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Gaku: Our Sound(2019), Kenji Iwaisawa
The Summit of the Gods(2021), Patrick Imbert
Flee(2021), Jonas Poher Rasmussen


1. 일본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바람, On-Gaku: Our Sound

  하고 싶은 일이 없어도 괜찮은 걸까? 고등학생 켄지와 오타, 아사쿠라는 학교 동아리방에서 비디오 게임이나 하면서 시간을 죽이고 있다. 한주먹하는 켄지에게는 싸움을 걸고 싶어하는 오바와 그 패거리들이 골칫거리다. 그러나 켄지는 '짱'이 되는 일에는 별 관심이 없다. 어느 날, 길을 가던 켄지에게 누군가 잠깐 일렉 기타를 맡긴다. 그때부터였다. 켄지가 음악을 하기로 마음 먹은 것은. 민머리, 각진 눈, 뚱뚱한 외모를 지닌 아웃사이더 3총사는 그렇게 밴드를 결성한다. 이 밴드, 과연 연주는 할 수나 있을까?     
 
  이와이사와 켄지는 2019년에 독특한 애니메이션 영화를 내놓았다. '음악(音楽)'이란 제목의 'On-Gaku: Our Sound'는 제작에 7년이란 시간이 걸렸다. 모든 작화를 직접 손으로 그린 71분의 이 작품을 만드는 동안 그의 나이는 마흔을 넘겼다. 아마도 이와이사와 켄지에게 이 애니메이션은 반드시 해내야만 하는 중요한, 의미있는 작업이었을 것이다. 'On-Gaku'는 상업성과는 거리가 먼 지점에 자리한다. 단순하고 간결한 작화, 건조한 유머, 실험적 음악, 그 모든 것들이 어우러져서 꽤 괜찮은 울림을 만들어 낸다.

  켄지는 자신들의 밴드에 '고무술(古武術, Kobujutsu)'이라는 이름을 붙인다. 그저 단음으로 베이스 기타를 치고, 드럼으로 두들겨 대는 음악을 하면서도 자신들이 록 정신을 구현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들의 연주는 학교 음악 동아리 리더 모리타를 감동시킨다. 두 밴드는 합심해서 곧 열릴 록 페스티발에 참가하기로 한다. 삼총사 밴드가 연주하는 단음의 연주, 모리타의 노래에서 느껴지는 손발 오그라드는 발라드적 감성. 남들이 보기에는 우습기 짝이 없다. 하지만 정작 그들 자신은 매우 진지하며 최선을 다해 음악을 하고 있다. 이 '자기 중심성'이야말로 청소년기를 이끄는 중심 추동력이다.  

  "음악이 없다면, 난 아무 것도 아냐."

  공부는 구제불능이라며 자조하는 모리타. 학교 생활은 재미가 없고, 다들 자기가 뭘 하고 싶은지 알지 못한다. 이와이사와 켄지는 불안하게 흔들리는 주변부 청소년의 초상을 그려낸다. 'On-Gaku'가 그려낸 십대 아웃사이더들의 모습에는 기이한 활력과 희망이 보인다. 그 이유가 뭘까? 음악이 있기 때문이다. 어쩌다가 그냥 해보게 된 음악이 그들의 꽉 막힌 일상에 숨구멍을 만들어 준다. 비록 최고가 되지 못한다고 해도 견딜 수 있게 만들어주는 것. 여린 음성(여성 성우가 담당)으로 말하던 모리타는 강한 목소리의 록커로 변신하며, 켄지는 단음만 내는 베이스 기타를 때려 부수고 리코더로 기막힌 음률을 연주해 낸다. 그리고 마음에만 둔 여자 친구 아야에게도 자신의 진심을 전할 수 있게 된다. 비주류적 감성이 넘쳐나는 이 애니메이션은 썰렁하지만, 그 이면에 온기를 지니고 있다. 'On-Gaku'에서는 일본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바람이 느껴진다.  


2. 멈출 수 없는 여정, The Summit of the Gods(2021)

  Netflix의 마케팅 전략은 '돈 되는 것은 무조건 다 해 본다' 같다. 자체 제작 다큐를 비롯해 예술 영화, 애니메이션 배급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프랑스에서 제작된 애니메이션 'The Summit of the Gods(2021)'는 넷플릭스에서 볼 수 있다. 이 작품은 유메마쿠라 바쿠(夢枕獏)가 쓴 '신들의 봉우리(神々の山嶺)'를 원작으로 한다. 다니구치 지로가 생생한 작화로 그려낸 만화책도 나와있다. 일본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작품이라 실사 영화 '에베레스트 신들의 봉우리(2016)'로도 개봉되었는데, 관객들의 평은 그렇게 높지 않다. 그렇다면 애니메이션은 어떨까?

  이 프랑스 애니메이션은 좀 밋밋하고 둔중한 느낌을 준다. 무엇보다 가장 큰 이유는 등장인물이 일본인들인데 프랑스어 더빙으로 만들어졌다는 데에 있다.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에 익숙한 우리나라 관객들에게 그 차이가 좀 더 크게 다가오는 부분도 있을 것이다. 인물과 대사가 따로 노는 이 기묘한 불일치성은 극의 몰입을 방해한다. 거기에 이 프랑스 애니메이션의 그림체는 정교하고 세밀한 일본 애니의 작풍과도 거리가 있다. 그럼에도 등반 장면을 비롯해 에베레스트의 풍광을 재현한 모습은 실사 영화만큼이나 사실적이다.

