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철학사 1 - 지중해세계의 철학 ㅣ 세계철학사 1
이정우 지음 / 길(도서출판) / 2018년 1월
평점 :
허무의 시대에 탄생한 철학은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사유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었다. 좋은 시절에 철학이 탄생하지 않은 것은 일견 이해되는 면이 있다. 불안과 혼돈, 의심과 회의적 시각에서 질문이 탄생할 수 있었던 것이다.
서양의 지중해 중심의 세계는 그리스 철학에서부터 자연 철학,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로, 그리스 철학이 이슬람으로 전달되면서 사유가 깊어졌다. 중세의 기독교적 일원론을 바탕으로 한 철학에서 르네상스로, 철학에서 자연 과학이 분리되기까지의 과정을 들여다볼 수 있다.
철학사는 ‘철학‘사이자 철학사‘이다. 철학사는 철학을 다루지만 어디까지나 역사적 지평에서 다루며, 역사에 속하지만 어디까지나 철학의 역사이다. 때문에 철학사의 서술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역사와 철학을 어떠헤 배치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 P13
문학도 그렇지만 철학도 지리적, 역사적 배경과 무관할 수 없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폴리스로 구성된 그리스는 해양 세계에 위치하고 있어 다원론이 자연스러웠다. 이후 서로마가 기독교를 수용하고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중세는 '신' 중심의 철학과 사상이 등장하였다. 페스트로 유럽 전역이 황폐되었을 때 살아남은 사람들 사이에는 새로운 사유에 대한 질문의 기회가 주어진 것이 아닐까. 이후 가톨릭 교황과 황제의 대립에서 점차 황제 중심의 왕권 국가주의가 강해지고 자본주의의 발흥, 자연 과학의 등장으로 신 중심의 사유에서 인문주의 철학이 대세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 책의 장점은 특히나 동양 철학(자)과의 비교로 사상의 개념과 이론을 더 쉽게 접근하게 해준다는 점에 있다. 또한 현실의 문제를 철학자의 이론과 연계하여 설명해주는 부분도 개인적으로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최초의 철학은 철학자 본인의 사유의 산물이겠지만 이후에는 그 철학자의 사유를 보고 고민한 끝에 본인의 의견에 그 의견을 부정하거나 반대, 보충하여 결과물을 만들며 계속해서 나아가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소크라테스에서 플라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로 흘러가고 근대의 문을 연 데카르트에 이르기까지. 전대의 생각을 아예 뿌리채 뽑아내기도 하지만 그런 경우에도 그것이 왜 문제가 되었는지 고민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하나의 개념이 탄생했던 조건들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x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이해는 그 개념의 탄생 조건들에 대한 이해를 포함한다. 하나의 탄생은 가름/변별화이다. 거기에는 늘 어떤 대립성이 작동한다. 대립, 갈등, 부정, 모순의 장에서 무엇인가가 탄생한다. ‘philosophia‘의 탄생에도 이런 대립성들이 작동했던 것으로 보인다. - P841
철학사를 읽으며 그들이 당대의 현실을 보고 고민한 것이 무엇이며, 그 지향점은 무엇이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힘들지만 충분한 가치가 있다. 나도 지금의 현실을 보고 미래를 걱정하는 것처럼 그들도 비슷한 고민을 한 끝에 내놓은 결과물을 엿보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자신이 꽂히는 철학자를 발견하는 재미도 덤으로 챙길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