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 3장

초기의 동양 애호가 중 상당수는, 그들의 유럽인으로서 지성과 정신의 습관에 건전한 착란을 불러일으켰다는 점에서 동양을 환영했다. 동양은 그 범신론, 정신성, 안정성, 항구성, 원시성 등등으로 인하여 과대평가되었다. 예컨대 셀링은, 동양의 다신교 속에서 유대-기독교적인 일신론에 통하는 길을 발견했다. 곧 브라흐마를 아브라함의 원형으로 간주했다. 그러나 이러한 과대평가의 다음에는 예외 없이 그것에 대한 반동이 초래되었다. 그래서 동양은 갑자기, 불쌍하게도 비인간적, 반민주주의적, 후진적, 야만적인 등등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일방적인 시계추의 운동은 그것과 똑같은 반대방향의 반동을 초래했다. 곧 동양은 과소평가되었다. 직업으로서의 오리엔탈리즘은 이러한 두 가지의 대립, 곧불평등성에 근거한 보상과 수정으로부터 성장하여 왔으며, 그 사고방식은 널리 문화 일반 속의 유사한 사고방식에 의해 함양되었고, 또 다른유사한 사고방식을 함양했다. - P266

오리엔탈리즘의 학문이 구축하고, 그것에 적합하다고 생각되어 온 ‘동양에 관한‘ 지식(예컨대 서동시집》)의 지지를 얻어 이미 절대적인 것이 된 정의와 만나, (마르크스의) 동정적인 감정의 파도는 사라졌다. 또 오리엔탈리즘적 학문의, 나아가 오리엔탈리즘적 예술의 사전상의 의미통제에 굴복하여 이 감정을 나타내는 어휘는 소멸되었다. 사전적인 정의에 의해 개개의 경험은 제거되었다. 이와 같은 것이 마르크스의 인도론에서도 생겨났음은 누구라도 분 - P274

명하게 알 수 있다. 마르크스의 인도론에서 결국 어떤 힘이 그를 강제하여 괴테에게 서둘러 달려가게 했고, 거기에서 그는 자신을 옹호해 준 동화된 동양 속에 자리했다.
물론 마르크스는 사회경제적 변혁에 관한 그 자신의 여러 명제를 입증하는 점에도 부분적으로 관심을 가졌다. 그러나 동시에 그는 오리엔탈리즘의 내부에서 견고한 것이 되어, 그 분야의 외부에까지 뻗쳐 나온,
이미 동양에 관한 모든 진술을 지배하게 된 방대한 저술의 집합체에도안이하게 의존한 것으로 생각된다. - P275

유럽인으로서 동양에 산다는 것은, 주위 환경으로부터 초연하며, 글위와는 동등하지 않은 하나의 의식으로 그곳에 산다는 의미를 언제ㄴ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주의해야 하는 것은, 이 의식이 어떤의도를 갖는가 하는 점이다. 그것은 무엇을 추구하여 동양에 존재하는것인가, 또 스콧, 위고, 괴테와 같은 작가들처럼 그 의식은 늘 유럽의 현실을 떠나지 않은 그대로이면서 왜 지극히 구체적인 경험을 추구하여동양을 여행하며, 동양에 있을 때조차 왜 그들은 서양에 있고자 하는가하는 이유가 문제된다. - P278

레인은 두 종류의 중요하고도 긴박한 방법으로 학문적인 신뢰성과 정통성을 확보한다. 첫째는인간생활에 대한 보통의 설화적인 경과를 방해하는 방법이다. 이는 그가 행하는 무수한 양의 세부묘사가 수행하는 기능이고, 그 세부묘사 속에서 한 사람의 외국인으로서 관찰하는 지성은 대량의 정보를 소개할수 있고 나아가 그것들을 종합할 수 있게 한다. 이집트인은 그야말로를 갈라서 그 속을 보여 주었는데, 그 뒤에 레인에 의해 설득되어 그것을 봉합했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집트인-동양인의 생활에서 자손증식과정으로부터의 이탈이라는 방법이다. 이 기능은 레인이 자기의 동물적욕구를 억제함으로써 수행된다. 그 결과 주어진 정보는 이집트 속에서이집트를 위하여 보급되는 것이 아니라, 유럽의 학문 전반 속에서 유럽의 학문 전반을 위하여 보급된다. - P288

동양은 용감한 여행가나 거주자들의 개인적인, 종종은 왜곡된 증언이었으나, 이제는 그것이 학문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의 협력에 의해 얻어진 비개성적인 정의로 전환하게 되었다. - P2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