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여자는 왜 살찔까>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착한 여자는 왜 살찔까? - 다이어트와 심리의 비밀에 관한 모든 것
캐런 R. 쾨닝 지음, 이유정 옮김 / 레드박스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착한 여자는 왜 살찔까? 착하다는 것은 썩 바람직하지 않은 input. 그로서 발생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로서의 살찜. 제목만 보고도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하면 극복할 수 있는지가 머리 속에 그려진다. 나도 착한 여자로 분류될까? 남에게 싫은 소리 하는 걸 극도로 싫어하고, 자기 주장을 못한다는 측면에서는 착할 수도, 소심할 수도 있겠다.

왜 그럴까? 결국 모든 문제를 파고들면 근원적인 이유는 자아존중감에서 시작된다. 이 책 역시 마찬가지이다. 자아존중감이 낮으면 타인을 의식하게 되고, 관계 속에서 편하지 못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상처 줄 일도 없고 손만 뻗으면 손닿을 수 있는 먹거리에 손을 대게 된다는 것. 또 달콤한 탄수화물이 가져오는 화학적 작용들이 스트레스를 감소 시키고, 어렸을 때 부터 익숙하게 접해오던 광고 및 전통에서 끊임 없이 연결 시켜 가는 음식=사랑.이라는 내재된 공식이 나에게 음식으로서 위안 받으려는 욕구를 부추긴다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내가 스트레스 해소의 방법으로 먹을 걸 찾지 않는 다는 게 한편 다행이다.

이들은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나 중심이 아닌 너 중심으로 생활하는 착한 여자들. 이들은 너를 순간적으로 편하게 하는 대신에 지속적으로 나를 희생시킨다. 그것이 쌓이고 쌓여서 어느 순간 폭발하기도 한다. 관계에서 만족을 얻지도 못하고, 한쪽으로 스트레스가 기우는 관계. 이런 관계를 착한 여자 '중지 선언'을 통해서 바꿔가 보자. 본인이 두려워 하는 것이 무엇인가. 스쳐지나가는 사람들의 감정까지도 신경쓰고 있는 나의 밑바탕에 깔려 있는 두려움은 무엇인가. 실천에 앞서서 자아를 돌아볼 필요가 있다는 말이다.

전반부에는 각 관계(가족, 친구, 회사) 속에서 어떻게 착한 컴플렉스를 벗어날 수 있는지 실천 방안을 설명하고, 후반부에서는 나의 정서를 교정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사실 수십년간 살아오면서 쌓인. 나의 양육 환경이 서서히 형성 시켜간 자아를 전복 시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불가능한 일도 아닌 것 같다.  

다중지능 이론을 보면 자기 이해력이 하나의 큰 지능으로 자리하고 있다. 나를 이해하는 것. 나의 욕구와 나의 감정을 아는 것. 그것에만 매여서는 안되겠지만, 그것을 깡그리 구석으로 몰아쳐 놓고 궁극적으로 의미가 그다지 없는 것들에 나의 감정을 희생 시키지 말자. 어쨌든 균형적인 것이 바람직 하니깐. 

달콤한 케익이 주는 위로는 5분 밖에 가지 않는다. 쓰더라도 먼저 자기 스스로를 돌아보자. 그리고 가짜 위로가 아닌 진짜 위로. 가짜 평안이 아닌 진짜 평안을 누리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