  1924년, 조지 말로리와 앤드류 어바인은 에베레스트 등정 과정에서 실종된다. 그로부터 70년이 지난 1993년, 일본 기자 후카마치는 말로리가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카메라를 손에 넣는다. 만약 말로리가 정상에서 찍은 필름을 찾을 수 있다면, 에베레스트 최초 등정 기록이 바뀔 것이다. 백방으로 수소문해 본 결과, 카메라를 발견한 일본 산악인 하부 조지가 필름을 가지고 있다는 결론에 이른다. 그런데 하부는 동료를 비운의 조난 사고로 잃은 후 행방이 묘연한 상태이다. 하부와 필름의 행방을 찾아 네팔로 떠난 후카마치, 그는 자신이 찾는 진실에 다가설 수 있을까...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절묘하게 결합한 이 작품은 산에 대한 집념과 열정을 지닌 한 산악인의 인생 여정을 따라간다. 목숨을 내걸고 신들의 봉우리에 다가서려는 사람들, 무엇이 그들을 산으로 이끄는가? 그것을 일반인의 관점에서는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 '신들의 봉우리'는 그 이유가 단지 높은 곳에 오르기 위한 야망 때문이 아니라고 말한다. 산을 오르는 여정, 일단 그 길에 오르면 멈출 수 없는 사람들. 결국 이 작품은 그 도저한 열망과 집념에 대한 이야기인 셈이다. 그리하여 우리의 인생에서 그렇게 치열하게 추구하는 가치가 있는지 돌아보게 만든다.


3. 이야기가 가진 진정한 힘, Flee(2021)

  '난민'은 팬데믹 시대에도 여전히 세계 각지에서 진행되는 주요한 사건이다. 덴마크에서 만들어진 이 애니메이션은 희망을 찾아나선 아프간 난민의 기나긴 여정을 들려준다. 주인공 '아민'의 이름은 가명이지만, 이 작품은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실사와 애니메이션, 실제 뉴스 화면이 다큐멘터리적인 방식으로 짜임새 있게 구성되어서 이야기의 핍진성(逼眞性)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린다.            

  아민의 이야기를 듣는 감독은 마치 임상 심리학자 같다. 떠올리기 싫은 과거의 기억을 편안하게 털어놓기 위해 카메라 앞에 선 아민은 침대에 눕는다. 눈을 감고 이야기를 하던 그는 때로 일어나서 눈물을 흘리기도 하고 차마 말을 잇지 못할 때도 있다. 1989년, 소련의 아프간 철군과 함께 어린 아민과 가족은 고국을 떠날 처지에 놓인다. 관료였던 아버지는 무자헤딘에 의해 체포되어서 생사를 알 수 없다. 어머니와 두 누나, 형과 함께 소련으로 탈출했지만 그때부터 시련은 시작되었다. 불법 체류자 신세로 소련 경찰의 추적을 피해 집안에서 지내야만 했던 것. 일찍 고국을 떠나 스웨덴에 정착한 큰 형이 밀입국 비용을 마련할 동안 아민의 가족들은 기다리는 수 밖에 없었다. 먼저 떠난 두 누나는 겨우 죽을 고비를 넘기고 소련을 빠져 나갔다. 그 뒤를 이어 아민과 형, 어머니도 밀입국 길에 오르는데...

  이 애니메이션 영화가 가진 힘은 '이야기'에서 나온다. 아프간에서 평화로운 어린 시절을 보내던 아민이 어떻게 소련에서 고립된 몇 년의 세월을 견뎠는지, 첫 번째 밀입국 시도가 얼마나 무모했는지, 그리고 마침내 유럽에서 난민으로 인정받기까지의 과정이 마치 소설처럼 펼쳐진다. 그것은 흥미진진한 모험담이 아니라, 피와 뼈를 가르는 극심한 고통과 두려움 속에서 건져올리는 과거의 기억이다. 자유를 찾아 떠난 난민이면서 동성애자로서 아민이 겪었던 정체성의 혼란도 겹쳐진다.        

  이제는 학자로서, 그리고 삶의 동반자를 만나 안정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는 아민. 난민으로 지냈던 시절의 트라우마는 여전히 남아있고, 가족들은 여러 나라에 흩어져서 서로의 신분을 숨긴 채 살아가고 있다. 어떤 면에서 아민의 이야기는 탈출에 성공하지 못한 그 시절 많은 아프간 난민들의 가려진 삶을 떠올리게 만든다. 아민은 먼저 고국을 떠나 유럽에 정착한 형의 희생과 노력 덕분에 탈출이 가능했다. 얼마나 많은 난민들이 자유를 찾는 과정에서 다치고 죽었는지 알 수 없다. 'Flee'는 아민의 힘겨운 탈출기를 통해 분쟁 지역의 사람들이 처한 생존의 위기, 그로 인해 발생하는 난민의 문제, 그들을 바라보는 우리들의 시선에 대해 다양한 질문을 던진다. 


*사진 출처: gkids.com



**사진 출처: themoviedb.org



***사진 출처: flimspeak.ne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B movie. 흔히 우리가 수준 낮은 영화를 언급할 때 'B급 영화'라는 표현을 쓴다. 그 B급 영화를 헐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는 1930년대에서 1950년대에 이르는 시기에 그야말로 공장에서 물건 찍어내듯 쏟아냈다. 왜 그랬을까? 이유는 아주 간명하다. 돈이 되기 때문이었다. B movie는 단기간에 적은 제작비로 만드는 영화였다. 주로 70분 안팎의 분량으로 만들어졌는데, 그것은 극장의 상영 회전율을 높이기 위한 방편이었다. 1930년대와 40년대의 B movie는 서부극이 주류를 이루었다. 거기에 새로운 장르가 더해졌다. 필름 느와르(Film noir)였다. 제작사 RKO는 필름 느와르의 산실이었다. '삐 삐 삐비삑'하는 소리와 함께 라디오 송신탑이 나오는 인트로 화면. 아마도 오늘날 필름 느와르 영화팬들이 가장 사랑하는 제작사 로고일 것이다.

