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열이 없는 공부’는 신체와 정신, 무의식과 의식, 육감과 오감, 지혜와 지성, 그리고 의욕과 욕심의 근대적 분화와 물화를 깨고 새로운 몸(삶의 양식과 버릇)을 얻고 길러 인간의 통전적 성숙을 위해 그 몸을 경첩으로 삼아 갖은 이치들을 융통케 하는 데 있다.

‘마음이 일면 만물이 따라 인다(心生則種種法生)’는 식의 사유는, 이른바 존재 중의 존재인 신을 초월적으로 대상화하는 유일신교적 태도와 달리, 이른바 해석학 너머의 해석학이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반방편주의의 한 극처(極處)를 보여 준다. 부정성의 반방편주의에 의하면, "도를 닦아 얻는 열반이 진리가 아니라 마음이 본래부터 고요한 것임을 알아야 참 열반(修道證滅,是亦非眞也. 心法本寂, 乃眞滅也)"이다.

가령 주변에서 흔히 접하는 지식인들의 다수는 "언제 언제면 이런 글을 쓰겠다"거나 "이런저런 일을 끝내면 저 책을 읽겠다"는 따위의 말을 자주 하면서 버릇처럼 연기하는데, 내가 실천해 오고 또 후학들에게 권한 방식은 오직 현재 속에 직입하는 것으로 공부의 실천을 쉼 없이, 곧장, 당장 하는 데에, 그리고 그 버릇을 자신의 몸(무의식) 속에 기입하는 데 있다.

정중동, 동중정을 윤환(輪環)시키며 안팎을 동시에 융통하는 기술은 내가 오래전부터 ‘수동적 긴장’이라고 이름붙인 심신의 조율방식과 유사한 것이기도 하다. 긴장이 강직으로 흐르지 않고 유연한 탄력성을 얻어 가기 위해서는 ‘부드러운 수동성’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의 수동성이란, 긴장된 집중이 직절한 법식으로 빠지지 않으며 지속가능한 생산성을 얻는 ‘준비 없는 준비’와 같은 것이다. 그것은 노자가 "약하고 부드러운 것이 살 것(柔弱者, 生之道)"이라고 했을 때, 그 유약자의 ‘태세 없는 태세’와 닮은 것이기도 하다.

"무엇이나 박자라는 것이 있는데, 특히 병법에서는 박자가 중요하다"(오륜). 이것은 앞서 말한 대로 ‘사물을 선용하는 것 속에 선비의 길이 있다’는 이치와 그 넓은 맥락을 같이 나눈다. 박자라는 것은 결국 타감(他感)의 상호작용 속에서 나와 나 아닌 것이 서로 겹치고 헤어지는 리듬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칼이 글에 비해 ‘냉혹한 실용주의’로 흐를 것은 자명하다. 포퍼 식으로 말하자면, 글의 경우 문장이나 이론은 작가의 잘못을 대신해서 한량없이 죽어줄 수 있기에 거꾸로 작가는 영영 죽지 않을 수 있는 반면, 병법자의 실수는 곧 자신의 생명을 내놓아야 하는 냉혹한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고래로 문사의 논쟁이 지리멸렬하게 흐르는 것은, 잘라 말해서, 글에 자신의 목숨을 의탁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형식적으로 평하자면, ‘글에 생명을 부여하는 일’이야말로 대화와 논쟁이 그 정당한 권위와 가치를 회복하는 지름길이 될 수 있다. 나는 이 이치의 일단을 ‘죽어주기로서의 인문학’이라는 개념으로 해명한 바 있다

관념을 회집, 운용하는 재주만으로 그칠 게 아니라 자신의 고유한 박자에 맞는 사유와 글쓰기의 개성을 창조하는 게 관건이다. 나와 나 아닌 것이 서로 겹치고 헤어지는 리듬이 박자라고 했듯이, 글쓰기의 개성적 박자 역시 각자의 삶의 양식과 그 무늬가 글과 겹치고 헤어지는 오랜 연성(練成)의 과정 속에서 가능해지는 것. 그러므로 오직, ‘사는 일’ 속으로 다 불러들일 것!

‘낯설게 보기’가 불가능해질 때에는 이른바 ‘비평적 거리(critical distance)’를 잃게 되면서 타성의 기계로 변신하거나 죽음에 이른다는 말은 글이나 칼, 어느 쪽의 이치에서도 확인된다. 특별히 철학적·인문학적 사유와 글쓰기야말로 낯설게 하기의 미덕이 십분 발휘되어야 하는 마당이라는 점은 재론할 나위도 없다.

