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뮤지코필리아 - 뇌와 음악에 관한 이야기
올리버 색스 지음, 장호연 옮김, 김종성 감수 / 알마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젠가 세상의 신비를 모두 밝혀낼 날들이 올 것인지 궁금해지곤 한다. 아주 옛날에 몰랐던 사실들이 지금 차츰 밝혀지는 것을 보면, 언젠가는 그런 날이 꼭 올 것 같기도 하고, 아니면 그 모든 진실을 밝혀내기 전에 인류가 멸망해 버릴것 같기도 하고 그런 우왕좌왕한 상상에 어떻게 될 지는 잘 모르겠지만, 여하튼 세상에 궁금한 것들이 참 많긴 한다. 그 중에서도 인간의 마음이 이뤄내는 일들은 참 신기하다. 예전에는 사람의 마음이라는게 심장에 있다고들 생각했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는 마음이라는게 두뇌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마음이 이뤄내는 일은 두뇌가 이뤄내는 일들이나 마찬가지일 것이다. 더욱 신기한 생각이 드는 이유중 하나는 두뇌처럼 물질적인 것이 정신이나 환상 같은 비물질적인 세상을 만들어내는 이치이다.
"엉클 텅스텐"이란 책에서 보면, 올리버 색스는 물리학자가 되어 있어야 할 것 같지만, 왠지 신경과 전문의가 되었다. 그의 책 중 가장 잘 알려진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같은 경우는 뇌신경이나 심리학에 그다지 깊은 지식을 갖고 있지 않는 사람들이 접할 경우 굉장한 충격을 경험하게 된다. 나 역시 그랬던 것 같다. 뮤지코필리아는 그 동안 올리버 색스가 냈던 책들과 같은 맥락에서 음악과 뇌의 관계를 풍부한 사례를 통해 보여준다. 그렇다고 해서 음악과 뇌의 관계가 100%밝혀지지는 않지만, 음악이란 인류에게 선택적 사항이 아닌 필수라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어느날 번개를 맞은 한 남자는 갑자기 피아노에 대한 열정이 솟아 올라 피아니스트가 된다. 어떤 사람들은 음악을 들으면 색깔이 보인다고 한다. 가령, 도음을 들으면 시야에 파란색이 눈에 보이고 레음을 들으면 붉은색이 눈에 보인다든지 하는 식으로. 어떤 사람들은 절대음감을 가지고 있어서 음을 듣기만 해도 어느 음인지 바로 맞출 수 있기도 하지만, 하지만 이런사람들이 꼭 아름다운 음악을 연주하지만은 않는다. 어떤 사람은 절대음감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연주하여 표현하는 능력만은 불협화음을 낳곤 한다. 어떤 사람은 헤르페스 뇌염으로 모든 기억을 잃었지만 음악을 하는 능력만은 말짱하게 남아 있기도 하고, 윌리엄스 증후군이란 병을 앓는 아이들은 지능지수는 떨어지지만 음악적인 능력만은 탁월하다고 한다. 알츠하이머 병을 가진 사람들이 기억을 잃고, 몸도 점차 마비되어 가지만, 음악을 듣는 순간 정상적인 사람처럼 감정을 표현하고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렇게 음악은 어떤 사람에게 삶의 활력소가 되어 주기도 하지만, 어떤 사람들에겐 역기능을 하기도 한다. 끊임없는 뇌벌레나 음악환청에 시달리기도 하고, 음악에 선율이나 음정 박자등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음악을 듣는것 자체가 고통스러운 사람들도 간혹 있다.
원시시대에 우리에겐 현대와 같은 선율은 없었을지라도 리듬은 존재했을거라는 생각을 한다. 간혹 세계의 오지를 찾아가는 텔레비젼 프로그램에서 그 곳 사람들이 독특한 리듬에 맞춰 춤을 추듯이 리듬은 원시시대부터 우리 삶에 뗄레야 뗄 수 없는 부분중 하나가 아니었을까 싶다. 더 나아가 어쩌면 우리가 언어다운 언어가 발달하기 전에 길고 짧은 리듬에 의해 의사소통을 하지 않았을까 싶은 상상이 되기도 한다. 마치 현재의 모스 부호 같은 것 처럼 말이다. 그래서 음악이라는 것은 인류가 생겨나던 시절부터 우리의 영혼속에 깊이 새겨져 있던것은 아닌지. 아마 앞으로도 음악은 형식은 수 없이 변할지언정, 인류가 망하지 않는 한 영원히 사라지지 않고, 인류 역사와 함께 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