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이 들리고 음악이 보이는 순간>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그림이 들리고 음악이 보이는 순간 - 여자, 당신이 기다려 온 ㅣ 그림이 들리고 음악이 보이는 순간 1
노엘라 (Noella) 지음 / 나무수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요즘은 하나의 예술 감각보다는 공감각을 더 중요시 하는 것 같다. 사실 창의성 증진의 핵심은 이질적인 두개 이상의 영역을 하나로 융합하는데 있다고 하지 않나. 컨버전스(convergence)라는 단어를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는 것도 어쩌면 창의성을 중요시 하는 사회가 되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지도 모르겠다. 트렌드처럼 처음에는 핸드폰과 카메라를 합치고, mp3를 합치고 하더니. 이제는 PC와 TV를 합치고. 모든 것들을 하나로, 모든 것들을 한꺼번에 제공하는 것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예술의 공감각성을 화두로 한 책. 이런 책도 마찬가지이다. 이 책과 비교가 되지는 않지만 매우 심오한 철학을 담고 있는 호프 스태터의 「괴델, 에셔, 바흐」는 세 명의 천재(철학, 미술, 음악)가 결국에는 같은 것을 서로 다른 표현 언어로 담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그 당시에는 너무나도 신선했었다(다는 읽지 못했지만). 그리고 재작년에 나온 김영욱의 「그림책, 음악을 말하다」도 특정한 그림책과 그 느낌과 통하는 음악들을 소개하고 있었다.
공감각적 메시지. 그걸 담고 있는 책은 그 연결 고리를 어디에서 찾는 걸까? 노엘라의 이 책은 다양한 접근 방법을 취해본다. 음악가와 예술가의 작품관, 예술관, 또는 인생 경험에 있어서의 유사성, 심리적 문제와, 작품 주제 등등을 다양하게 넘나들면서 화가와 밀접한 음악가를. 음악가와 더블갱어인 화가를 귀신 같이 찾아내어 이 둘을 연결해 본다. 그리고 그들의 경험과 삶과 예술관을 씨줄과 날줄로 삼고 역시 바이얼리니스트로 예술가인 본인의 사례를 들어가면서 또하나의 실로 얽어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하지만 그 연결 고리라는 것이 참 단순하고, 심플하다. 유사한 가정적 배경을 가진 두 명의 예술가. 예술가의 자라온 환경이 주욱 소개되고, 그래서 이런 그림과 이런 곡을 창작했다는 것이 소개되고. 거기에 대한 작가의 감상이 덧붙는데. 그것이 고작 5-6페이지 안에서 해결이 난다. 그러니 개별적인 글 하나하나의 깊이는 더 볼 것이 없는 것이다. 또한 유사한 점을 찾으려고 애쓴 흔적이 느껴질 만큼 너무 광범위한 유사점들을 하나로 묶는가 하면, 이건 아닌데... 하는 두 명의 예술가를 붙여 놓은 느낌도. 뭔가 진하게 우러나오는 느낌이 부족했다.
내 마음이 음악과 명화들을 찬찬하게 감상할 수 있는 그런 감성을 잃어버린 것인지, 아니면 그 대단한 작품들을 독자의 마음 속 깊은 곳 까지 터치하는 작가의 내공이 부족했던 것인지. CD가 수록되어 있어서 각 챕터를 해당 음악가의 작품을 들으면서 읽었음에도 울림이 없었던 것은 매우 아쉬운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