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인간에 대한 기억은 어디까지일까. 엄마에 대한 기억은?

-17쪽

 

 아마도 누구나 책을 읽는 내내 '우리 엄마'생각을 하고 있지 않았을까? 어쩌면 나랑 동시대에 나와 같은 지방의 학교를 다녔던 아이(?)들은 더욱더. 심지어 사투리마저도 낯설지 않았으니까. 서울에 올라와서 낯설은 모습중 하나는 가정주부들이 아무 할 일도 없는 한가한 순간들을 갖을 수 있다는 것이다. 나는 한번도 우리엄마가 한낮에 방에 한시간 이상을 누워계시는 모습을 본 적이 없다. 항상 어딘가로 움직이시고, 항상 무엇인가를 무언가를 하고 계시던 우리엄마. 서울에서 내려왔던 작은엄마는 우리엄마가 참 부지런하시다고 했다. 우리엄마가 없으면 우리집 살림이 유지가 되지 않을거라고.

 

 다른 사람들에게 엄마의 모습이 어떻게 보일지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 본 적은 없다. 어릴때는 엄마가 세상 전부였고, 어른이 되어서는 엄마에 대한 생각은 눈에 띄기 시작한 주름살과 함께 조금은 아련한 슬픔을 띄곤 했다. 더구나 멀리 떨어져 살기 시작한지 10년이 넘어선 지금은 항상 옆에서 함께 하지 못함이 안타깝고 서글프기도 하다.

 

 이 책을 읽은 후에는 엄마의 인생에 대해 왜 나는 한번도 궁금해 해본적이 없는지 의아했다. 아마도 엄마와 함께 있으면 나는 언제나 내 생각만 했던 모양이다. 엄마가 어린시절 어떤생각을 했는지, 무얼 하고 놀았는지, 무엇때문에 고민을 했는지 나는 하나도 모른다. 그리고 그 후에도 나와 내 동생들을 길러 내면서 어떤점이 힘들었을지, 혹시나 아빠가 엄마 속을 썩히신 적은 없는지 그것도 잘 모르겠다. 엄마앞에 있어서만은 나는 무척이나 이기적인 존재였던것 같다.

 

 "엄마를 부탁해"안에 엄마는 실종되고 나서 가족들의 기억으로 재구성된다. 큰 딸의 기억속의 엄마, 큰 아들의 기억속의 엄마, 아버지의 기억속의 엄마. 각각의 그녀는 동일인물인듯 하면서도 각각 다른 인물일 수도 있을법 하다. 그리고 엄마의 기억속의 자신. 그 역시 그들 모두가 알고 있는 사람과 같은 듯 하면서도 다르다.

 

 우리는 어째서 타인의 기억에는 귀 기울이려 애쓰면서도, 정작 우리 엄마의 기억은 궁금해 하지도 않으며 살아갈까? 어쩌면 우리는 엄마가 너무도 가까워서 다 알고 있다고 속단하면서 살아온 것이 아닌가 싶다. 하지만 막상 타인과의 관계에 사용하는 잣대를 들이대면 우리가 얼마나 엄마에 대해 무지했던가를 깨닫게 된다. 어쩌면 이 소설을 엄마에 대해 그런 얘기를 하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세상의 대부분의 일들은 생각을 깊이 해보면 예상할 수 있는 일이다. 뜻밖이라고 말하는 일들도 곰곰 생각해보면 일어날 일이 일어난 것이다. 뜻밖의 일과 자주 마주치는 것은 그 일이 앞뒤를 깊이 생각하지 않았다는 증거일 뿐.

-4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