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농민공들은 영원한 이방인이었다.(중략)소위 현대 사회에서는 농촌 사회에서 농민들이 형성한 사고습관, 언어양식, 생활양식이 전혀 유효하지 않다. 낯선 사람들로 구성된 현대 사회는 향토 사회의 관습으로 대처할 수 없다. 도시 구석구석에는 수천 명의 농민공이 있다. 그들의 옷은 초라하고, 표정은 이상하며, 그들의 동작은 어색하여 마치 물 밖으로 나온 물고기처럼 매우 아둔해 보인다. 그들이 그들의 시골집에서 얼마나 편안하고 활기차고 자연스러운지 누가 상상이나 할까? - P388
가족 내에서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부모가 자녀에게 일상생활을 통해 다양한 행동 규범을 가르치는 대신 조부모나 친척이 일을 해주고, 부모와 자녀의 관계는 금전적인 관계로 대체됐다. 마을전체의 상징이었던 학교가 폐쇄되고 마을의 정신적 방향과 도덕적 규범이었던 덕망 높은 노인들이 돌아가시면서, 문화로서의 마을은 내부에서부터 궤멸되고 형식적인 마을만 남았다. 이 궤멸은 중국의 가장 작은 구조 단위가 근본적으로 파괴되었고 개체가 대지의 든든한 버팀목을 잃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 P390
국가의 일부 문화 대중화 시책은 실제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칭다오 오빠가 얘기한 것처럼 원격교육을 위해 주민에게 TV를 주면 주민은 그걸 마을위원회에 반납하고 자신은 예전처럼 지낸다고 했다. - P404
‘구원받은 자‘라기보다는, ‘해방된 자‘랄까.
아마도 우리가 간과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정치에 대한 중국 농민의 무관심일 것이다. 농민의 눈에는 사회가 여전히 타인의 소유이지 자신은 사회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모든 좋은 것과 나쁜 것은 단지 수동적인 수용일 뿐이었다. 그들은 주인공이 아닌 ‘구원받은 자‘일 뿐이었다. - P381
초등 및 중등 교육이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는 것은 확실히 인구 감소 때문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농촌 지역의 취약한 문화적 분위기와도 관련이 많았다. 아이들은 학교에 가는 데 관심이 없고 십 대가 되면 외지로 일하러 나가도 된다고 생각했다.농민들은 외지에 나가 힘들게 일하며 돈을 벌면서 자녀들이 좋은교육을 받기를 바라지만, 그들의 자녀들은 학교에 가고 싶어 하지 않고 더 일찍 농민공의 대열에 합류하는 모순된 상황이 발생했다.이는 동시에 또 다른 현상으로 이어졌다. 농촌 지역의 젊은이들이 점점 더 어린 나이에 결혼하고 있다는 것이다. - P376
사물을 외부에서 보는 것과 내부에서 보는 것에는 항상 차이가 있다. 그리고 아래에서 보는 것과 위에서 보는 것도 전혀 다른 결과를 낳는다. 하층사회의 문제는 단순히 억압과 피억압의 문제가 아니라 문화 역량의 게임 과정이었다. - P380
농촌에서는 부부 협력과 가족형 분업 협력이 삶의 기본 전제이다. 만약 생산을 방기하고 어떤 영적 활동에 매달린다면 이러한 협력체계는 파괴되고 가족은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이것이 밍 아저씨가 직면한 문제였다. 문화적으로 보면, 농촌은, 특히 북부의 농촌은 고상하고 세속을 초월한 문화 활동은 배척된다. 또한, 이 문화 공동체에 속하지 않는 이질적 문화에 대해 다르게 취급하며 다소 ‘정신병‘, ‘비정상‘과 같이 괴이한 것으로 치부했다. - P332
사실 "하나님에 대한 믿음"이 반드시 생산과 충돌하는 것은 아니지만, 당사자들은 이를 이유로 노동, 일상생활과의 모순을 과장해 불만을 표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중국의 농촌 문화는 여전히 현실적인 삶을 사는 것이 최우선이다. 개인의 정신적 욕구, 부부애는 종종 왜곡된 방식으로 조롱, 희롱, 회피되는 것이 통상적인 교류 방식이며, 침착, 긍정, 진지하게 설명하거나 교류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이러한 정신공간을 억압하고 왜곡하는 현상은 가족 내, 남편과 아내, 아버지와 자녀 사이에 존재할 뿐만 아니라, 이웃과의 교류의 기본 패턴이기도 해서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 P333
농촌에 남겨진 노인의 상황과 도시의 노인 문제는 완전히 다르다. 도시는 외로움의 문제이지만 농촌의 노인은 돈의 문제이다.농민이 도시로 가서 발생하는 비용은 매우 컸다. 자오 아주머니는 우리에게 계산해 주었다. 노인들이 시골에서 공짜로 아이들을 돌봐줘 자식들의 생활비용을 낮춰주지 않는다면 자식들이 번 돈으로는 도시 생활을 지탱할 수 없다. 반면에 노인들은 앞으로도 부양 문제가 남아 있기 때문에 감히 많은 불평을 할 수 없었다. - P365
자식들은 자연스럽게 부모에게 도움을 구했다. 이것 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었다. 오직 부모만이 공짜로 유모가 되기 때문이다. 아들이 여러 명 있으면 집의 부모들은 더 고통을 겪는다. - P366
일반적인 상황에서 아들과 며느리가 외지로 일하러 나가서 아이들과 집을 돌볼 노인이 필요하다면 문제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일단 아들과 며느리가 돌아와서 고향에 정착하게 되면 문제가 발생한다. 이때 부모의 운명은 종종 극도로 비참해진다. - P369
중국 문화의 심층에는 본질적인 결핍, 즉 개인성의 상실이 존재한다. 질서, 경제, 도덕의 압박으로 인해 모든 사람은 높은 수준의 억압을 받고 있으며 감정, 욕구, 개인적 소망을 자신 있게 표현할 수 없다. 모든 사람은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왜곡된 방식으로 자신을 희생하려고 하며, 이 희생에 의지하여 깊은 감동을 만들어낸다. 이 희생이 불완전하거나 중간에 변경되면 갈등과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 P370
이로 인해 나는 향서기와 촌서기와의 관계에 매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촌서기가 방에 들어가서 두 사람이 주고받는 인사와 농담을 보면, 두 사람의 관계가 일반적인 의미의 상하관계가 아니라거의 강호의 분위기가 느껴지는 의형제에 가까웠다. 중국의 정치체제에서 촌서기의 정치적 정체성은 매우 모호하다. 그는 국가 간부에 속하지 않으며 언제든지 농민으로 돌아갈 수 있다. 그러나 그는 또한 국가 정책을 집행하는 일에서 중요한 책임을 진다. - P287
덩샤오핑은 "개혁개방 이후 가장 큰 실수는 교육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교육은 학교교육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는 도덕 교육과 전통문화의 결여를 뜻합니다. 서양의 사상을 막아내지 못해 각종 봉건적인 것들이 다시 나타나고 있습니다. - P305
농민들이 뭐라고 말하든 상관없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정치적 무관심이 생길 것입니다. 집단의 구성원이 집단 내에서 지위가 없고 공무에 참여할 수 없으면 무관심해집니다. 자신이 그룹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라고 생각하면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적극적인 태도를 갖게 됩니다. - P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