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안의 천사>는 가정이라는 안식처를 관장하는 사람으로서 눈에보이지 않게 가정과 가족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고, 자기 자신이나자신의 욕구를 위해서는 아무것도 바라는 것 없이 오로지 주변 사람들을 위해 가정을 편안한 휴식처로 만드는 데 힘쓸 뿐 전혀 사실이없는 존재였다. - P122
<집안의 천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문학 작품에서 남성성 - P129
의 재현 방법을 고찰한 비평가들은 드물지만, 21) 그중 캐롤 크리스트Carol Christ는 천사의 남성 상대역에 부과된 역할을 예리하게 조명하고 있다. 우선 그녀는 산업혁명 이후 형성되기 시작한 별개 영역이라는 이데올로기의 맥락에서 남성과 여성의 행위를 지배하는 성별에 따른 전형들을 역사적으로 분석한다. 그녀는 그러한 전형들이고착화된 원인을 <시장 경제 논리가 대두하면서 신앙심의 붕괴와비인간적인 압박감> 때문에 <수많은 빅토리아 시대의 작가들이 그러한 가치들을 가정과, 가정의 중심인 여성들의 내면으로 옮겨놓았다>22)고 설명한다. <집안의 천사>가 필요했던 이유는 <근대화된 삶이 가져다준 불안감에서 도피할 수 있고, 종교적인 신앙심이나 근대적인 상업 논리로는 더 이상 확인받을 수 없는 가치들을 간직할 수있는 안식처를 만들어낼 수 있는 사람이 여성>23)이었기 때문이라는것이다. - P130
새롭게 등장한 <인도 항쟁의 패러다임>은 영국 여성, 즉 영국에서 살아가는 <집안의 천사들이 인도 남성들에게 희생되었음을 강조했다. 사실 이것은 서양이 동양을성적으로 지배한다는 고전적인 제국주의 전략이 제국주의자들 자신을 향해 역전되는 <역식민화>의 시나리오였다. - P133
인도 항쟁의 정치적 갈등은 영국 남성들이 단결하여 기사답게 <자신들의> 여성을 보호해야 하는 로망스적인 서사를 부분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반면에 영국 남성의 잠재된 희생 가능성은 주목받지 못했으며, 자기 방어를 위한 방어적인행위보다 기사도에 입각한 영웅적 행위에 전력을 투구할 수 있도록영국 남성의 남성성을 강화하는 데 방해가 되는 요소들은 철저히 감추어졌다. 동시에 그러한 서사는 인도 항쟁의 희생자들을 <집안의 천사>로, 즉 가정의 수호신이자 공격받고 있는 영국적 정체성의 화신으로 구체화했다. - P138
1854년에 처음 출간된 팻모어의 시는 사회적으로 이미 통용되고있던 개념을 문서화하고 정리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는 가운데 몇년 뒤 발생한 인도 항쟁은 역사적인 분수령으로 작용했다. 영국인들은 인도인에 대한 보복 공격을 정당화하기 위해 인도 항쟁기에 일어난 <여성들과 아이들>의 고통스러운 비명을 이용하여 <집안의 천사>라는 개념을 더욱 강화시켰다. 여성들은 폭도들의 위협을 받는 영국적인 가치의 상징이자 비유의 핵심으로 강조되었고, 영국 남성들의기사도적인 행동을 촉구하는 기폭제 역할을 했다. 제국의 한가운데놓인 빅토리아 시대의 <집안의 천사>는 무언의 상징적 중심이었을뿐 그 자체로는 적극적 역할을 전혀 담당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것은 영국의 사회와 가정의 가치를 의미하는 허구적인 표상으로 기능했으며, 이데올로기적으로는 가혹한 제국주의의 정책들을 정당화하는 방편으로 작용했다. - P1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