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부

한국의 오리엔탈리즘
학술서와 문학 작품 사이의 역학적 관계
통치사상과 지적 규율 사이의 관계
*“오늘날 오리엔탈리즘에 대체될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 -> 타인을 억압하고 조작하지 않고 절대적 자유와 자치의 입장에 서서 상이한 문화와 상이한 민족에 대한 연구

*문화적 지배의 구조, 자신이나 타자에게 문화적 지배의 구조를 적용했을 때 위험성과 유혹에 대한 인식

크로머가 기록한 <현대 이집트>는 1911년 일본에 번역되어 한국 침략을 위한 일본의 참고문헌으로 이용되었다?
-> 어떤 식으로 기술되어 있을지 실제 확인해보고 싶다.

나폴레옹의 이집트 점령과 그 곳에서 행한 철저한 조사에 의한 출판에 의해 유럽에 의한 서양이 동양을 점령 및 지배해도 된다는 생각의 바탕에 시작이 되었음.
그리고 수에즈 운하가 일으킨 동양, 이슬람에 대한 거리감 좁히기

오리엔탈리즘의 한계 다른 문화, 민족, 지리적 구분 속의 인간존재를 무시하고, 정수를 뽑아 버리며, 그것을 박탈하는 결과로 생기는 한계. 동양을 서양을 위한 구경거리로 보고 서양에 대해 고정된 그대로의 존재로 보이게 한다.

오리엔탈리즘은 총체적으로 동양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오리엔탈리즘이 의미를 갖게 된 것은, 동양 때문이 아니라 도리어 서양 때문이다. - P52

세 가지 사정으로 인하여 아랍과 이스라엘에 관한 인식은 가장 단순한 것조차 고도로 정치화되어 거의 혐오스러운 문제로 변했다. 첫째, 서양의 대중적인 반아랍적/반이슬람적 편견의 역사가 오리엔탈리즘의 역사에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아랍과 이스라엘 시오니즘 사이의 투쟁으로서, 그 투쟁이 미국의 자유주의적인 문화와 대중 쌍방에게 그리고 동시에 미국의 유대인들에게 영향을 끼쳐 왔다는 점이다. 셋째, 아랍이나 이슬람과 연대하거나 그것에 관하여 냉정한 입장에서 논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문화적 상황이 거의 완전히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다. 오늘의 중동은 강대국의 정책, 석유경제 그리고 자유를 존중한다는 소위 민주주의 이스라엘과, 이에 대해 사악한 전체주의자이자 테러리스트라는 아랍을 대치시키는 단세포식 사고의 이분법이 세 가지 요소와 완전히 동일시되고 있다. 따라서 중동이 화제가 되는 경우 그 화제에 대해서만 분명히 얘기하는 논의가 성립될 여지가 거의 없다. - P60

그에 의하면 종속 종족에게는 자신에게 무엇이 선인가를 알 힘이 없다. … 크로머에게 편리했던 점의 하나는 지역에 따라 조금씩 조건은 달랐어도 동양인에 관한 취급방식이 대체로 동일했다는 점이었다. 그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이 동양인은 어디에서도 같았기 때문이었다. - P76

크로머의 서술에는 스스로의 관찰에 근거한 부분도 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견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여기저기에서 정통 오리엔탈리즘의 권위자들(특히 에르네스트 르낭과 콘스탄틴 드 볼네)를 인용했다. 동양인이 이렇다 저렇다 하고 이유를 설명하면서 그는 이러한 권위에 완전히 복종했다. - P79

특유의 표상적인 담론의 영역은 상상의 지리에 의해 정당화되었다. 담론에 의해 사실로 인정된 사항-예컨대 마호메트가 사기꾼이라고 하는 것-은 담론의 구성요소이며, 마호메트의 이름이 나타나는 때에는 언제나 담론의 기능에 의해 사람들을 반복시키게 한 하나의 서술이다. 오리엔탈리즘의 담론 속의 여러 가지 구성요소-곧 동양을 말하거나 쓰는 경우에 언제나 사용되는 어휘-의 밑바닥에는, 표상적인 비유표현의 집합이 숨어 있다. 이러한 비유표현과 현실의동양(매지는 여기서 주된 관심 대상인 이슬람) 사이의 관계는, 연극에서 양식화된 의상과 등장 인물 사이의 관계와 흡사하다. … 그 연극무대에서는 관객도, 감독도, 배우도 유럽을 위하여, 단지유럽을 위해서만 존재한다. - P134

동양은 그 최근 현실에 대해서가 아니라, 유럽의 먼 과거와의 일련의 접촉에 대하여 부여된, 가치평가의 집합체로 존재했다. - P158

인간적인 것과 직접 만나서 방향을 상실하는 것보다도, 도리어 텍스트의 도식적인 권위를 더 좋아한다는 것은 인간에게 보편적인 결점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과연 이러한 결점은 영원히 존재하는 것일까? 아니면 특히 텍스트 의존적인 태도가 지배적일 수 있는 특수한 조건이 존재하는 것일까?
-어떤 사람이 비교적 알려지지 않았고 위협적이며 과거에는 멀리 떨어져 있다가 매우 가깝게 만나는 경우
-(텍스트로 인해서) 성공이 초래되는 경우
-> 지식과 현실은 담론(푸코)을 낳고 담론의 내부에서 생긴 텍스트의 내용에 대한 본질은 담론의 실체적 존재나 무게다. - P1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