  고전기 헐리우드의 많은 감독들에게 B movie 연출은 일종의 수련기에 해당했다. 에드워드 드미트릭(Edward Dmytryk) 감독은 영화사의 메신저 보이(하급 사환)에서부터 경력을 시작한, 말 그대로 밑바닥에서부터 구르면서 영화를 배웠다. 그도 수많은 B movie를 찍으면서 경험을 쌓아갔다. RKO와의 계약은 경력의 전환점이었다. 그는 A급 영화 감독으로 승격되었다. 그런 그에게 '십자포화(Crossfire, 1947)'는 명성과 상업적 성공을 안겨다준 영화였다. 그런데 이 영화를 만든 직후에 그의 경력은 급전직하했다. RKO에서는 해고 통보를 받았고, 미국을 떠나야만 했다. 도대체 그에게 무슨 일이 생긴 것일까?

  영화의 원작은 리처드 브룩스(Richard Brooks, 작가 겸 감독)가 1945년에 발표한 소설 'The Brick Foxhole'이다. John Paxton이 각색 작업을 맡았는데 그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왜냐하면 원작의 상당 부분을 바꾸어야 했기 때문이다. 2차 대전에 해병대원으로 참전한 리처드 브룩스는 군대에서 자신이 보고 들은 이야기를 바탕으로 그 소설을 썼다. 소설은 군인 살인 사건과 함께 얽혀 있는 동성애와 인종차별주의, 반유대주의를 그려냈다. 전후 리얼리즘 소설로서 리처드 브룩스는 냉철한 관찰자적 시점을 보여준다. 영화 '십자포화'를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원작 소설을 읽었다. 235쪽에 달하는 장편 소설이다.

  영화가 시작되면 어두운 방 안에서 격투 소리가 들리고, 한 남자가 바닥에 쓰러진다. 사건을 맡은 핀레이 반장은 피살된 조셉의 동료 군인들을 취조해 나간다. 그는 조셉과 함께 있었던 미첼을 용의자로 지목한다. 하지만 미첼의 성품을 잘 아는 킬리(로버트 미첨 분)는 미첼은 절대 그럴 사람이 아니라며 옹호한다. 킬리의 심중에는 다른 유력한 용의자가 있다. 냉혹하고 폭력적인 성향을 지닌 몬티(로버트 라이언 분), 그도 조셉이 죽은 날 밤에 미첼과 함께 어울렸다. 사건이 진행될수록 핀레이 반장은 살인의 동기가 유대인에 대한 증오심과 관련이 있음을 알게 된다. 죽은 조셉은 유대인이었다. 제대를 앞두고 서로 의지하며 형제처럼 지냈던 그들 가운데 과연 누가, 왜 조셉을 죽인 것일까?

  1934년부터 1968년까지 적용된 미국 영화 산업의 자율적 검열 기준인 'Hays Code'에서 동성애는 성 도착(sex perversion)에 해당하는 금기 사항이었다. 그러므로 영화 '십자포화'는 브룩스의 원작 소설에서 살해 동기가 된 '동성애'를 '반유대주의(anti-semitism)'로 대체했다. 물론 반유대주의도 껄끄러운 요소이기는 했다. 헐리우드를 지배하는 유대인 자본을 고려하면 그러했다. 영화가 원작의 동성애 코드를 삭제하고 반유대주의를 내세운 것은 검열 때문이기도 했지만, 그것은 미국내의 현실과도 맞닿아 있었다. 'The Brick Foxhole'에는 노골적인 인종차별주의와 반유대주의가 잘 묘사되어 있다. 원작자 리처드 브룩스는 그러한 불안 요소들로 끓어 오르는 미국 사회의 내면을 정면으로 응시한다.

  로버트 라이언이 연기한 '몬티'라는 인물은 바로 미국 사회의 병적 징후를 상징한다. 소설에서 그는 입대 전에 경찰이었던 것으로 나오는데, 재직 기간에 흑인과 유대인에 관련된 폭행으로 고발을 당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몬티가 바라보는 세상은 힘에 의해 지배되는 약육강식의 세계이다. 그런 그의 기준에서 에디(영화 속에서는 조셉)와 같은 유대인, 거기에자 동성애적 성향을 가진 사람은 제거해야할 열등한 존재이다. 영화는 살해된 조셉에게서 소설의 에디가 지닌 '동성애자' 기표를 제거하고, '유대인'만을 남긴다. 그런데 에디가 가진 유약하고 외로움을 잘 타는 성향은 미첼의 성격과 일정 부분 닮아 있다. 에디는 외롭다며 우는데, 그것은 남성다움의 특성과는 거리가 멀다.

  소설 속에서 술에 취한 에디는 미첼과 함께 춤을 춘다. 이러한 은밀한 동성애적 코드는 영화에서는 '동료애'의 형태로 살아남는다. 킬리는 미첼의 가장 우호적인 조력자로 제대를 앞둔 미첼의 취약한 심리 상태를 걱정한다. 그는 핀레이의 심문에서 자신이 미첼의 아내에게 힘들어 하는 남편을 만나 보라고 전화했다는 사실을 밝힌다. 또한 미첼의 구명을 위해 핀레이 반장의 수사를 돕는다. 

