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성당 (양장) - 개정판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19
레이먼드 카버 지음, 김연수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1. 촉각
- 그는 내 손위에 자기 손을 얹었다.
언제부턴가 '소통'은 SNS를 따라다니는 말이 되었다. 그러나 그것이 진정한 소통이 아니라는 것은 우리 모두가 알고 있다. 보여주고 싶은 것만 보여주고, 보고 싶은 것만 보는 것은 소통이 아니다. 이를 두고 한병철은 '싫어요'가 원천적으로 차단된 '좋아요'의 세상이라고 했다. 이 단편집 속에서 등장인물들은 끊임없이 바라본다. 창밖을 바라보기도 하고, 텔레비전 화면을 바라보기도 한다. 보는 행위는 상대를 대상화한다. 소통과는 거리가 멀다. 그렇다면 듣기는 어떨까? <별것 아닌 것 같지만, 도움이 되는>의 마지막 장면에서 누군가의 말을 들어주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잘 드러나고 있다. 보는 것은 '그냥' 보는 것이 가능하지만, 듣는 것을 그렇게 했다가는 말하는 상대에게 금방 들키고 만다. '신경써서' 들어야 한다. 확실히 시각 보다는 청각이 (소통이라는 면에서) 윗길이다. 그런데 <대성당>에서는 청각을 뛰어넘는 것이 등장한다. 그것은 물론 촉각이다. 화자와 맹인이 손을 잡고 그림을 그린다. 그 결과는? "It's really something." 화자의 이 말은 눈을 감은 상태에서 한 말이다. 진짜 대단한 것은 둘이서 그린 그림이 아니란 말이다. 그렇다면 그건 뭘까?
2. 언어
- "지금 뭐하는 거예요? 가르쳐줘요, 나도 알고 싶어요."
그게 무엇인지 묻는 것도 거기에 답하는 것도 언어를 통하지 않을 수 없다. 독자는 답답하다. 분명 <대성당>의 마지막 장면에서 무엇인가를 느꼈는데, 그것을 말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이를테면 이 작품은 스스로 언어의 한계를 드러내는 작품이다. 화자가 맹인에게 텔레비전 화면 속 대성당을 묘사하는 일은 '말'처럼 쉽지 않다. 사실 화자는 문제의 맹인을 처음 만났다. 그리고 바로 직전까지 그를 매우 못마땅하게 여기고 있었다. 그런데 마지막 장면에서는 오랫동안 맹인에게 책(문자언어)을 읽어주고, 녹음(음성언어)된 테이프를 주고받으며 소통해온 아내가 두 사람으로부터 소외되는 역설이 발생한다. 둘이서 뭐하는지 묻는 아내에게 화자는 대꾸하지 않는다. 말로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소외되고 있는 것은 아내가 아니라 어쩌면 언어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지금 뭐하는 거냐고 묻는 것 역시 아내가 아니라 언어 자체인지도 모른다. 바보 같은 언어는 지금 화자와 맹인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른다. 우리는 안다. 알지만 설명할 수는 없다. 그래서 'really something'이다.
3. 눈부처
- 사랑하는 사람의 눈 속에 비친 자신을 한 번도 볼 수 없었던 여인을 상상해보라.
우리가 살면서 겪는 문제는 대개 관계에서 기인한 것이다. 그런데 그 문제의 해법 역시 관계 속에 숨어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삶은 오묘한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역자인 김연수의 해설에 따르면 카버의 인물들은 화장실에서 거울에 비친 자신을 바라보면서 자각한다. 참으로 카버의 인물들다운 자각이다. 나라면 화장실 거울이 아니라 눈부처로 설정했을 것이다. 눈부처는 거울 속의 모습이 아니다. 상대의 눈에 들어있는 자신의 모습이다. 화장실 거울이 닫힌 공간 속 고독한 주체의 자각이라면, 눈부처는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함께 깨달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대성당>의 맹인과 그의 아내는 그럴 수 없다. 그 고독과 좌절 속에서 맹인이 발견한 소통의 방법론, 어쩌면 이것이 이 단편의 주제의식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비약일 수 있다. 최근에서야 나는 맹인이 아니면서도 눈부처를 보지 못하는 자신을 발견했다. <대성당>의 마지막 장면을 앞에 두고 이런저런 정돈되지 않은 생각들이 떠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