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책방마을 헤이온와이
리처드 부스 지음, 이은선 옮김 / 씨앗을뿌리는사람 / 2003년 8월
평점 :
품절


헌책방이란 곳을 가 본 적이 없는듯하다. 예전에는 흔한 곳이었을텐데, 나에게는 그런 곳을 들락거릴 기회가 없었다. 주변에 헌척방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 날 헌책방으로 인도해줄 지기도 없었다. 어느 순간, 헌책방이라는 곳이 있다는 얘기를 알게 되었지만, 그러고서도 헌책방이란 곳을 가 볼 기회는 없었다. 그렇게 내게 별 고려 대상도 되지 않았던 헌책방에 대한 생각을 이 책은 새삼스레 환기시켜 주었다.

사실 이책은 헌책방마을의 이야기라기보다는, 리처드 부스의 자서전이라고 하는 편이 더 정확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에 '헌책방 마을 헤이온와이'란 제목이 붙은 것은, 리처드 부스의 삶이 책(헌책방 마을)을 제외하고선 전혀 고려되어질 수 없다는 것을 말하는 것일거다. 사실 '리처드 부스'란 인물은 그다지 평범한 경향의 사람은 아니었던거 같다. 제도권 안에서 어느정도 규칙을 준수하며, 몰개성적으로 별 특징없이 살아가는 사람이 아닌 흔히들 아웃사이더 라고 말하는 사람의 종류에 들어가지 않을까 싶다.

워낙에 생각하는 자체가 특이했기 때문에, 아무도 책을 읽지 않는 웨일스의 헤이온와이라는 시골 마을에 헌책방을 낼 생각을 하지 않았겠는가? 아마도 그저 평범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이었다면, 전혀 생각지도, 시도하지도 못 할 일이었을 것이다.

사실 내가 보기엔, 그의 시도는 책을 좋아하는 마음의 발로였던듯하지만, 그 시도는 또한 뜻하지 않았던 성과를 거두어 들였다. 그의 무모한듯해 보이는 시도를 시작으로 헤이온와이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책마을로 거듭 태어났으며, 대자본을 가지고 들어서는 대형마트들에 의해 점차 침식되어 시골마을의 어려워지는 경제상황을 헌책이라는 아이템을 가지고서 돌파해 나갈 수 있다는 하나의 대안을 제시하게 되었다.

'헌책의 새로운 정의를 아십니까? 대형 마트에서는 팔지 않는 물건, 그렇기 때문에 작은 마을의 희망이 되는 물건, 그게 바로 헌책입니다!'

사실 내가 이 책을 읽겠다고 섣불리 결정을 내린 이유는, 이 책이 책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 책이기 때문이다. 나의 책읽기 성향은 책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 책을 비교적 좋아하는 편이다. 그래서인지 제목에서조차 '책'이 들어가는 책들을 상당히 좋아한다. 이 책 또한 리뷰를 처음 접하는 순간부터 꼭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했었다. 비록 읽는 시점이 그리 이르진 않았지만, 어쨋든 이 책을 다 읽은 지금, 조금은 씁쓸한 기분을 금할 수 없다.

시골의 작은 마을에 헌책방을 낼 생각을 하는 리처드 부스의 아이디어는 기발하다 못해 무모해 보이기 까지 하고, 책 페이지 마다 가득한 그의 생각들은 정말 유머러스 하긴 하지만,(특히나 그가 헤이온와이의 왕으로 등극하면서, 만든 왕관이라던가, 망토 지휘봉등은 정말 우스꽝스러웠다. --; 더 황당했던건, 나중에 그걸 사람들이 인정한다는거. 세상은 정말 넓고 사람들은 정말 다양한 생각을 가졌다는걸 새삼스레 깨닫게 된다.) 이 책 자체의 전체적인 느낌은 굉장히 질서없이 혼란스러웠던것 같다. 책의 내용 내용은, 그가 만났던 에피소드만을 잔뜩 나열만 해 놓은채, 일관성 없는 서술만이 계속 이어졌다. 사실 책을 읽는 내내 지루했었던게 사실이다.

최근 우리나라에도 강원도 영월에 책마을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그게 시도로만 끝날지,책마을이 생긴다면, 그건 분명 아름다운 마을이 되겠지만, 그 시도가 우리나라라는 장소에서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는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우리나라도 어느 모 프로그램에서 캠페인을 벌이듯이 독서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책을 사랑하는 사람이 많아져서. 책 마을 아닌 책나라가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싶은 생각을, 비교적 책을 좋아하는 편인 사람으로서, 해본다.

'결국 세계는 한권의 아름다운 책에 이르기 위하여 만들어졌다.-말라르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