  '십자포화'에는 그렇게 원작 소설의 본질적인 부분이 삭제되고 변형되어 있다. 그럼에도 이 영화는 당시 미국 사회가 안고 있는 중요한 사회적 문제, 즉 '다름'에 대한 폭력적인 증오와 차별을 묘사하고 있다. 그러한 사회 분위기는 이후, 공산주의자 색출이라는 '매카시즘'과 연결된다. 그리고 에드워드 드미트릭 감독 자신이 그 광풍에 휩쓸려 들어가게 된다. 영화가 개봉된 1947년에 드미트릭은 의회 비미활동위원회(HUAC)에 나와서 증언할 것을 요청받았으나 거부했다. 잠시 영국에서 지내던 그는 결국 미국으로 돌아와 의회에서 증언했다. 그것은 변절이나 배신이 아닌 생존을 위한 길이었다.

  "전쟁이 지옥이라면 벽돌 참호는 저주이다(So I can say, long after Sherman, that if war is hell, then a brick foxhole is damnation)."

  소설 'The Brick Foxhole'의 서문에서 리처드 브룩스는 그렇게 썼다. 브룩스는 전쟁의 참혹한 본질과 끔찍한 살육극이 참전 군인들에게 남긴 깊은 내상을 그려낸다. 전쟁은 끝났지만, 돌아온 군인들이 마주하게 될 사회는 또 다른 의미의 전장이 될 터였다.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데에서 나오는 분노와 증오가 어떻게 폭력과 살인으로 이어지는지, 영화 '십자포화'는 그에 대한 소신있는 발언을 들려준다.
    

*사진 출처: facebook.com  좌측부터 로버트 미첨, 로버트 라이언, 로버트 영



**에드워드 드미트릭 감독의 '산(The Mountain, 1956)' 리뷰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2/mountain-1956.html
 

  에드워드 드미트릭 감독의 '스나이퍼(The Sniper, 1952)' 리뷰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1/07/sniper-1952.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19세기 러시아 사회의 정밀한 풍속화:

잔인한 로맨스(Жестокий романс, A Cruel Romance, 1984)


  영화는 화려한 결혼식 피로연 장면에서부터 시작한다. 오구달로바 부인은 이제 막 첫째 딸 올가를 결혼시켰다. 부유한 귀족 사위를 맞았다는 기쁨도 잠시, 몬테카를로에서 살고 있는 둘째 딸로부터 돈을 보내달라는 편지를 받는다. 남편이 도박으로 재산을 날려 버렸다는 것. 어쩔 수 없이 집을 저당잡힌다. 몰락한 귀족 미망인은 집안을 일으키는 길이 세 딸들의 성공적 결혼에 있다고 생각한다. 이제 막내딸 라리사만 남았는데, 가난한 집안 형편에 딸의 지참금을 마련할 길은 요원하다. 19세기 러시아에서는 계층을 막론하고 여성이 지참금(dowry)을 가지고 결혼하는 것이 관례였다. 많은 지참금을 지닌 신부는 좋은 신랑감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런데 라리사에게는 그 지참금이 없다.

  엘다 라자노프(Eldar Ryazanov) 감독의 1984년작 영화 '잔인한 로맨스(Жестокий романс, A Cruel Romance)'는 희곡을 원작으로 한다. 19세기의 러시아 극작가 알렉산더 오스트로프스키(Alexander Ostrovsky)가 1878년에 발표한 희곡 '결혼 지참금(Бесприданница, Without a Dowry)'이 그것이다. 라자노프 감독은 준비 중이던 영화가 미뤄지던 시기에 아내의 권유에 따라 오스트로프스키의 작품을 읽게 되었다. 주로 자신이 쓴 시나리오로 코미디 영화를 만들던 그는 생각지 않게 러시아 고전 희곡을 영화화하기로 마음 먹었다. 지참금 없이 결혼하려는 가난한 귀족 여성 라리사가 이 영화의 주인공이다.

  알렉산더 오스트로프스키는 19세기 러시아를 대표하는 극작가이다. 그는 특히 당시 러시아에서 새롭게 부상한 상인 계층을 등장 인물로 내세워 러시아 사회의 변화를 그려냈다. 영화의 원작이 된 희곡 '결혼 지참금'은 물질적 욕망과 뒤엉킨 결혼 제도를 통렬하게 묘사한다. 작가는 당시 그가 들었던 실제 사건을 가지고 희곡을 썼다. 지참금 때문에 자신의 아내를 살해한 어느 남자의 이야기였다.

  오구달로바 부인은 항상 대문을 열어두고 구혼자들을 환대한다. 그런데 어째 오는 인간들의 면면이 부인의 마음에 들지 않는다. 부유하지만 늙은 상인 크누로프, 그다지 큰 재산이 없는 라리사(라리사 구제에바 분)의 어린 시절 친구 보체바토프, 가난한 우체국 직원 유리가 그들이다. 라리사도 그들이 눈에 차지 않은 것은 마찬가지. 그러던 중에 부유한 선주 파라토프(니키타 미할코프 분)가 등장한다. 증기선을 소유한 그는 멋진 외모에 호탕하기까지 하다. 청혼을 기대하는 라리사, 그러나 파라토프는 말도 없이 떠나버리고 그렇게 1년이란 시간이 흐른다.
 
