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c2
데이비드 보더니스 지음, 김민희 옮김, 한창우 감수 / 생각의나무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오래전부터 있어 왔던, 무언가를 이루고 싶어하는 인간의 욕망. 그것은 어쩌면 유한한 삶에서 비롯되었다고 나는 내심 생각해 오고 있었다. 인간의 삶에 무한성이 보장된다면, 우리는 무언가를 이루기 위해 굳이 애쓰지 않으며 살아갈지도 모르겠다. 시간은 무진장 많고, 미뤄두기는 우리의 특기 아닌가? 갑자기 이런 얼토당토 않는 얘기를 해 대는건, 이 책이 E=mc2을 다루는 방식 때문이다. 이 책의 컨셉은 E=mc2의 일대기를 전기의 형식을 빌려 얘기하는 것이다.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전기는 많이 보고 듣지만, 물리학 공식을 주인공으로하는 전기는 모든 사람들에게 난생 처음이 아닐까? 그렇다면, 이 공식도 그 자신의 삶이 마감지어질 것이며, 그 이전에 무언가를 이루려는 노력을 할까? 공식에 의도라는게 존재 할거라는 생각이 들진 않지만 또 모르는 일 아닌가? 세상은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것들이 수백, 수천, 수만, 수억가지일테니까.

 

 데이비드 보더니스는 잡지에서 본 카메론 디아즈의 인터뷰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프리미어]라는 잡지에서 여배우 카메론 디아즈의 인터뷰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기자는 인터뷰를 끝내면서, 디아즈에게 궁금한 것이 있으면 물어보라고 말했다. 디아즈의 대답은 이랬다. "글쎄요, E=mc2이 도대체 무슨 뜻이죠?" 그리고는 둘 다 웃음을 터뜨렸다. 디아즈는 "농담이 아닌데......"라며 말끝을 흐렸다.

 사실 "E=mc2"은 위와 같다. 모두들 이 공식을 들어보았고, 어디선가 (가령, 물리 교과서 같은 책에서) 한번쯤은 보았다. 그리고, 현재 이 지구상에 이 공식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도 알고 있다. 하지만 그 의미를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지는 의심스럽다.

 

 질량은 c2=448,900,000,000,000,000 mph(mile per hour)이라는 숫자를 상수로 갖는 에너지로 변경될 수 있다는 이 공식은 누구나 잘 알고 있듯이 아인슈타인에 의해 발견되었다. 과학계의 주류와는 거리가 멀었던 아인슈타인은 별다른 실험도 아닌, 깊은 사색을 통하여 이 공식을 만들어 냈고, 이 공식은 자체적으로 힘을 가지고 성장해, 일본의 두 도시에 떨어져 인류 최대의 전쟁이었던 2차 세계대전의 종결을 이끌어냈다.

 

 사실 지난 세기에는 E=mc2이란 공식이 가장 핫hot한 아이템이 아니었을까 싶다. 그 공식으로 인해, 2차 세계대전이 종결되었고, 우리는 잠재적으로 지구상에 모든 인류를 멸망시킬 수 있는 무기를 깔고 앉아 있는 꼴이 되었으며, 효율성 높은 에너지원을 갖게 되었으며, 동시에 그로 인해 방사능 유출의 문제점 또한 갖게 되었다. 또 그 동안 궁금하게만 여겼던 우주 생성 과정에 대한 실마리를 밝혀냄과 동시에 또, 우리 지구의 최종적인 종착지에 대한 추측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공식은 지극히 간단했지만, 그 공식이 내포하고 있는 힘은 우리 세계를 너무나도 혁신적으로 변화시켰다.

 

 과학이라는 것은 어린시절부터 내겐 동경의 대상이었다. 알아듣기 어려운 전문 용어들은 마법의 주문 같은 여운을 남겼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나는 과학적 재능은 그다지 갖고 있지 않았던 모양이다. 과학이란 분야와 과학을 잘 아는 사람에 대한 동경은 가지고 있었지만, 이해는 잘 하지 못했으니 말이다. 사실 이 책은 여느 과학책들과는 달리 이해하기 쉬웠다는 생각이 든다. 문제는 책을 읽고 있던 당시는 모든 내용들을 훤히 꿰뚫을 수 있을 만큼 알고있다 자신했지만, 읽고 난 후에 기억은 모두 흐릿해졌다. 지금도 책을 읽던 당시에는 너무나 많은 것들을 알게 되서 두뇌의 모든 뉴런들이 아우성치는 듯 하였지만, 지금은 에너지와 질량의 관계와 빛의속도제곱의 상수만이 또렷하게 기억난다. 어쩌면 그것만으로도 내게 큰 성과일런지도 모르지만.

 

 마지막으로 E=mc2으로 추측되어진 우주의 형성과정에 대한 설명에 나름대로의 나의 상상을 더해 본다.

 태초에 에너지의 장으로만 이루어진 우주가 있었다. 불안전한 에너지의 흐름은 군데군데 강하게 압축되어 질량을 가진 물질들을 만들어 냈다. 그것들은 행성이 되었다. 그 중 하나는 태양이 되었고, 유난히 수소가 많았던 그 별은 얼마 후 수소를 분해하여 에너지를 내며 밝게 타오르기 시작했다. 그 빛을 받아 여러 별들도 변화를 겪기 시작하였다. 지구도 내부적으로는 말랑말랑한 유동체를 품고, 겉으로는 딱딱한 대륙의 껍질을 가지고 군데군데 웅덩이를 만들며, 어느 순간 생명체가 탄생했다. 그 중에는 직립보행을 하고, 언어를 사용하는 인류가 탄생하였다. 태양은 수소란 연료를 모두 다 사용하고, 다시 압축과 폭발을 계속하다 다시 헬륨이란 연료로 불타오르기 시작했고, 그만큼 질량이 작아진 태양은 더이상 인력이 세지 않아, 몇개의 행성을 놓아버리게 되었다. 운이 나쁘면 지구는 태양과 멀어져 온통 꽁꽁 얼어붙은 행성이 되던지. 아니면 결국은 헬륨마저도 다 사용해버리고 압축하다 블랙홀이 되어 버린 태양의 구멍으로 흡수되어 버리던지. 결국 우주의 모든 별들은 블랙홀로 빠져들어, 세상은 다시 에너지의 장으로 돌아가게 된다. 그 에너지 장이 과거와 같은 과정을 다시 반복할지도 모르겠다.

 

 우리 인류는 이런 우주의 일생에 있어 너무나 작은 일부분을 차지하지만, 어쩌면 살아 있는 생명체로서는 끈질긴 DNA와 언어의 전달로 우주 형성의 비밀을 어렴풋이 깨달은 최초의 생명체 일는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