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시와 대화하다
김규중 지음 / 사계절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는 초 중 고등학교 정규 교과과정 속에서 일 년에 적어도 한번 이상 배울 기회를 가진다. 그럼에도 ‘시’에 대해 대부분의 사람이 어려움을 느끼고 꺼려한다. 문학 장르 중 가장 향유 계층이 적은 것도 ‘시’가 아닐까 싶다. 그 이유는 아마도 시를 배웠다기 보다는 단어마다 누군가 정한 일방적 의미를 부여하고, 감상하기보다는 그대로 외워버린 결과이지 않을까..
 
그래서인지 <청소년, 시와 대화하다>의 대상이 눈에 뻔히 보이는 청소년임에도 ‘내가 읽어야 할 책이 나왔구나’ 느꼈다.
김규종작가는 독자에게 시와 대화하는 하나의 방법을 알려준다. 말 그대로 ‘대화’하는 것. 한 편의 시와 그 시에 대해서 가상의 인물들이 서로 대화하는 방법이다. 자칫 또 다른 암기로도 이어질 수 있는 부분을 선회해 어떤 식으로 시를 감상해야 하는지를 주로 일러준다.


 
식사법(김경미 2006)

콩나물처럼 끝까지 익힌 마음일 것
쌀알 빛 고요 한톨도 흘리지 말 것
인내 속 아무 설탕의 경지 없어도 묵묵히 다 먹을 것
고통, 식빵처럼 가장자리 떼어 버리지 말 것
성실의 딱 한 가지 반찬만일 것
…(하략)
 
-시 읽고 대화하기-

명석: 그럼 이 시는 음식을 통해 삶의 자세를 이야기하는 건가?
은유: 그런 것 같아. 3연에 “또 한번의 삶”이란 표현도 나오잖아. 어떻게 살라는 건지 하나하나 살펴보자.
명석: 1연 1행은 무얼 말하는지 알기 어려워. 콩나물은 요리할 때 끝까지 익혀야 하는 거니?
은유: 수업시간에 배웠을텐데? 덜 익히거나 중간에 뚜껑을 자주 열면 비린내가 나서 먹기 힘들어.
명석: 그렇구나. 그럼 “끝까지 익힌 마음”이란 비린내가 나지 않는 마음이야?
은유: “끝까지 익힌 마음”이란 차분한 마음일 거야. 명석이 너처럼 덜렁거리지 않는 것을 말하는 거겠지.

<청소년, 시와 대화하다>중 130-131

 
 
처음 이 책을 접하고는 얼마 전에 봤던 이창동 감독의 ‘시’라는 영화가 생각났다. 물론 영화에서 말하고자 하는 내용은 이 책과 다르지만, 극 중 윤정희씨가 시를 쓰기 위해 답답해하고 방법을 구하는 모습이 잘 묘사되어 있었다. 시를 쓰고 이해하는 것. 시를 쓰지 않아도 이해하는 것. 어쨌거나 둘 다 쉽지 않은 방법인 듯하다. 아니, 시를 어렵게 생각 해왔던 그간의 시간이 시를 어렵게 만들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개입니까 사계절 1318 문고 62
창신강 지음, 전수정 옮김 / 사계절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장을 펼치기 전에 <나는 개입니까>라는 제목에서부터 먼저 고민하게 된다. 내가 개라는건지, 개였다는 건지, '개만도 못하다'할 때의 그 개라는건지, 개가 되고싶다는건지..
 
소설은 '나는 개다. 굳이 덧붙이자면 지극히 평범한 토종견이라는것 정도다' 에서쿠터 시작된다. 하나를 덧붙이자면 '나'는 지하 배수로에 살고 있으며 호기심이 아주 많다.
 
'나'의 할아버지는 돌아가시기 전에 유언으로 '창구'에 가보고 싶다고 말씀하신다. 호기심 왕성한 그가 창구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일은 당연하다. 그는 연분홍빛 지렁이를 만나고 지렁이를 통해 창구를 알게 되고 결국 연분홍빛 지렁이의 도움으로 창구를 통해 인간세상으로 나가게 된다. 창구는 인간세상으로 나가게 되는 통로였던 것이다.
 