  비록 지참금은 없지만 딸의 미모와 젊음으로 어떻게든 잘 나가는 사윗감를 붙잡으려는 오구달로바 부인의 소원은 이루어질 기미가 없다. 약혼하려던 은행원이 횡령범으로 눈 앞에서 체포되는 꼴을 겪고 나서 이 집안의 체면은 더 구겨졌다. 될 대로 되라, 라리사는 자포자기 상태로 우체국 직원 유리와 결혼하기로 마음먹는다. 가난하지만 성실해 보이는 이 남자는 라리사를 열렬히 사랑하는 것 같지만, 결혼 전부터 소유욕을 드러내며 통제하려 든다. 앞으로 남들 앞에서 노래도 부르지 말라고 하는 이 남자. 여자는 자신의 선택에 후회하지만 소용이 없다. 그런 여자 앞에 과거의 사랑이 나타난다. 파라토프는 라리사에게 묻는다. '너 아직도 나 사랑하는 거 맞지?'

  "왜 여자들은 나쁜 남자에게 끌리는 겁니까? 좋은 품성의 남자들을 내팽겨쳐두고 말입니다."
  "그건 나도 몰라요." 

  1년 전에 파라토프에게 첫눈에 반한 라리사를 보고 유리가 물었고, 돌아온 대답은 그러했다. 진짜 '나쁜 남자'가 맞는 파라토프는 이제 결혼을 앞둔 신부의 마음을 뒤흔든다. 라리사는 남편이 될 유리의 가난함, 술에 취해서 보여주는 상스런 행동거지, 자신에 대한 집착을 보며 넌더리를 낸다. 과연 라리사는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영화는 19세기 후반의 러시아 여성의 사회적 지위, 결혼을 둘러싼 적나라한 세태를 보여준다. 딸을 마치 결혼 시장의 상품으로 내놓는 부인의 뻔뻔함은 늙고 부유한 상인 크누로프의 값비싼 선물을 아무렇지 않게 받아들이는 데에서 드러난다. 유부남인 그의 흑심을 알면서도 못 본 체 하는 것이다. 오구달로프 부인에게 결혼과 인생의 가장 중요한 가치는 바로 '돈'이다. 내 딸 데려가려면 돈, 그것도 많은 돈을 내놔야 해. 그것이 부인의 본심이다. 그런데 그게 뜻대로 되지 않는다. 괜찮은 남자들은 가난한 여자와 결혼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영화는 물질적 욕망을 노골적으로 묘사한다. 자신의 관대함을 과시하기 위해 유리는 아내의 구혼자들을 초대해서 성대한 피로연을 베푼다. 가난한 그는 싸구려 와인을 '상표갈이'로 비싼 와인인 것처럼 대접한다. 그러나 구혼자들은 그런 유리를 비웃으며 음식에는 손도 대지 않는다. 가난을 경멸하며 모든 것을 돈으로 판단하는 그들은 라리사 또한 하나의 물건으로 바라본다. 크누로프와 보체바토프는 파라토프에게 버림받은 라리사를 누가 차지하냐를 두고 동전 '제비뽑기'로 결정한다.

  엘다 라자노프 감독은 '잔인한 사랑'을 원작 그대로 옮기지는 않았다. 영화에서 라리사가 결혼을 기대하며 파라토프와 하룻밤을 보내는 장면은 원작 희곡에는 없는 부분이었다. 그 때문에 원작과는 달리 라리사가 분별력 없는, 어리석은 여성 캐릭터로 묘사된 것에 문학 평론가들은 분개했다. 그와는 달리 당시 관객들은 이 영화를 아주 좋아했다.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돈에 대한 지독한 열망은 다가올 개혁 개방 시대 소련인들의 주된 관심사가 될 터였다. 때로 영화는 시간을 앞질러 시대 정신을 예견한다.


  이 영화의 음악을 담당한 안드레이 페트로프의 감미로운 로망스, 집시 악단의 멋진 공연, 1870년대를 충실히 재현한 의상과 세트들도 좋다. '잔인한 로맨스'는 물질적 욕망에 종속된 19세기 러시아 사회의 단면을 정밀하게 그려낸다. 결국 자신의 목소리를 잃어버리고 비운의 운명을 맞이한 라리사의 마지막은 통렬한 아픔으로 다가온다.  


*사진 출처: autogear.ru



**그림 출처: en.wikipedia.org  

Reception of a Dowry in a Merchant Family(Vasili Pukirev, 1873)



***엘다 라자노프 감독의 영화들 리뷰


차 조심!(1966)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1/08/beware-of-car-1966.html


어느 이태리인들의 러시아 대모험(1974)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1/07/unbelievable-adventures-of-italians-in.html 


운명의 아이러니(1975)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1/12/blog-post.html


직장 로맨스(1977)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1/05/office-romance-1977.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스코틀랜드인 제시카는 낯선 나라 콜롬비아에 잠시 머물고 있다. 여자의 여동생은 원인 모를 병으로 현지 병원에 입원했다. 여자는 한밤중에 이상한 소리에 깬다. '쿵, 쿵'하며 건물을 뒤흔드는 기분 나쁜 소리. 하지만 여자는 그 소리가 자신에게만 들린다는 것을 알아챈다. 그 소리의 정체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제시카는 사운드 디자이너를 만나본다. 낯선 도시의 일상, 소리의 근원을 찾아나선 제시카의 여정은 어느 산속 시골 마을에 이른다. 그곳에서 우연히 만난 주민은 제시카가 들었던 소리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말하는데...

  'Memoria'는 태국 출신의 감독 아피찻퐁 위라세타쿤(Apichatpong Weerasethakul)의 2021년작이다. 그는 이전의 자신의 영화에 대한 태국 정부의 검열에 항의하며 태국에서의 영화 제작을 포기한다고 선언했다. 동성애자인 감독은 영화를 '자식'으로 표현하며, 자신의 아이를 건드리는 것은 참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런 그가 해외에서 만든 첫 영화가 'Memoria'이다. 콜롬비아에서 촬영되었고, 주연은 틸다 스윈튼이 맡았다.

