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개의 찬란한 태양
할레드 호세이니 지음, 왕은철 옮김 / 현대문학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한 나라에 있어 훌륭한 이야기꾼을 갖는다는게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 이 책을 읽는 동안 자주 생각했다. 아마 우리가 할레드 호세이니라는 작가를 알지 못했다면, 아프가니스탄의 그 아픈 상처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들의 수는 절반, 아니 어쩌면 삼분의 일로 줄어 들었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연을 쫓는 아이"에 이의 두번째 소설인 "천 개의 찬란한 태양"은 홍보부족 탓인지, 난 지인에게서 우연히 이 책에 대한 얘기를 듣고 읽기 시작했다. 얼마전까지만해도 라디오에선 "연을 쫓는 아이"에 대한 광고가 방송되었지만, 이 책에 대한 언급은 그다지 듣지 못했다. 혹자들은 (물론 나도 그랬다.) 충격적인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얘기가 처음 접했을땐 재미있었지만, 두번째에 접했을때는 그저그런 이야기가 되어 있을거라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마치 영화가 2탄이 되면 그저 그렇듯이. (사실 내게 있어서 트랜스포머 2탄은 무지 실망스럽고 지루했다.) 하지만 그건 아마 이 책을 읽기 전에 있는 사람들에 기우일뿐일 것이다. "연을 쫓는 아이"를 얼마나 즐겁게 읽었던지 간에, 비록 같은 나라의 유사한 시기를 이야기했다고 하더라도 이 소설은 "연을 쫓는 아이"와는 다른 즐거움을 준다. 긴급구호와 세계여행으로 유명한 한비야씨도 어느 인터넷 포탈 사이트에서 이 책은 고전이 될 책이라고 치켜 세우기도 했었다.
 

 할레드 호세이니는 아프가니스탄에 남겨진 여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다고 한다. 마리암과 라일라는 그렇게 탄생했다. 서로 너무나 다른 환경에서 자란 그녀들. 우리가 깨닫지 못하는 세상법칙들이 그렇듯이 우연이 겹치면서 함께 살게된 그녀들. 우리나라 만큼이나 질곡많은 그들의 나라에서 갇혀 지내게 된 그녀들은 서로에게 너무나 다른 시선을 보낸다. 기득권을 뺏겼다 생각하는 마리암, 그런 마리암과 동료가 되고 싶어하는 라일라. 라일라의 딸 아지자가 마리암이 손가락을 붙잡고 오물거리며 마리암의 라일라에 대한 경계심이 풀리는 장면은 감동적이며, 내가 이 책 안에서 가장 인상적으로 갖고 있는 장면이기도 하다. 또 그 둘이 남은 할와를 곁들여 먹으며, 정원에 나가 차를 마시는 장면은 내게 있어 가장 아름다운 장명이다.

  그 둘의 공동의 적인 탈레반의 여성을 억압하는 정책과 라시드의 폭력은 읽는 내내 나를 분노케 한다.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그 현실이, 문득 '만약 내가 저 시대 저 장소에 던져지게 된다면?'이라는 상상을 부추겨 숨이 막히게 만든다. 

  마리암의 희생은 슬프다. 바라는게 거의 없었던 그녀. 항상 있는듯 없는듯 조용하고 모든 슬픔과 회한을 묻어버리고 살아가던 그녀. 이 책안에서 그녀의 이름은 '슬픔'이다. 그녀의 희생으로 살아가는 라일라. 그녀의 또 다른 이름은 '희망'이다. 마리에서의 안정적인 삶을 멀리하고 '카불'로 돌아와 도시의 재건에 힘을 보태는 그녀는 아프가니스탄의 '희망'이다.

'슬픔'을 발효시켜 태어난 '희망'

 이 곳과는 너무나 먼 그곳. "천 개의 찬란한 태양"이 존재하는 그 곳. 그녀들의 삶은 슬펐지만, 미래의 그녀들의 삶은 행복하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