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한당들의 세계사 보르헤스 전집 1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황병하 옮김 / 민음사 / 199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인생을 굳이 두부분으로 나누자면, 보르헤스를 읽기전과 보르헤스를 읽은후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한다면 뻥이 심하다고 금세 돌멩이 세례를 받을게 분명하다. 내 경우엔 이게 돌멩이 세례를 받을지도 모를만큼 어이없는 일이긴 하지만, 조금 오래전의 다수의 사람들에겐(특히나 문학을 하는) 이 일이 다반사로 일어나는 사건 중 하나였던 모양이다. 그리하여 보르헤스라는 이름은 문학이라는 매체에 조금이라도 관심있는 사람들에겐 아주 익숙하면서도 신비스러운 위대함을 지니고 있게 된 듯하다. 내가 보르헤스의 이름을 알게 된 건 물론 대중매체의 영향이지만, "바벨의 도서관"이란 소설을 썼다는 이야기를 통해서이다. 난 원래 도서관이라면 무척 환장을 하는데,(그냥 괜시리 말이다. 그렇다고 자주 가는 것도 아니면서.) 도서관에 관한 소설을 썼다니 궁금해서 견딜 수가 없었다. 결국은 바벨의 도서관과 관련한 책을 구하지 못했고, 바벨의 도서관이 단편소설이라는 얘기를 어디선가 읽고선 더 이상 그 소설을 찾아보기를 단념했다.(이상하게도 나는 단편소설을 그다지 신뢰하지 않고 있다. 아니 재밌어 하지 않는다는게 더 정확한 표현일터다.) 여하튼 그렇게 해서 보르헤스의 이름을 익히게 된게 내가 보르헤스를 알게된 첫 걸음이었다. 그리고 그 뒤 이름이 익숙해진 탓인지 보르헤스의 흔적들은 책들 곳곳에 산재해 있다는걸 그제서야 깨달았다. 그 전에는 그 이름을 무심히 보아 넘긴 탓에 아마도 그 이름이 어디선가 등장해도 깨닫지 못했던 모양이다. 그렇지 않고서야 보르헤스를 알게 된 시점 뒤부터 보르헤스의 흔적들이 그렇게 많이 나타난 이유를 설명하지 못할 테니 말이다. 여하튼 그렇게 되어서 어찌어찌하여 얼마전 보르헤스의 문학전기가 발간된걸 알고선 보르헤스의 문학전기를 구해다 읽었다. 어찌보면 조금 우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보르헤스의 작품은 한개도 읽어보지 않은 주제에 보르헤스의 문학을 총 망라해놓은 회고전 비슷한 문학전기를 먼저 읽다니 말이다. 그리하여서 나는 보르헤스 전집의 첫번째 권인 "불한당들의 세계사"를 집어들게 된 것이다.

"불한당들의 세계사"는 말 그대로 불한당들의 세계사이다. 이 곳에는 사기꾼의 이야기도 등장하고, 중국에서 활개를 폈다는 여자해적에 대한 이야기도 등장하고, 마피아도 등장하고 카우보이도 등장하고 배반자들도 등장한다. 이 책 안 단편소설들의 주인공들은 모조리 불한당들이며, 또한 그 불한당들은 어느 한 지역이나 국가의 인물들이 아니라, 세계 곳곳의 인물들이다. "불한당들의 세계사"란 제목이 이토록 적당할 수가 없군, 이란 생각이 들지 않을 수가 없다. 물론 이 이야기들은 보르헤스 소설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원래 있던 이야기들의 각색 번역판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표절이라고 말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보르헤스는 이 이야기들의 출처를 모조리 밝혀 놓았고, 모르긴 몰라도 보르헤스가 존재하는 시대의 언어들로 적절히 각색을 했을 거라 생각한다. 보르헤스가 가지고 있던 신념 자체가 '항상 새로운 이야기가 있을 수는 없다.' 는 것과 '같은 이야기도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언어와 관념으로 계속해서 다시 씌어지는 양피지 사본과 같다.'는 것이라고 하니 말이다. 그리하여 아주 오래전에 창조되어지긴 했지만, 시의적절하지 못하여 무덤속에 파묻힐 이야기들이 건져내어져 다시 새롭게 재탄생을 하게 된 것이리라 생각한다. 아마 "불한당들의 세계사"에 담긴 보르헤스가 가진 컨셉은 이 두가지가 가장 주요한 거라는 생각이 든다. 아직은 나중에 계속해서 이야기 되어질 판타직한 환상적인 소설세계는 보여지지 않으니 말이다.

사실, 많은 사람들이 보르헤스를 읽고 충격을 받았다는 글을 많이 읽었지만 난 큰 충격은 받지 못했다. 어쩌면 당연한지도 모른다. 보르헤스의 영향은 이미 광범위하게 펼쳐져서 영향력을 발휘하는 상태이므로 난 보르헤스의 책을 읽기 훨씬 전부터 보르헤스의 영향을 받았으므로, 지금 내가 보르헤스의 글을 읽는다고 감흥을 느낄리는 없을 터이다. 이미 면역력이 길러져도 한참은 길러졌을 테니 말이다.

움베르토 에코는 이런 말을 남겼다고 한다.
"두 명의 대가가 인류에게 장차 1000년을 먹고살 양식을 남기고 갔다. 그들이 우리에게 보여준 새천년의 이미지는 바로 월드 와이드 웹이다. 조이스는 그것을 언어로 구축하고, 보르헤스는 아이디어로 디자인하였다. 갈수록 세계는 이 속으로 빨려들고, 사물은 시각 이미지로 남을 것이다."

나는 아직도 네권이나 남아있는 보르헤스 전집을 읽을것이고, 지금은 절판이 되어 구할 수 없는 "모래의 책"을 힘이 닿는한 구하여 읽을 예정이다. 난 보르헤스의 영향력을 느낄 수 있을만큼 현명하진 못하지만, 단지 "불한당들의 세계사"를 읽는것만으로도 내가 알고 있는 문학이라는 것에 대한 편견이 얼마나 뿌리깊은것이었는지는 어렴풋이 깨달을 수 있었다. 아마도 보르헤스를 읽는 작업은 내내 나에게 그렇게 어렴풋한 깨달음을 줄거라고 난 믿어 의심치 않는다. 그것은 에코가 말한것처럼 그렇게 내게 커다랗게 다가오진 않을지 몰라도, 내 머릿속은 보르헤스로 인하여 다시 한번 굳어버린 고정관념의 틀을 깰 거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