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을 ’반파시즘의 본향‘으로 제시함으로써 스탈린은 ’선의 독점‘을 추구했다. 이성이 있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파시스트보다 반파시스트 편에 서지 않겠는가? 소련과 소련의 제안에 반대하는 사람은? 파시스트이거나 최소한 동조자일 것이다.

소련의 대외 정책은 비교적 중요성이 떨어지는 동료 공산당에 대한 지원과 더욱 중요한 문제인 소련 안보에 대한 고려 사이의 균형을 유지해야 했다. 원칙에 따라 인터내셔널은 중국 공산주의자들을 지원했지만, 스탈린은 국경 지대의 안정을 위해 국민당 정부에 무기와 자금을 제공했다. 소련의 카자흐스탄과 긴 국경을 맞대고 있는, 중국 회교도 인구 대부분이 거주하는 신장에서도 스탈린은 ‘탈이념적 접근법’을 선택했다.

히틀러는 ‘비상위원회Cheka’와 ‘합동국가정치보안부OGPU’를 거쳐 ’내무인민위원회‘라는 이름이 된 국가 비밀경찰을 마음대로 쓸 수 있었다. 소련 국가 비밀경찰은 볼셰비키 혁명 시기에 비상위원회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었다. 초기 임무는 법적이라기보다는 정치적 임무에 가까운, 혁명 저항 세력 제거였다. 소련이 건국되자 (합동국가정치보안부, 내무인민위원회)는 소련의 법률 집행권을 가진 거대한 국가 비밀경찰 조직이 되었다.

소련 국내에서, 정치재판에서의 자백은 예조프가 "센터"라고 불렀던 조직적 음모, 외국 첩보 기관들이 개입된 음모의 증거를 제시하는 듯했다. 1937년 6월 말 모스크바에서, 예조프는 당 중앙위원회에 자신이 내린 결론을 통보했다. 그가 정당 수뇌부에 밝힌 바에 따르면, 모든 정적과 무장 세력 및 내무인민위원회까지 포섭한 "센터 중의 센터"가 있었다. 음모의 목적은 다름 아닌 소련의 붕괴와 소련 영토 내에서의 자본주의의 부활이었다. 예조프가 특별히 언급한 방해 공작인, ‘우두머리 목 따기’를 포함한 어떤 방법으로도 이 "센터 중의 센터" 요원들을 뿌리 뽑을 수는 없어 보였다. 이 모든 일은 당과 군대, 내무인민위원회 내부의 숙청을 정당화했다. 같은 달, 군 고위 지휘관 8명이 정치재판을 받았다. 그 후 몇 달 동안, 붉은 군대의 장성 절반이 처형을 당했다. 1934년 당대회(승리자들의 대회)에 참가한 중앙위원회 회원 139명 중 98명이 총살을 당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