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장 몸의 회고록

비판의 한 양태로서 몸의 회고록은 인정받지 못함을 감수하는 자기-질문하기를 수행한다. 하지만 이 자아들을 식별하기 어렵게 만드는것은 그것들이 규범과 원칙, 계보학에 대한 조사뿐만 아니라 자신의 물질성, 빈번하게 과학 지식을 경유하여 이해해야만 하는 물질성에 대한조사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몸의 회고록의 자아, 환경, 횡단-신체적인 것, 그리고 포스트휴머니즘과 함께 존재하는 자아는 울리히 벡이말한 ‘위험사회‘에서 행하였던 환경보건운동을 과학적이고 대중적인운동으로 체현하는자아이다. - P220

현대 환경보건운동과 환경정의운동은 위험사회risk society에서 생존하는 방식을 모색하고 또한 위험사회를 비판적으로 변화시키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울리히 벡은 "위험"을 "근대화 자체가 유발하고 발 - P228

생시킨 위험요인과 불안정성을 다스리는 체계적인 방식으로 정의한다. 과거의 위험danger과는 대립되는 것으로서 위험risk은 근대화의 위협적인힘, 그리고 의심의 전지구화와 연관된 결과물이다". 후기 근대의 위험은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방사능은 물론이고 공기 ·물·음식에 있는 독성물질과 오염물질은 식물·동물·인간에게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장·단기적 영향을 발휘한다.
그것들은 체계적이고 종종 불가역적인irreversible 손상을 유발하고, 일반적으로 눈에 보이지 않으며, 인과관계적 해석에 기반하고, 따라서 최초에는 오로지 그것에 대한 과학적 또는 반과학적 지식 속에서만 존재가 드러난다." - P229

디 치로는 "새로운 종류의 ‘전문가‘ ㅡ품격 있는 삶을 살고픈 욕구와 욕망을 이해하고 그것을 만족시키기 위해 일상에서 노력하는 사람들―가 출현했다"고 주장한다. 그녀는 "경계선상에서의 환경정의를 위한 투쟁"에서 발생하는 지식은 "지역적인 것 이상이고 일회성이아니고 단순한 개인적 경험을 넘어서 있다. 그것은 공유된 관찰과 주의 깊은 연구조사, 다양한 ‘전문가들‘이 형성한 모임의 결과이다." 스티븐 카우치와 스티브 크롤-스미스는 평범한 사람들도 "이제 환경 위기에 대한 기술적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렇지만 점점더 전문가들을 불신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그래서 비전문가들은 "과학의 전문적 자료를 공동체로 가져와 나름대로 학습을 한다. 자신의 고통을 합리적으로 이해하고, 또 공동체주의적 합리성이나 도덕적 합리성에 근거해서 관계 기관에게 해결책을 요구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지식이필요하기 때문이다. - P232

대항-기억은 "중요한 윤리적 실천이다. 하나의 이유는 그것을 통해 공인된 진리의 새장에서 탈출할 수 있고, 원점으로부터 새로운 사유를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이유는, 그것이 의미의 대안적 시스템을 구축하는 재료로서 권력과 지식의 대안적 모체를 구성하는 바로 그 물질이기 때문이다"."오드리 로드, 캔디다 로런스, 질라아이젠스타인, 수잔 안토네타, 그리고 샌드라 스테인그래버는 객관적과학 지식과 주관적인 자서전적 회상 사이, 외부의 물질 환경과 자아의내면 작업 사이의 대립을 거부함으로써 "권력과 지식의 대안적 모체"
를 구상한다. 과학적 글쓰기, 행동주의, 계보학, 회고록이 한꺼번에 혼합된 이 작품들은 자서전이라는 장르뿐 아니라, 놀랍게도 과학적 글쓰기의 관행으로부터도 벗어나 있다. - P234

자체의 원동력이라는 듯이, 우리는 수많은 유전학자들에게 유전학적오류들을 찾도록 떠맡기고, 양수검사를 임신 여성이 치르는 통과의례로 거쳐 간다. 마치 임신이 물 순환과 먹이 사슬과 동떨어진 밀실에서발생하기라도 하다는 듯이"라고 그녀는 말한다." 책임이 있는 산업체들과 기관들, 정부기관들을 폭로하며 외부 환경과 관련해 환경보건이다루는 불쾌한 문제들은 ‘유전자‘에 의해 대체된다. 유전자에 비춰지는스포트라이트는 윤리적·정치적 질문들을 제기하지 않는다. 오로지 출생기형을 다루는 환경주의의 역사만이 누가 비난의 대상이 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떤 형식의 지식이 신뢰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불편한 질문들을 제기하는 탈리도마이드와 미나마타병과 같은 것들을 다룬다. - P261

가정용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것은 식물과 동물, 서식지, 생태계를 손상시키는 전지구적 기후변화를 가속화한다는 점에서 이기적인 행위다. 그것들의 녹색 포장들에도 불구하고, 가장 유아론적인 환경보건 실천들은 우리, 다행스러운 소수인 우리 자신만을 구하려는 방공호 사고방식을 떠올리게 한다. 요약하면, 횡단신체적 상호교환들의 위험을 인정하는 것은개인들을 세계로부터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일련의 심리적·정치적·물질적 경계를 가로지르는 실천들을 자극한다. 다른 한편으로, 몸의 회고록이 그러하듯이, 세계와 자아가 함께 존재한다고 이해하는 것은 경계선들보다는 연결들을 만들고, 전지구적 시스템들과 교환들, 흐름들 내부로부터 윤리적 행동들을 수행하는 횡단-신체적이고 포스트휴먼인 환경주의운동을 고취할 수 있다. - P273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4-02-15 07:4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도 어제 시작했어요!
읽다 보니 도나 해러웨이도 크리스테바도 생각 나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