책을 읽다가 싫증이 생기면?

계속해서 책을 읽어라!(覺懶看書, 則且看書.)

하나인 ‘몸이 좋은 사람’이라는 개념은 우선 이 몸의 사실에 대한 인식, 그 몸의 정치성에 대한 체감에 근거한다.

그것은 그 몸의 주변자리로 내 감성과 인식을 넓히는 일이다. 내 몸을 내 이기주의의 텃밭이자 진지로 삼기보다 타인과 세상의 메커니즘을 알아 가는 촉수이자 매개로 삼는 일이다. 그 누구도 쉽사리 체계의 바깥으로 외출하지 못한다고 하듯이 그 누구도 임의로 자신의 몸 바깥으로 나갈 수는 없다. 그러나 이 같은 몸의 주변자리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삶의 전체를 헤아리고 따질 수 있게 될 때 마침내 우리의 몸은 작고 견결한 실천들을 통해 외부성의 확보에 나설 수 있게 되는 것이다(인식의 전체성+실천의 일관성=외부성). 그러므로, 몸이 좋은 사람의 이념에 있어서, 약빠르고 반지빠른 영악과 변덕은 영영 비각이다. 내가 지원행방(知圓行方)이라는 숙어를 곧잘 호출하곤 했지만, 지원이란 곧 주변자리에 스며든 전체성의 인식을 가리킴이요, 행방이란 자신의 생활 속에서 선택한 작은 실천의 일관성이며, 체계와의 창의적 불화를 위해 소용되는 외부성이란 바로 이 인식과 실천의 병진에서 가능해지는 결과인 것이다.

그들에게 ‘만남’이 주는 비대칭의 체험은 물질의 문제, 무엇보다도 피와 살의 문제이기 때문에 무사들, 혹은 몸공부하는 이들은 대체로 ‘모른다’. 아니, 차라리 몰라야만 한다는 게 옳다. 반복하지만 그 이유는 간단하다. 몰라야 살 수 있기 때문이다. 고쳐 말하자면, 무사들은 모든 ‘타자’의 대접에 (그들의 실력과 운신을 전혀 ‘모르는 듯’) 극진할 때라야 자신의 생명을 보존할 수 있는 것!

기성의 체제를 확인하고, 그 네트워크 속에서 안돈(安頓)하고, 그 교조(敎條)를 복창하는 것은 아직 공부가 아니다. ‘화이부동(和而不同)’의 만남과 사귐이라는 것조차도 거친 술어들(차이들)의 순치나 체계내적 사회화를 위한 알리바이로 저락하지 않아야 한다. 그래서 동이불화(同而不和)가 아니라 굳이 화이부동인 것. 그러므로 불화는 진정한 불화이어야 하며 차이는 진정한 차이(real differences)여야 한다.

모든 계몽이 결국 무지로 드러나는 자기부정의 경험은 공부론이 뿌리내리고 있는 터전의 범위와 그 중층성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한다. 지혜와 용기는, 공부의 밑절미 아래 지옥처럼 입을 벌리고 있는 그 무토대를 버텨야 하는 위기 속에서 비로소 하나의 합체를 이룬다. 근현대적 전문성의 놀라운 성취에 가려진 허영 속에서 학(學)이 배각(排却)한 술(術)을 잊어버리고, 관념이 배각한 몸을 잊어버리고, 지성이 배각한 영혼을 잊어버리고, 하늘이 배각한 땅을 잊어버리고, 남성성이 배각한 여성성을 잊어버리고, 논리가 배각한 미립과 지릅을 잊어버린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시우행 2024-04-05 05:2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계속해서 책을 읽어라‘는 말을 음미해 봅니다. 싫증이 생기는 이유도 여럿 있을텐데 난해에서 그런 마음이 생길 수도 있잖아요. 돌아가신 어버님 말씀 중에 자꾸 하다보면 ‘물미가 트인다‘는 가르침이 있었는데 나중에 배우다 보니 ‘독서백편의자현‘이란 말에 와 닿았지요. 이런 깨달음이 지금도 내가 고전을 즐겨 읽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거리의화가 2024-04-05 08:27   좋아요 0 | URL
저도 저 문장은 유독 기억에 남았어요. 책이 잘 안 읽히는 경우에는 슬럼프인가 해서 좀 쉬어야 하나 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계속 읽으라니...! 읽고 쓰는 것이 결국 사유를 만들어내는 길인가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