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클래식을 뒤흔든 세계사 - 종교개혁부터 제1차 세계대전까지
니시하라 미노루 지음, 정향재 옮김 / 북뱅 / 2016년 8월
평점 :
품절
제목을 <클래식을 안고 세계사 속으로> 정했다면 음악이란 주제가 더 선명해지지 않았을까 ......
음악과 사회학에 관한 저서라면 비판철학자 아도르노를 빼 놓을수 없지만, 그의 수많은 음악사회학 관련 번역 국내본은 고작 몇 권 있을 정도이다. 그나마 책 속에 언급되는 수많은 인용 도서나 저서들은 아무리 검색을 해도 외서외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국가의 복지 정책도 중요하지만 우수 번역본에 대한 지원도 매우 중대한 관심의 문화 사업콘텐츠인데 전혀 고려되고 있지 않는듯하다. 다시금 인문학의 중요성을 상기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책은 아직 절반 밖에 읽지 않았지만, 읽는 동안 언급된 작곡가나 음반을 검색하고 저서도 찾아보지만
역시나 1% 정도나? 출간 내지 발매 된 모습이다.
요한발터, 마이어베어, 팔레스트리나, 탤리스, 존다울랜드, 퍼셀, 쉬츠, 비발디, 륄리, 쿠플랭, 라모, 하인리히 폰 비버, 아고스티노 스테파니, ........ 몇 명이나 알고 있을지?
다울랜드는 몇개 검색이 되기도 하지만 라모는 언급된 작품들이 전혀 없었다.
책중에 언급되는 문학 전파자 요하임 에센부르크는 책도 이름도 전혀 나타나질 않는다. 정보화 시대이고 정보 공유의 시대도 일전한 수준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것이다.
<브라운의 시와 음악에 관한 고찰> <시와 음악의 친근성에 관한 웨브의 고찰> <음악 표현에 관한 칼 버니의 시론> <고대 음악에 관한 칼 버니의 시론> <헨델의 생애에 관한 칼버니의 정보> 어찌 그리 한권의 번역본 조차 없는지...... 인문학 지원이 번역본에 미치기는 어려운건가? 민족 고전이나 동양고전 번역 지원은 이루어지는데
꼭 많은 사람이 독자로 확보될 가치만 있어야 되는건지... 어째든 마저 클래식 명곡이 탄생하던 시대성 그 세계사의 의미와 음악의 탄생을 마저 읽어 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