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웬디 수녀의 유럽 미술 산책
웬디 베케트 지음, 김현우 옮김, 이주헌 감수 / 예담 / 2000년 12월
평점 :
절판
어린시절 나에게 좋은 그림은, 사진이었다. 가능한 실물과 똑같은 그림. 그런 그림을 보면 "와, 참 잘 그렸다."라면서 순진한 마음에 경탄을 내 보이곤 했다. 하지만 어른이 되어가면서, 머릿속에 어떤 복잡한 작용들에 의해, 견해라는것과 취향같은 것들이 생겨남에 따라서, 좋아하는 그림의 종류도 달라졌다. 이제는 단순히 사진같은 그림은 그리 거들떠 보지도 않는다. 물론 내가 그림을 좋아하는 기준을 사실은 나 자신도 정립할 수가 없다. 그저 어떤류의 그림을 보면 마음이 끌리고, "좋다"라고 말하고, 그걸 반복해서 타인에게도 학습시키다 보면 타인도 내가 좋아하는 그림의 팔할 정도는 어림짐작으로 맞춰볼 수 있게 되었다. "이거 니 스탈인데~" 이런거.
웬디 수녀는 유럽미술을 기행하는 자신의 여행을 "그랑투르"와 비유한다. 큰여행이라는 의미의 "그랑투르". 유복한 집안의 자녀들이 어느정도 나이가 들어서 보다 넓은 견해를 가지고, 풍부한 경험을 쌓기 위해 떠났던 여행. 그들이 본것은 분명 그들의 문화양식이었을 것이다. 수많은 건축물들, 그림들, 조각들, 그리고 그것과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 웬디 수녀는 자신의 기행이 그것과 비슷하기를 바랬던 것 같다. 물론 그 분야는 미술작품에 한정되기는 했지만. 그리고 그녀는 그녀가 보고 느낀 것들을 독자들에게 한껏 보여주고 싶어했을 것이다. 그 마음에서 이 책은 완성이 되었다고 본다.
하지만, 지식이 미천한 나에게는 이 책을 읽은 후의 느낌이, 유럽미술이라는 특색있는 미술의 한 분야가 보이기 보다는, 미술이라는 것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되었다고 해야 하려나, 그런 느낌이다. 물론 그 인식이라는것이 전혀 몰랐던 것을 알게 되기 보다는 그 동안 알면서도 그리 크게 간주하지 않았던 한 부분을 퍼뜩 깨달았다는 걸로 설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사람들은 항상 무언가를 만들어 내고는 한다. 당장 필요한 도구에서부터 그다지 필요하지 않아 보이는 예술작품들까지. 끊임없이 만들고, 소비하고. 그 만들어진 물건들은 그 만든사람의 마음이 담긴다. 흔히 "보이지 않는 부분을 보라"는 말들을 많이 한다. 내가 느낀게 그런거였다. 그저 누구의 그림이구나 하는 그림들. 그게 왜 걸작이라고 하는걸까? 의구심을 자아내는 그림들. 웬디수녀는 설명한다. 우리가 주의깊게 보지 않는한, 그리고 보고서도 그거에 대한 의문점을 갖지 않는한, 볼 수 없는 부분들이 그림에 있다는 것을. 가끔 그 이야기들은 한없이 주관적으로 보이고, 심지어 거짓말처럼 느껴지지만, 한편으로는 그럴듯하다는것을, 그리고 그럴수도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들기도 한다. 아주 사소한 행위나 말투 하나에서 사람의 마음깊은 곳을 보여줄 수 있다고 칼 융은 이야기했었다. 하물며 그림을 그린다는 행위만큼 많은 정신적인 소모를 하는 행위는 아마도 수없이 많은 이야기를 그 속에 묻어 둘 수 있을 것이다. 단지 우리가 그 이야기들을 보지 못하고 있을 뿐.
아마도 그림을 조금 아는 사람이 이 책을 보았다면, 나와는 다른 이야기를 이 책에 찾아내지 않았을까 싶다. 하지만 나로서는 이 책에 있는 몇편의 그림들과 그들의 이야기를 추측하며 읽어내는 것만으로도 그림이라는 것에 한발짝은 다가서는 느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