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사 - 단군에서 김두한까지 한홍구의 역사이야기 1
한홍구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의의 여신처럼 천칭 저울을 들고 다른 손에 든 칼로 잘라서 저울의 균형을 맞추는 것처럼 정의를 균형감으로 본다면 이책은 흔히 불리는 좌파적 시각이라는 편에서의 균형감을 제공하는데 일조를 한다. 지은이의 민청학련관련 내용을 보더라도...

그렇지만 솔직히 이 책은 이미 균형이 어느정도 잡혀 있는 책이다. 좌편향도 아니요. 학자적 양심에서 발로된 서사시 같은 구성이다. 본인과 동시대를 산 자들의 지독한 레드 콤플렉스 같은 정치적 시각을 충분히 시정해주는 책이다.

1권부터 4권을 읽어가면서 광주의 시각이나 IMF같은 경제적 이슈는 다루어지지 않은 아쉬움과 장래 5권의 모티브적 기대감을 걸게도 하지만, 어찌되었건 한겨레라는 언론매체로 미리 발표가 되었다는 점에서 충분한 객관성을 갖는 책이다.

단지 국방부 금서 목록에 들었다는 것은 양심적 병역거부 정도의 진보적 (?) 내용 때문이지, 역사성을 기득권적 시각에서 그들의 시정 측면으로 부정하려는 시도는 아니라고 본다. 그런 구 시대적 촌스러운 시각으로는 하등의 설득력을 가질 수 없기에, 이 사회는 이미 10년간 단순한 양심적 병역거부 정도의 내용정도 만으로 금서로 지정한 긍정성을 수용할 정도의 발전(??)은 있었다고 판단한다.

지은이의 학자적 양심을 믿고 일독을 권할 도서로 강추 하고자 한다. 특히 유신의 중고시절을 보낸 갈등(?)의 세대들에게.....그 얼마나 살떨리고 쫄아 붙게 만들어 감히 입에 떠올리게 조차 할 수 없던 민청학련이니 김일성 운운이니 하는 단어와 주제들이 실감나게 평가되어 있다. 동시에 좌빨로 불려지는 이들이 주장하는 인터넷의 "수구꼴통" '똥인지 된장인지' 등의 발원지를 찾게 해주고 심지어 '먹고죽은 귀신 때깔도 좋다"의 국민방위군사건 까지에 이르면 필독이 되어야 할 책으로 격상 된다고 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홍구의 현대사 다시 읽기 - 파병국가의 지식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한홍구 지음 / 노마드북스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국방부 금서 목록인 <대한민국사>를 1권을 읽고 서둘러 나머지와 아울러 이 책을 같이 구입했다.

<대한민국사>의 우편향 시각을 균형있게 잡아주는 철저함과 의식의 일치 정도를 여기서는 기대할 수 없다.

이 책은 역사서가 아닌 수필이었다.

위에 언급된 전작을 기대하고 읽었다간 낭패를 보는 심정이리라.

아마도 전작으로 얻은 명예를 업고 상업적 기획을 노린 출간이 아닐까 생각이 들 정도의 수준이다.

같은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에게 균형잡힌 시각을 제공하기엔 아쉬움이 많은 책이리라

단지 군사정부 시절을 겪지 않은 세대들에겐 어떨런지 모르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흐의 그림중에 가장 마음에 드는 작품입니다.

보리(밀)가 흔들리는 느낌과  하늘을 나는 구름이 바람처럼 생동감을 줍니다.

밑으로 한 무더기씩 바람에 흔들리는 보리더미와

하나하나 뜯어보면 밀알의 미세한 고개숙임까지

전체는 물론 세세한 일부까지 오랜시간 바라보게 하는 작품으로 느껴집니다.

진짜 크기의 원본을 놓고 보고 싶은 그림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문득 보았을때 갑자기 머리 속이 시원해지는 느낌이 드는 그림입니다. 

마치 오랫동안 들어도 이해되지 않던 재즈가 어느날 문득 머릿속에 다가와 시원하게 느껴지는것 처럼....

간딘스키의 작품을 교과서적으로 배우던 시절의 모든 고정관념을 벗는게 새삼 중요하다는 느낌이 듭니다.

이토록 독특한 정신세계를 미처 모르고 있었다니.. 그림의 재즈라고 하면 맞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롬의 책들은 정신분석적 측면에서 사회 현상을 분석해 냄으로써 그를 신프로이트학파라고 부른다.

정신분석이란 정신을 이용해 정신을 분석한다는 한계점에서 더 이상 진보되지 않는다.

기도나 영험을 통한 초월적 존재에 의존하면 이미 인간적 모습을 떠나게 된다.

프롬은 주로 인간적 생활을 영위하는데 과거의 삶의 방편들이 어떻게 이용되어야 하며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주로 보여준다.

예를 들면  중세의 신중심 질서는 윗 계급이 주는 명령만 충실하고

아래 계급은 복속이라는 귀속감으로 안정을 찾는다는 점에서 삶이 가능했으나

근현대는 자발적으로 움직이지 않으면 금새 중세적 복속의 세계로 뒤쳐진다는 것이다.

창의성은 이런점에서 자발적 행동에 필요하고 창의성을 가질때 진정한 인간중심의 사회가 가능하다고

<자유에서의 도피>에서 말하고 있다.

<불복종에 관하여>는 그 후속편이라고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