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부르는 숲
빌 브라이슨 지음, 홍은택 옮김 / 동아일보사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남들이 여행에 대해서 환상과 동경을 가지는데 반해, 난 그다지 여행을 동경하지 않는다. 기묘한 풍물을 보고, 평소 보지 못했던 것들을 보는것이 신기하고 흥미롭지 않을리 없지마는, 몸이 게으른 탓인지 아니면 성격자체의 이상인지 여행은 나와 그다지 어울리지 않는 일인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

그렇다고 해서 그러던 내가 이 책을 읽음으로서 여행에대한 동경을 열렬히 갖게 되었다는 말을 하고 싶은것은 아니다. 분명, 사람손에 길들여지지 않는(엄밀히 얘기하면 이런것도 아니지만) 자연속을 걷는다는것은, 쉽진 않은 일일것이고, 새로운것과도 많이 조우할 수 있을것이며, 알지못하기에 더욱 두려울 테지만, 그 모든 일을 겪고 난 후에는 정말 가슴 뿌듯한 경험이 될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책은 훌륭한 본보기를 보여준듯하다. 충동적으로 이유를 만들어가며, 애팔레치아트레일 종주를 결심하는 작가의 모습. 막상 떠나기 며칠전 이런저런 어려움을 깨닫고 두려워하는 모습. 처음 도전하는 사람들의 어리숙한 모습. 이런저런 어려움을 겪으며 떠나는 험난한 여정. 중간중간 보상처럼 주어지는 행운들. 여행의 후유증.

아마, 이 여행이 잘 끝나고, 그걸 회고하는 내용이었다면, 그 감동은 덜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이 더욱더 맘에 와 닿았던 것은 결국은 트레일을 포기하고 돌아오는 그들의 모습에서였던거 같다. 완벽하지 못함이 여행을 떠나지 못하고, 여행을 떠날 생각도 갖지 못하고, 책을 붙잡고 앉아있던 나에게 위안을 주었던 것일까??

어떤 이유였던간에, 완성되는 것만이 여행의 묘미는 아니라는 것에 한표를 던지고 싶다. 그들은 종주를 완성하진 못했지만, 트레일을 걷는 동안 너무도 많은 것을 깨달았다고 하지 않는가?? 그것으로 충분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빌의 친구 카츠에 대한 이야기. 어리석어 보이고,인생에 별 도움이 되지 않으것 같지만, 따뜻한 마음을 가지고 있던, 책을 읽는 내내 너무나도 정감이 가던 캐릭터.

이 책을 다 읽은 지금도, 난 여전히 길을 잃을지도, 야생동물로부터 위협을 받을지도 모르는 숲길을 내 몸의 절반만한 배낭을 지고 걷고 싶은 마음은 추호도 없다. 하지만 빌 브라이슨이 느꼈다던 자연의 거대함과, 신비함과 아름다움, 그가 흘렸던 땀의 느낌을 느끼고 싶어한다면, 정말 어이없는 욕심이겠지,싶다. (하~ 생각해보니 이게 여행에 대한 동경인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aho 2004-05-01 23: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별 기대없이 읽었는데 흥미롭고 좋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