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뽀뽀해 주는 사람한테 옮은 거 아냐?" 작년 11월이었다. 병원에서 처방해준 약을 사서 집에 가는 길에 마침 전화를 건 친구가 입술 주위와 접촉성 피부염이라는 말을 듣고 나를 놀렸다. 누군가와 '접촉'해본 게 언제인지 기억도 나지 않아서 나는 좀 억울했다. 뽀뽀해 주는 사람이 있어서 그 사람한테 옮은 거라면 차라리 좋았을 것을. 6개월 만에 피부과에 다시 방문했다. 예약을 하지 않아서 오래 기다려야 한단다. 그럴 줄 알고 책을 한 권 들고 갔다. 교수처럼 문학 읽기. 옆에 대기 환자도 많은데 하필이면 '문학에서의 섹스'라는 장을 읽을 차례다. 다행히 내 책에 관심을 갖는 사람은 없다. 


프로이트 정신분석에서 계단이 성교를 상징한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 남들 다 아는 비밀을 뒤늦게 알게 되면 이런 기분일까? 나는 6개월 전처럼 이번에도 좀 억울했다. 그러고 보니 20대 중반까지 나는 계단에서 많이 헤맸다. 꿈 얘기다. 배경은 대개 학교나 친척 집이었다. 계단이 중간에 끊어져 오도가도 못 하거나, 문을 열면 끝도 보이지 않는 좁은 계단이 나타나 어리둥절하거나, 익숙한 계단을 기껏 올랐더니 전혀 엉뚱한 곳에 도착하거나. 그러니까 지금까지 내가 가장 많이 꾸었던 '꿈의 해석'이 그렇다는 말이지, 제기랄. 말도 많고 탈도 많은 프로이트 이론을 다시 보게 되었다. 이건 너무 정확하지 않은가? 젠장.


간호사가 내 이름을 부른다. 악몽에서 깬 듯 놀라서 창구로 갔더니 안에서 앉아 기다리란다. 그래 기다린다. 어디 도망 안 간다. 뛰어봤자 프로이트 선생의 손바닥이겠지. 의사를 만나는 데 한 시간 가량 걸렸다. 입술 주위는 많이 좋아졌는데, 이번에는 양쪽 볼이 말썽이다. 전에 처방받은 연고를 발라도 별 효과가 없다. 의사는 쓱 보더니 뭐라고 병명을 말한다. 같은 거라고 생각했는데 아닌 모양이다. 책이나 컴퓨터만 들여다보지 말고, 밖에 나가 사람들과 어울려야 낫는데요. 의사는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고 알려주는 것처럼 말한다. 그 말이 자꾸 걸려서 진단명을 제대로 듣지도 못 했다. 잠을 푹 자라는 말도, 스트레스가 좋지 않다는 말도 귀에 들어오지 않았다.


사람을 만나라니, 뭔가 들킨 기분이었다. 약국으로 향하면서 연애하라는 처방을 의사가 완곡하게 말한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았다. 그나저나 언젠가부터 계단에서 헤매는 꿈을 왜 꾸지 않는지 모르겠다. 집에 와서 처방받은 연고의 설명서를 훑어보니 이번에는 지루성 피부염인 것 같았다. 접촉 다음에 지루. 어째 얘기가 이상하게 흘러간다. 얼굴에 연고를 바르고 나는 의사를 비웃으며 다시 책을 펼쳤다. 그랬더니 이번에는 책이 나를 비웃는다. 다음 장의 제목은 '섹스만 빼고···' 이런 제기랄. 왠지 더 이상 읽기 싫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의 이름과 나란히 적힌 낯선 이름

네가 이쪽에서 저쪽으로 건너가는 시간과 장소

나의 삶을 열어젖혀 내가 누구인지 알게 해준 너의

청첩, 상자처럼 열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여기는 카페 에필로그, 시간의 웅덩이

옛사랑이 그립다는 것인지

그리워하는 자신이 가엾다는 것인지

흐느끼는 BGM은 사이렌

유혹당한 것은 그리운 마음인지 갈급한 육체인지

모르는 자들이 모여 고개를 처박고 마시는 한 모금의 차

가정법의 푸념은 엔딩 크레딧

뒤늦은 각성은 클리셰

순간

추억의 목덜미를 귀신같이 포착하여 찢어발기는

악어의 치악력이 지배하는 여기는

주인공을 참칭한 맥거핀들의 카페,

에필로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대성당 (양장) - 개정판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19
레이먼드 카버 지음, 김연수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1. 촉각 

- 그는 내 손위에 자기 손을 얹었다.


언제부턴가 '소통'은 SNS를 따라다니는 말이 되었다. 그러나 그것이 진정한 소통이 아니라는 것은 우리 모두가 알고 있다. 보여주고 싶은 것만 보여주고, 보고 싶은 것만 보는 것은 소통이 아니다. 이를 두고 한병철은 '싫어요'가 원천적으로 차단된 '좋아요'의 세상이라고 했다. 이 단편집 속에서 등장인물들은 끊임없이 바라본다. 창밖을 바라보기도 하고, 텔레비전 화면을 바라보기도 한다. 보는 행위는 상대를 대상화한다. 소통과는 거리가 멀다. 그렇다면 듣기는 어떨까? <별것 아닌 것 같지만, 도움이 되는>의 마지막 장면에서 누군가의 말을 들어주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잘 드러나고 있다. 보는 것은 '그냥' 보는 것이 가능하지만, 듣는 것을 그렇게 했다가는 말하는 상대에게 금방 들키고 만다. '신경써서' 들어야 한다. 확실히 시각 보다는 청각이 (소통이라는 면에서) 윗길이다. 그런데 <대성당>에서는 청각을 뛰어넘는 것이 등장한다. 그것은 물론 촉각이다. 화자와 맹인이 손을 잡고 그림을 그린다. 그 결과는? "It's really something." 화자의 이 말은 눈을 감은 상태에서 한 말이다. 진짜 대단한 것은 둘이서 그린 그림이 아니란 말이다. 그렇다면 그건 뭘까?