  영화를 보다가 살짝 졸았다. 러닝 타임 136분. 자신을 괴롭히는 소리의 정체를 알아내기 위한 제시카의 여정은 느리고 명상적이다. 감독은 이 영화를 보다가 관객이 잠드는 건 자신이 원하는 것이라고도 했다. 'Memoria'는 관객을 끊임없이 각성시키고 긴장시키는 영화가 아니다. 매우 천천히 흘러가면서 관객을 제시카가 머무는 낯선 나라 콜롬비아의 풍광, 사람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소리'들 한가운데로 이끈다. 제시카를 잠들지 못하게 만든 기괴한 소리부터, 사운드 디자이너가 제시카의 이야기를 듣고 재현해내는 소리, 우연히 만나서 듣게 되는 재즈 연주 악단의 소리, 깊은 삼림의 소리... 이방인으로서 제시카는 소리로 '콜롬비아'라는 낯선 나라의 시간과 공간, 역사의 주변부를 탐색해 나가는 존재이다. 이 영화에서 소리는 중요한 내러티브의 축이다.

  "그건, 당신의 기억들이 아니야(They are not your memories)."

  제시카가 듣고 느끼는 것들을 아주 잘 알고 있다는 이 남자는 사기꾼도, 주술사도 아니다. 제시카는 그가 자신의 팔에 손을 대었을 때, 끔찍한 비명 소리와 총소리며 참혹한 사건과 관련된 어떤 소리들을 듣는다. 그런데 그것은 전적으로 내면으로 듣는 소리이며, 바깥 풍경은 고요하고 평온하기만 하다. 제시카는 남자가 가진 기억과 소리를 감각적으로 지각한다. 시골 농부 에르난은 'antenna'라는 단어로 제시카에게 일어난 일을 설명한다.

  영화 속에서 제시카가 보게 된 고고학 발굴팀의 원주민 두개골은 주술의식에 의해 살해된 흔적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낯선 타국 콜롬비아에서 제시카가 느끼는 두려움과 불안은 단지 개인적인 것이 아니다. 어떤 면에서 그것은 칼 융(Carl Jung)의 '집단 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 개념과 맞닿아 있다. 이는 개인의 무의식 깊은 곳에 자리한 공동체적 신념과 가치체계를 의미한다. 제시카는 그곳 사람들의 집단 무의식에 자신의 정신적 안테나로 '접속'하는 것이며, 에르난과의 만남은 그것을 확인시켜 준다.

  제시카가 에르난을 통해 들었던 소리들은 분명히 콜롬비아의 지난한 내전의 기억과 연결되어 있다. 1964년부터 시작된 콜롬비아 내전은 나라 전체를 피와 살육의 진창으로 만들었다. 2016년, 마침내 내전은 정부군과 FARC(콜롬비아 무장 혁명군)의 휴전으로 끝나는 듯 했다. 그러나 남은 전쟁의 불씨는 다시 불붙고 있다. 복잡하게 분파된 무장 군사 세력들이 토착화 되면서, 폭력과 범죄는 이 나라 사람들의 삶을 끈질기게 옥죄고 있다. 영화의 마지막, 제시카는 에르난의 집 창문을 통해 거대하고 오래된 숲을 응시한다. 바람 소리와 새 소리, 구름으로 가득찬 회색 하늘, 평온하게 펼쳐진 그 풍경 속에는 피와 살육의 기억이 잠들어 있다. 그렇게 스며든 고통의 역사는 그 땅의 사람들 뿐만 아니라 그저 잠시 머무는 이방인의 내면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영화 'Memoria'는 이제 타국에서, 자신이 잘 알지 못하는 언어로 영화를 만들어야 하는 감독의 내적 여정처럼 보이기도 한다. 미국내 배급을 맡은 배급사 'Neon'은 이 영화를 스트리밍이나 DVD의 형태로 선보이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오직 영화관 상영으로만 관객과 만나겠다는 뜻이다. 과감히 수익성을 포기하고 그러한 결정을 내린 배급사의 결단이 놀랍게만 보인다. 확실히,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이 'Memoria'에서 풀어내는 소리와 영상의 깊이를 담아내기에 TV 화면은 적합하지 않다. 잔잔하게 깔리는 불안 속에 기이한 평화로움과 고요함이 공존한다. 영화는 소리의 근원을 찾아가는 이방인의 여정을 통해 낯선 땅의 자연과 역사성에 대한 성찰을 보여준다.


*사진 출처: en.unifrance.or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갈무리 해둔 영화들 특집


O Pai Tirano(The Tyrant Father, 1941): António Lopes Ribeiro
La diosa arrodillada(The Kneeling Goddess, 1947): Roberto Gavaldón


42nd Street(musical, 2019): Bonnie Langford, Tom Lister, Clare Halse 출연
Hamilton(musical, 2020): Richard Rodgers Theater, 오리지널 캐스트, 2016년 공연

A Cop Movie(2021): Alonso Ruizpalacios



1. 포르투갈의 고전 코미디 영화: O Pai Tirano(The Tyrant Father, 1941)

  'O Pai Tirano'를 우리말로 번역하면, '폭군 아버지'쯤 되겠다. 영화의 제목은 영화 속 주인공이 연습하고 있는 연극의 제목과 같다. 포르투갈에서 1941년에 만들어진 영화다. 리스본 백화점 직원 치코는 동료 직원 타탕을 좋아한다. 하지만 타탕은 가진 것 없는 치코를 무시한다. 아마추어 극단 배우인 치코는 집에서 틈만 나면 상연할 연극 연습을 한다. 연극 속 그의 배역은 귀족의 아들이다. 같은 하숙집에 머무는 타탕은 치코의 방에서 연극 연습을 하는 소리를 듣게 된다. 치코를 진짜 귀족으로 착각한 타탕. 극단 배우들은 현실에서 연극 속 배역을 맡아 치코의 사랑을 엮어주려고 노력하는데...