 
지하 배수로에서 다른 세상으로 간다는 것. 다시 태어난다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사랑하는 가족들을 남겨두고 떠날 만큼 어떤 강한 이끌림이 있었을 수도 있다.
 
세상에 나온 그는 개에서 인간의 몸으로 탈바꿈 했음에도 전혀 놀라지 않는다. 음식점에서, 경찰서에서, 새로운 가족들과의 관계 속에서 그리고 학교에서 그는 여러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순수하고 호기심 많은 그의 눈을 통해 여러 인간사회의 모습이 그대로 비춰진다.
 
그를 붙잡아 두기 위해 신경안정제를 억지로 먹이려 했던 경찰이나 공부만 잘하면 문제 없다는 식의 학교 선생님들은 그리 유쾌하지만은 않다.

그는 인간세상에서 ‘류웨’라는 소녀를 만나고 이끌린다. 또 류웨를 통해 배수로에서 살던 그 때의 가족들도 인간세상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가족들의 죽음을 겪는다. 본래 개였기에 인간세상에서는 급속도로 늙어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는 ‘개’에 대해 함부로 말하거나 자신이 생각하기에 옳지 않은 일을 하는 상황에 분노한다. 하지만 인간에 대해 분노하는 그 이상의 애정을 지니고 인간세상을 살아간다.

인간세상에서 극심한 성장통을 겪은 그는 연분홍빛 지렁이의 도움으로 인간세상에서의 ‘청춘을 온전히 보낼 시간’을 선물받는다. 그리고는 집을 떠나 세상으로 향한다.

“여기에만 머물러 있기엔 세상은 아주 넓어.” <나는 개입니까>p3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계절출판사 책향기가나는집이 새단장을 했습니다. 





어린이들 눈높이에 맞춘 재밌는 모양의 낮은 책장속에 사계절그림책이 보이시나요 ^ ^
전체 벽면에는 그림책 원화전시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지금은 <꽃할머니>원화전시가 진행중입니다.



한 쪽으로는 차를 마실 수 있는 공간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사진 왼 쪽의 전시된 책들은 사계절출판사 도서 가운데 외국에서도 출판된 아이들입니다. ^ ^



차 마시는 공간을 지나오면 '모퉁이책방'을 만나실 수 있어요. 
모퉁이 책방에는 어린이부터 인문까지 다양한 책들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왠지 아늑해보이는 공간입니다. 왠지 이런 곳에서는 바닥에 앉아서 늘어지게 책 읽고 싶어집니다. ㅎㅎ
제가 좋아라 하는 임꺽정도 잔뜩 있습니다. 반가운 마음에 사진을 잔뜩 찍어왔네요 ^ ^





7월 14일에는 <꽃할머니>의 작가이신 권윤덕선생님을 만나뵐 수 있었어요. 
작가님의 말씀 들으니 <꽃할머니>가 가슴에 더 아련하게 박히더군요. 




마지막으로 <꽃할머니>의 주인공이신 심달연할머니의 꽃누르미 작품입니다. 
꽃을 보실때면 환히 웃으신다는 할머니의 미소가 보이는 듯 했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0-07-15 22: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사계절출판사 2010-07-31 23: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럼요 ^ ^ 책향기가나는집 방문해주세요 오셔서 사계절책에 포옥 빠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http://cafe.naver.com/sakyejul/4909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계절 1318 만화가 열전이 펼쳐집니다. 

대한민국 연재해 주셨던 최규석 선생님께서 첫번째 작가로 나서주셨어요. 
최규석 선생님 특유의 감각으로 입시미술학원을 다루셨다고 하는데요 !

어떤 메시지를 담고 있을지 기대돼서 책을 쥐어볼 날짜만 손꼽아 기다리고 있어요. ^ ^


자세한 내용은
사계절 카페 http://cafe.naver.com/sakyejul/4844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0-07-14 22: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사계절출판사 2010-08-04 11: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와 대단하셔요 ^ ^!! 저도 책이 나오기만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