2. 언어 

- "지금 뭐하는 거예요? 가르쳐줘요, 나도 알고 싶어요."


그게 무엇인지 묻는 것도 거기에 답하는 것도 언어를 통하지 않을 수 없다. 독자는 답답하다. 분명 <대성당>의 마지막 장면에서 무엇인가를 느꼈는데, 그것을 말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이를테면 이 작품은 스스로 언어의 한계를 드러내는 작품이다. 화자가 맹인에게 텔레비전 화면 속 대성당을 묘사하는 일은 '말'처럼 쉽지 않다. 사실 화자는 문제의 맹인을 처음 만났다. 그리고 바로 직전까지 그를 매우 못마땅하게 여기고 있었다. 그런데 마지막 장면에서는 오랫동안 맹인에게 책(문자언어)을 읽어주고, 녹음(음성언어)된 테이프를 주고받으며 소통해온 아내가 두 사람으로부터 소외되는 역설이 발생한다. 둘이서 뭐하는지 묻는 아내에게 화자는 대꾸하지 않는다. 말로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소외되고 있는 것은 아내가 아니라 어쩌면 언어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지금 뭐하는 거냐고 묻는 것 역시 아내가 아니라 언어 자체인지도 모른다. 바보 같은 언어는 지금 화자와 맹인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른다. 우리는 안다. 알지만 설명할 수는 없다. 그래서 'really something'이다.



3. 눈부처 

- 사랑하는 사람의 눈 속에 비친 자신을 한 번도 볼 수 없었던 여인을 상상해보라.


우리가 살면서 겪는 문제는 대개 관계에서 기인한 것이다. 그런데 그 문제의 해법 역시 관계 속에 숨어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삶은 오묘한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역자인 김연수의 해설에 따르면 카버의 인물들은 화장실에서 거울에 비친 자신을 바라보면서 자각한다. 참으로 카버의 인물들다운 자각이다. 나라면 화장실 거울이 아니라 눈부처로 설정했을 것이다. 눈부처는 거울 속의 모습이 아니다. 상대의 눈에 들어있는 자신의 모습이다. 화장실 거울이 닫힌 공간 속 고독한 주체의 자각이라면, 눈부처는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함께 깨달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대성당>의 맹인과 그의 아내는 그럴 수 없다. 그 고독과 좌절 속에서 맹인이 발견한 소통의 방법론, 어쩌면 이것이 이 단편의 주제의식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비약일 수 있다. 최근에서야 나는 맹인이 아니면서도 눈부처를 보지 못하는 자신을 발견했다. <대성당>의 마지막 장면을 앞에 두고 이런저런 정돈되지 않은 생각들이 떠오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18-04-19 15:3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SNS를 그만두고 싶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더라구요. 뒷이야기를 안 들어서 왜 그만두고 싶은 건지, 이유는 알지 못하는데..정돈되지 않은 생각들이라고 하셨는데, 저는 리뷰가 좋다고 생각했어요. 재밌기도 하고, 뭔가 깨닫는 바도 있고.

책의속밖 2018-04-19 15:50   좋아요 1 | URL
잘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저는 아무 sns 계정도 없어서 잘 모르지만, 왠지 그럴 것 같아요.
요즘 세상은 sns를 이용하는 즐거움에 대해서는 말할 사람이 차고 넘치지만,
그만두고 싶은 진짜 이유를 말할 사람은 별로 없는 것 같아요.
나를 보여줄 사람은 많은데, 나를 들려줄 사람은 없는 것이 비극이죠.
 

헌책방에 가더라도

잃어버린 사랑을 찾을 수는 없겠지

그곳에서 발견한 내 사랑의

중고로서 들어가는 나이를

지금은 내가 헤아릴 수는 있어도

사랑은 또 처음의 양장으로

돌아오지는 않겠지


헌책방에 오는 사람들은

볼장 다 본 사랑을 들고 오는데

손에 들린 사랑은 옛 연인의 손길에

은밀한 페이지까지 다 펼쳐보였을 터인데

어쩌면 나도 만지고 싶은 것일까

손가락을 베이면서라도 아파하며

또 누군가를 읽고 싶은 것일까


사람들은 애증의 지난 시간을 넘기고

새로운 헌 사랑을 구해 돌아들 간다

그때 그들 그림자는 힐끔

뒤돌아보다 이내 끌려가는데

그것은 나의 두 빈손에

서늘한 활자를 인쇄하는데

나는 갑자기 눈이 밝아져서

손으로 눈을 비비고


헌책방에 가더라도

잃어버린 사랑을 찾아서는 안 되겠지

그곳에서 발견한 내 사랑의

낡고 변색된 양장이 다시

일독을 권한다 해도

그때 나는 내 손때를 모른 체하며

돌아온 사랑을 툭 던져놓아야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