게 남아나기 어렵다는 걸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젊었을 때 고생은 사서 한다고도 하지 않던가?
이 저자와 여자친구분의 캐릭터도 책 읽는 재미를 더하고 있다. 만화가답게 눈썰미가 있고, 사소한 것에서 정보를 캐치(역 앞에서 맛있는 식당을 찾으려면 배달 나가는 아줌마가 보이는 식당으로)하고, 인간적인 붙임성(제주도로 가는 배 안에서 왁자지껄한 아줌마 아저씨 옆에 앉아서 먹을 거 거저 얻어 먹기)도 있고, 작은 것에 크게 기뻐하고(도로에 떨어져 있는 (만세)감자를 주우며), 또 사소한 것에 실망하기도(추가 공기밥 돈 받는 식당 주인에게) 하고, 하루 종일 몇 십 킬로미터를 자전거 타고 고생했으면서도 밤이면 PC방에 들어가서 콘티를 짜고 해야할 일들을 미루지 않는 성실함과 꼼꼼하게 기록하는 저자의 매력은 넘쳐나는 여행기들 속에서 뭔가 인간적인 냄새를 느끼게 하는 요소이다.
이 책은 간결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여행하다 만난 맛 없는 식당은 살짝 카툰으로 가려주는 센스를 발휘하기도 하지만 맛있는 식당의 전경을 포함하여 매일매일의 지출 내역을 꼼꼼하게 적어 놓고 있다. (심지어 여성이 한달에 한번 꼭 사야하는 물품까지도 지출내역에 나온다) 사실 자전거 여행하면 그저 하는 여행이겠거니 했는데. 하루에 2인 기준으로 6만원 가량의 비용이 필요하다. 수시로 자전거점에 들러서 자전거의 어떤 부분이 고장나고, 교체해야 하는지도 나오고, 도로에서 만나게 되는 위험 상황들, 선택이 필요한 순간들도 소개 되어 있다. 지도나 도로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없다. 이부분은 마음에 들었는데 모든 정보를 다 넣으려고 하는 순간 책 페이지수만 많아지기 때문이다. 사실 자전거 여행을 가면서 이 책을 들고갈 사람이 있을까? 대신 자전거 여행자용 지도책자를 가지고 가겠지. 이렇게 이 책은 선택과 집중을 잘 한 것 같다. 간결한 정보(이동 거리, 이동 경로, 그리고 지출 내역)만을 제공하고, 여행자가 실제 마주하게 되는 즐겁고, 실망스럽고, 힘들고, 만족스러운 순간, 지역마다 맛봐야 할 팁들(영광시에서는 콩엿을!)을 가식 없이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특히 책 곳곳에 이모티콘 마져도 가감없이 등장한다)
이 젊은 두 남녀는 3주 남짓한 여행 기간 동안에 무엇을 느꼈을까? 여행을 그런 실용적인 목적으로 가던 사람이 있던가. 일상을 떠나서 내 두 발로, 두 바퀴에 의지해서 전국의 곳곳을 직접 두 눈으로 봤다는 것. 그게 의미가 있는 것이겠지. 그들의 열정과 체력, 그리고 책으로 내기까지의 끈기에 박수를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