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콜레라 시대의 사랑 1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7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송병선 옮김 / 민음사 / 2004년 2월
평점 :
"세렌디피티"란 영화에 보면,
성탄절을 코앞에 놔두고,
사라와 조나단은 서로의 애인에게 선물할 장갑을 사려고 하다가
서로 만나게 된다.
조나단은 첫눈에 사라에게 반하게 되고,
서로 전화번호를 교환하자고 하지만,
사라는 서로가 인연이라면 다시 만날수 있을거라면서,
서로의 전화번호를 책과, 지폐에 적고,
책은 헌책방에 팔고, 지폐로는 사탕을 사 먹어 버린다.
정말로 인연이라면, 그 책과 지폐는 서로에게 돌아올 것이라면서.
그때, 등장했던 헌책방에 팔아버린 그 책의 제목은 "콜레라 시대의 사랑"이었다.
사실 그 영화를 볼때는, 그 책에 크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기 때문에,
이 책을 모조리 읽고 나서야 그 사실을 기억해 냈다.
물론 책 말미에 그 사실에 대한 언급덕분에 말이다.
그렇다. 이 책 말미에도 언급되어 있듯이, 세렌디피티의 사랑과
"콜레라 시대의 사랑"에는 유사점이 있다.
사랑이라는 감정의 끈을 놓지 않고 있는 사람들에겐,
세월이라는게 모든걸 무의미로 돌릴만한 충분한 시간을 갖더라도,
결국 사랑은 이뤄진다고.
결국 사라의 손에는 조나단의 전화번호가 적힌 지폐가 들려지게 되고,
조나단은 그저 만나고 있는 여자친구에게서 결혼을 목전에 앞두고,
"콜레라 시대의 사랑"이란 헌책을 선물받게 된다.
어떤 사람들은 "콜레라 시대의 사랑"이란 제목덕에,
사랑=병 이라는 공식을 성립시킨다.
더군다나 페르미나에게 첫눈에 반해,
편지교환밖에 한 적이 없고,
아무런 이유를 설명받지 못한채 이별을 당하게 됨에도 불구하고,
폴로렌티노가 52년의 세월을 펠르미나만을 기다린다는 것은 한없는 억지처럼 느껴진다.
정말로 병이 아니고서는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없을듯.
하지만,
사랑이라는거 요새는 화학적 작용이라느니 하면서 모든 신비스러움이 제거되고,
과학적으로 설명될 수 있을듯 하지만,
아직도 한 사람이 다른사람에게 빠져드는 감정을 완벽하게 설명할 수 없지 않은가?
사실 내가 생각기엔, 페르미나와 폴로렌티노는 52년후에 진짜 사랑을 시작하게 된게 아닐까 싶다.
그 전의 페르미나는 사랑이라는 감정에 대한 모험을 한 것 같고,
폴로렌티노는 감정에 대한 열정만을 지니고 있었던듯이 보인다.
결국 52년후에 다시 만나 나눈 사랑만이 그들 사이에 진정한 사랑이 아니었을까 싶다.
결국 그 시간이 되어서야 그들은 서로에 대한 환상을 벗고,
진실한 모습으로 서로를 대면할 수 있게 되었다고 나에겐 보여졌으니까.
항상 그렇듯이
난 이책을 읽고서 무슨 생각을 해야 할지는 모르겠다.
아니, 무슨 생각이 드는지 정확히 집어낼 수가 없다.
단지 폴로렌티노의 위대하며 병적인 사랑이 놀랍기만 하고,
그리고 "100년동안의 고독"한 권만으로 좋아하게 되어 버린 작가, 가르시아 마르케스가
더욱 좋아졌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