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폰 잔폰 짬뽕 (동아시아 음식 문화의 역사와 현재) / 주영하 / 2009년 10월 15일


 
위 : 나가사키 시카이로의 잔폰 / 가운데 : 한국에서 화상이 운영하는 중국음식점의 짬뽕 / 아래 : 나가사키 시후 중국음식점의 자장멘
 


경계를 넘나드는 음식(나가사키 잔폰과 화교 음식의 확산) 

 

최근, 한국의 짬뽕이 나가사키의 시카이로라는 중국식당에서 유래했다는 정보를 알고 있는 한국인들이 제법 늘었다. 인터넷 웹사이트를 검색해 보면, 직접 그 현장에 다녀와서 사진과 감상의 글을 올려놓은 사람들도 있다. 아마도 지금의 ‘시카이로’식당 2층에 마련된 ‘잔폰박물관’ 때문에 그 역사성이 널리 퍼지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중략
 
‘잔폰’이란 이름이 개업 초기부터 있었던 것은 아니다. 당시에는 ‘잔폰’이 아니라, ‘시나우동’ 이었다. 여기에서 ‘시나’은 중국을 가리키는 말로, ‘차이나’의 일본식 한자에서 유래한다. 그런데 1910년대에 들어와서 어느 순간 ‘시나우동’이란 이름과 함께 ‘잔폰’이란 이름으로도 불리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왜 이런 변화가 생겼을까?
사실 ‘잔폰’이란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다. 그중 하나가 일본어 ‘잔폰’에서 나왔다는 주장이다. (잔폰 : 뒤섞이거나 번갈아 하는 일을 가리키는 형용사) 또 다른 주장은 푸젠(福建)의 발음으로 ‘츠판(밥을 먹다)’이 ‘차폰’혹은 ‘소폰’으로 발음되는데, 그것이 ‘잔폰’의 발음과 거의 유사하다는 것이다. 중국인들이 이 음식을 즐겨 먹자, 중국인을 대표하는 음식이라고 여긴 일본인들이 그들의 인사말인 ‘차폰’을 흉내 내어 음식 이름으로 파용했다는 주장이다.
 
중략
 
1910년 조선이 일제에 강제로 병합된 이후, 조선에 살던 화교들은 일본 본국에 살고 있던 화교들과 같은 정치경제적 영역에 포섭되었다. 더욱이 일제가 조선을 교두보로 중국을 침략할 준비를 하는 동안, 조차지였던 상하이는 나가사키를 통해서 일본과 연결되어 있었다. 이렇게 조선의 화교와 일본의 화교는 1945년까지 일제라는 동일한 정치경제적 영향권에 놓여 있었다. 그래서 한국의 중국식당에서도 다쿠앙이 무료로 나온다. 심지어 한국식 자장면이 나가사키의 중국식당에서 판매된다. 자장면은 분명히 일제강점기에 한국의 화교들이 만들어낸 작품이다. 이들이 나가사키의 화교들과 연결되면서 한국식 자장면이 일본으로 넘어갔다. 그 대신에 잔폰이 한국으로 들어왔다. 이 모두가 일제 아래에서 한반도와 일본의 화교가 공생을 길을 걸었기 때문에 생긴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때 그 도마뱀은 무슨 표정을 지었을까

 꽃은 소리없이 핀다

꽃은 어떻게 필까. 꽃은 소리없이 핀다. 꽃은 고요하게 핀다. 고요한 속에서 끊임없이 움직이며 핀다. 꽃은 서두르지 않는다. 조급해하지 않으면서 그러나 단 한순간도 멈추지 않는다.
아우성치지 않으면서 핀다. 자기 자신으로 깊어져가며 핀다. 자기의 본 모습을 찾기 위해 언 땅 속에서도 깨어 움직인다. 어둠 속에서도 눈감지 않고 뜨거움 속에서도 쉬지 않는다.  


달이 소리없이 떠올라 광활한 넓이의 어둠을 조금씩 지워나가면서도 외롭다는 말 한마디 하지 않는 걸 보면서, 꽃도 그 어둠 속에서 자기가 피워야 할 꽃의 자태를 배웠으리라.  


…중략… 
 


봄도 그렇게 온다. 아주 작은 냉이꽃 한 송이나 꽃다지 한 포기도 그렇게 추위와 어둠 속에 그 추위와 어둠이 화두가 되어 제 빛깔의 꽃을 얻는다. 꽃 한 송이, 풀 한 포기가 혹독한 제 운명을 딛고 일어서는 모습을 발견하였을 때 사람들은 봄이 왔다고 말한다.  
발치 끝에 와 발목을 간질이는 어린 풀들을 보며 신호라도 하듯 푸른 잎을 내미는 나무들. 사람들은 그걸 보고 비로소 봄이 왔다고 말한다. 그 나뭇가지 위로 떠났던 새들이 돌아오는 반가운 목소리가 모여와 쌓을 때 비로소 봄이라고 말한다.  


추상명사인 봄은 풀과 나무와 꽃과 새라는 구체적인 생명들로 채워졌을 때 추상이라는 딱지를 떼고 우리의 살갗으로 따스하게 내려온다.  (pp33-35) 
 

 
3월 초 까지만 해도 올해 이례적으로 눈이 펑펑 왔었죠. (눈이 와도 마냥 어린아이들처럼 뛰놀 수 없지마는 그래도 흰 눈을 보면 가슴이 두근두근 합니다. ^ ^) 한데, 그렇게 눈이 내리던 3월에도, 우리가 알아차리지 못하는 사이에 낮은 꾸준히 1분씩 길어졌다고 합니다. 그렇게 조용히 조금씩 찾아온 봄이 이제 제법 봄 다워 졌구나 싶어요. 빈 가지가 점점 무거워 지고 무채색이었던 풍경이 180° 바뀝니다.
잎사귀가 자라거나 꽃이 피는 소리가 있다면 봄은 가장 시끄러운 계절이 될 수도 있을 텐데 말이죠. 봄은 어느 순간 새로 돋아나는 잎사귀에도 ‘봄이다!’하며 눈을 반짝이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는 듯 합니다. 우리 독자님들도 소리없이 온 봄을 바쁜 중에 그냥 지나치지 마시고 봄이라는 생명의 계절을 눈으로 피부로 열심히 즐기시길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