  영화가 생각보다 꽤 재미있다. 슬랩스틱적인 요소도 있고, 무엇보다 현실과 연극이 뒤섞이면서 끊임없이 웃음을 만들어 낸다. 외국인의 시선에서는 가벼운 코미디 영화처럼 보이지만, 포르투갈 영화사에서는 매우 중요하게 언급된다. 영화 곳곳에는 귀족과 평민, 부르주아와 하층민의 계급/계층 갈등에 대한 풍자가 깔려있다. 주인공 치코가 일하는 백화점을 방문하는 고객들은 부유한 이들이다. 역시 그곳에서 일하는 타탕은 화려한 부유층의 삶을 선망한다. 그런 타탕에게 가난한 치코는 눈에 들어오지도 않는데, 귀족의 아들로 착각한 이후로 둘의 사이는 급진전한다.

  포르투갈의 현대사는 독재자 살라자르(António de Oliveira Salazar)의 오랜 폭정으로 얼룩져 있다. 그가 권좌에 있던 1932년부터 1968년까지, 포르투갈은 종교와 민족주의, 가족, 전통의 가치를 강조한 'Salazarism'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한 우익 보수 이데올로기는 오랫동안 문화와 예술 작품에도 영향을 끼쳤다. 'O Pai Tirano'에서도 그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영화 속 거리에는 경찰들이 마치 행인처럼 곳곳에 깔려 있다. 시민을 감시하는 경찰 국가의 일면은 그렇게 숨은 그림처럼 존재한다. 독재 국가에서 코미디는 가장 각광받는 안전한 장르이다. 즐거운 웃음 속에 현실의 괴로움과 문제를 잊게 만드는 것. 이 영화가 가진 유머 코드는 포르투갈 사람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고, 시대를 뛰어넘어 반복적으로 변주되었다.


2. 멕시코 영화 황금기의 대표작: La diosa arrodillada(The Kneeling Goddess, 1947)

  영화의 제목 '무릎을 꿇은 여신'은 영화를 지배하는 조각상을 가리킨다. 부유한 사업가 안토니오는 아내 엘레나 몰래 바람을 피우고 있다. 매혹적인 외모의 가수 라켈은 안토니오에게 아내와 헤어질 것을 요구하지만, 남자는 가정에 충실하기로 마음먹는다. 그런 그가 아내를 위한 선물로 구입한 조각상은 내연녀 라켈을 꼭 빼닮았다. 안토니오에게 실망한 라켈은 멀리 연주 여행을 떠나고, 그 사이 안토니오의 아내가 갑자기 죽는다. 안토니오와 라켈은 화려한 결혼식을 올리지만 전처의 죽음을 둘러싼 의심과 불안이 두 사람의 결혼 생활을 흔든다.

  로맨스와 미스터리가 기묘하게 결합한 이 영화는 주인공 라켈 역을 맡은 여배우 마리아 펠릭스(María Félix)의 매력에 크게 의존한다. 1940년대와 1950년대 라틴 아메리카 영화계를 대표한 여배우 마리아 펠릭스는 유럽에까지 진출해서 영화를 찍었다. 영화 속 조각상은 육감적인 여성의 나신을 묘사한 것으로 상영 당시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오늘날 관객의 시각에서 보아도 무척 대담하다 싶을 정도로 적나라한데, 당시 관객들에게는 더했을 것이다. 여성 단체는 영화 상영을 항의하는 시위까지 벌였다. 한마디로 영화는 마리아 펠릭스가 가진 모든 것을 쥐어짜내며 관객들을 불러 모은다. 이 여배우의 고혹적인 외모, 춤과 노래를 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영화를 감상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 

  복잡하게 뒤틀린 영화의 멜로 드라마 서사는 허술하기 짝이 없다. 그럼에도 이 낯선 멕시코 영화는 당시 관객들의 취향과 영화 제작 풍토를 가늠하게 해준다. 'The Kneeling Goddess'는 낭만적인 로맨스에 춤과 노래를 결합한 볼거리를 제공함으로써 영화의 오락적인 기능을 극대화한다. 이 영화는 1930년대에서 1950년대를 아우르는 멕시코 영화의 '황금 시대(Golden Age)'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꼽힌다. 


3. 뮤지컬 특집: 42nd Street(musical, 2019), Hamilton(musical, 2020)

  뮤지컬 '브로드웨이 42번가'의 기원은 Pre-Code 시대의 영화 '42nd Street(1933)'로 거슬러 올라간다. 1980년에 Harry Warren과 Al Dublin에 의해서 뮤지컬로 탄생한 이후로 이 작품은 많은 사랑을 받았다. Bonnie Langford, Tom Lister, Clare Halse가 출연한 West End 공연 버전은 그야말로 영국 뮤지컬의 저력을 입증한다. 놀라운 탭 댄스와 아름다운 뮤지컬 넘버를 기가 막히게 소화해 내는 배우들을 보는 것이 그저 즐거울 따름이다. 화려한 의상과 정교하게 구성된 무대 장치는 감탄을 자아낸다. 거기에 단 한 번의 실수도 하지 않는 배우들의 공연은 그들이 리허설에 쏟아부은 시간과 열정을 떠올리게 만든다.

