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사냥
윤후명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7년 6월
평점 :
품절


인간이 그의 삶을 영위하는 터전으로 오랫동안 그 존재를 영속시켜 온 사회는 그 기간만큼이나 그것의 특질에 대한 근원적인 존재 이유에 대해 끊임없는 질문을 요구받고 있다. 그것은 비단 인간이 그것을 만들고-사회계약론적인 관점일지라도- 또 그것에 살아온 이유라는 점뿐만이 아니라 세월이 지나면서 사회 자체가 만들어낸 보이지 않는 수많은 규범과 양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누구나 사회라는 단체의 성원으로 살아가면서 느끼게 되는 사회와 나의 관계, 그리고 그 속에서의 이상과 현실과의 갈등. 이제 윤후명은 그 장소를 러시아 혹한의 대지로 옮겨 우리를 맞이한다.

이 작품 역시 윤후명식 소설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1인칭의 독백투의 서술도 그러하고 '하얀배'에서 쓰인 여행기적 구조도 그러하다. 다만, 하얀배에서의 '나'가 내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동시에 민족이라는 보다 확장된 틀로서의 그것을 추구했다라고 하면, 이번 작품에서는 역시 주된 배경은 이역(異域)이지만 그의 초점이 협소하나 한층 리얼리티를 갖춘 '그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로 전이되었다는 데 있다.

소설은 그의 일련의 연상 작용에 의해 전개된다. 조계사 앞 길모퉁이를 지나다가 문득 발견한 러시아 문자에서 그는 지난 겨울의 러시아 여행을 반추한다. 그리곤 시간의 수레바퀴는 되돌려져 그의 이야기는 시작된다.

'나'는 6.25전쟁과 군사정권이라는 혹독한 시풍(時風)을 맞으며 살아온 50대이다. 그러나 한창일 시절 나는 다른 사람들처럼 사회의 개혁과 그 주체적 행동에 동참하는 자가 아니었다. 나의 친구인 '그' 또한 나에게 개혁을 부르짖으며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지만 투쟁의 현장에 직접 나서지는 못했다. 그런 그를 나는 이상주의자라고 불렀고, 그는 그것을 무척이나 불쾌해 했었다.

세월은 흐르고 굳게 잠긴 동구권의 문호도 개방되기에 이르자 그는 주저없이 그 옛날 그가 추구하던 '혁명의 국가'로 떠난다. 그리고 나는 여러 나라를 여행하던 중에 러시아에서 그를 다시 만나게 된 것이다.

소설 내부에서는 '푸슈킨'이라는 말-혹은 인물-에 초점이 집중되고 있다. 그가 푸슈킨 기념박물관에서 본 그림들에 대한 감동과 또 친구인 그의 집과 북녘 호숫가의 허름한 집에서 발견한 푸슈킨의 시집을 본 그의 심리 상태는 이 소설의 무게중심을 그 한 단어에 놓기에 충분하다. 또한 북쪽의 호숫가 근처의 집에서 보낸 밤에도 그는 다른 사람들을 끊임없이 의심하지만 푸슈킨의 시집을 발견하고 나서는 그런 의구심을 털어버리게 된다.

'푸슈킨'은 과연 이 소설 내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일까? 소설 속의 나와 그는 모두 정상적인 삶의 영위에 실패한 사람들이다. 그것은 곧 사회에 의한 추방과 같은 것이다. 그는 끊임없이 이상을 추구하고 나는 현실에의 안착을 갈구한다. 둘의 방식은 다르지만 결론은 동일하다. 사회성원으로서의 삶을 원하는 것이다. 사회와 무관한 이상은 그 존립의 가치가 무의미하다. 그것을 알기에 그는 그토록 고민했던 것이다. 그래서 그는 마지막에 여우를 향해 뛰어갔는지도 모를 일이다. 그가 원했지만 그토록 잡히지 않았던 이상에 대한 갈망. 그것은 여우라는 사물로 현물화(現物化)되었는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