  귀에 착착 감기는 멜로디 중심의 전통적 뮤지컬과는 전혀 다른 지점에 뮤지컬 'Hamilton'이 있다. Lin-Manuel Miranda는 미국 건국의 기틀을 마련한 정치인 알렉산더 해밀턴(Alexander Hamilton)의 일생을 뮤지컬로 탄생시켰다. 그는 빠르고 강렬한 랩, 재즈와 소울 음악으로 이 뮤지컬의 넘버들을 만들었다. 한마디로 전위적 뮤지컬인 '해밀턴'은 2시간 반 동안 기가 막힌 라임(rhyme)으로 가득한 랩들이 폭포처럼 쏟아져 내린다. 배우들이 그 가사들을 어찌 다 외우는지 그저 신기하게 여겨질 정도. 린 마누엘 미란다는 뮤지컬의 작곡자이면서 본인이 주연을 맡아 오리지널 캐스트 멤버로 공연까지 했다.

  이 뮤지컬에는 흑인 배우들이 대거 출연한다. 해밀턴의 정적이었던 애런 버(Aaron Burr)를 비롯해 대부분의 배역들을 흑인 배우들이 소화한다. 어떤 면에서는 새로운 시대에 맞는 뮤지컬의 변모일 것이다. '해밀턴'에서 내 눈길을 끌었던 것은 흰색 옷을 입고 등장하는 코러스 배우들이었다. 그들의 존재는 그리스 비극의 코러스를 떠올리게 만든다. '해밀턴'의 코러스는 합창과 춤으로 극의 진행을 이끌면서 주연 배우들을 보조한다. 진화하는 브로드웨이 뮤지컬의 흥미로운 단면을 '해밀턴'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다큐인가 영화인가: A Cop Movie(2021)

  'A Cop Movie(2021)'는 밤 거리를 순찰하는 경찰 테레사를 비춰주는 장면에서부터 시작한다. 테레사가 무전으로 출동 명령을 받고 간 곳은 범죄 현장이 아니라 어느 가정집의 출산 현장이다. 구급차를 불러도 오지 않자 테레사는 출산을 돕는다. 멕시코 경찰의 고단한 삶의 현장을 찍은 다큐인가 보다, 라고 생각하며 관객들은 테레사의 일상을 따라간다. 대낮 길거리에서 맞닥뜨린 범죄 용의자는 지하철로 도망친다. 테레사를 급박하게 따라가는 카메라가 용의자를 안정적으로 화면 안에 담을 때, 좀 뭔가 이상하다는 느낌이 든다. 저거 진짜인가...
  
  멕시코 출신의 감독 Alonso Ruizpalacios가 만든 'A Cop Movie(2021)'는 다큐와 극영화, 그 둘 중에 어느 범주에 넣어야 할지 고민하게 만든다. 제목의 'movie'는 이 다큐 영화를 이해하는 단서를 제공한다. 감독은 실제 멕시코 경찰의 모습을 담기 위해 많은 경찰들을 인터뷰 했다. 그래서 선정된 이들이 경찰 부부인 테레사와 몬토야였다. 그 두 사람이 들려준 이야기를 바탕으로 배우들이 실제인 것처럼 연기를 했다. 그런데 그 배우들은 경찰 직무를 이해하기 위해 경찰 학교에 가서 전문적인 극기 훈련까지 받았다. 진짜 '경찰(cop)'의 이야기와 '영화(movie)'의 결합. 이것은 로브 라이너의 모큐멘터리(mockumentary)영화 '이것이 스파이널 탭이다(This Is Spinal Tap, 1984)'와 닮아있다. 로브 라이터는 어느 록 그룹의 결성과 해체를 다큐멘터리적인 방식으로 재현한다.

  'A Cop Movie'의 배우들이 보여준 리얼리티는 직접 소화해낸 경찰 학교 과정에서 나온 것이다. 주연 배우들은 경찰 부부의 어린 시절의 이야기, 경찰 업무, 연애의 과정을 각각 구술한다. 감독 루이즈팔라시오스는 실제와 영화적 현실의 간극을 보여주기 위해 일종의 트릭을 썼다. 테레사와 몬토야 부부의 이야기를 녹음해서, 그것을 배우들의 입 모양에 합성한 것이다. 그 결과, 다큐 중간 중간에 싱크가 맞지 않는 장면이 나온다. 연극적 '소격 효과(疏隔效果)'처럼 보이는 그런 기법은 관객이 다큐 속 인물들과 거리를 두게 만든다.

  과연 'A Cop Movie'의 그러한 실험적 시도는 성공적일까? 이 작품은 지금 시대의 다큐멘터리가 다양한 방식으로 진화를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표현 방식에서 뿐만 아니라 다큐멘터리의 근원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새로운 방향성을 만들어 내고 있다. 많은 술꾼들을 인터뷰해서 출연자를 뽑은 다음에, 하룻밤 술집을 빌려 진창 술을 마시도록 해서 찍은 'Bloody Nose, Empty Pockets(2020)'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런 면에서 'A Cop Movie'는 다소 낯설고 어설퍼 보이기는 해도, 그 실험 정신은 나름대로 칭찬할 만 하다.


*사진 출처: amensagem.pt



**사진 출처: en.wikipedia.org    배우 마리아 펠릭스(
María Félix)



***사진 출처: letsgotothemovies.co.uk



**** 다큐 'Bloody Nose, Empty Pockets(2020)' 리뷰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1/10/bloody-nose-empty-pockets2020.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